본문내용
1. 서론
1.1. 음운의 분류: 자음과 모음
음운은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자음은 성대로부터 나오는 공기가 조음기관의 장애를 조금이라도 받는 소리이며, 모음은 전혀 장애를 받지 않는 소리로 구분된다". 특히 한국어의 경우 한국어만의 독특한 자음과 모음의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자음과 모음의 조음 특징
자음과 모음의 조음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음은 공기의 흐름이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상당한 장애를 받고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조음 시 구강의 조음 기관 중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혀, 아랫입술 등의 조음체와 윗입술, 입천장, 윗잇몸 등의 조음점이 접촉하면서 소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조음체와 조음점의 접촉 정도에 따라 자음의 종류가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성대의 울림 유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뉜다.
모음은 공기의 흐름이 거의 장애를 받지 않으며 발음 통로가 비교적 넓게 열린 상태에서 나오는 소리이다. 모음은 입술의 모양과 혀의 전후, 높낮이에 따라 분류된다. 입술의 모양이 동그랗게 되는 원순 모음과 납작하게 되는 평순 모음으로 나뉘고,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구분된다. 또한 혀의 높낮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뉜다.
2. 자음의 특징
2.1. 발음 방법
자음의 발음 방법은 조음 기관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자음을 발음할 때 성문을 통과한 공기가 구강의 중앙 통로에서 장애를 받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공기의 통로를 완전히 막아 소리를 낼 때 파열음이 발생한다. 이때 입술, 혀, 치아 등의 조음 기관이 닫혀있다가 갑자기 열리면서 소리가 발생한다. 대표적인 파열음에는 'ㄱ, ㄷ, ㅂ' 등이 있다.
둘째, 공기의 통로를 좁혀 마찰을 일으키며 소리를 내는 것이 마찰음이다. 이때 조음 기관들이 좁은 틈을 만들어 공기의 압력을 높이고 마찰음을 생성한다. 'ㅅ, ㅆ, ㅎ' 등이 대표적인 마찰음이다.
셋째,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서서히 열면서 마찰음을 동반하는 것이 파찰음이다. 'ㅈ, ㅉ, ㅊ'이 여기에 해당한다.
넷째,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고 소리를 내는 것이 공명음이다. 여기에는 비음인 'ㅁ, ㄴ'과 유음인 'ㄹ'이 있다. 비음은 공기가 코로 통과하며 발음되고, 유음은 혀끝이 윗잇몸에 닿아 양 옆으로 공기가 흘러가며 발음된다.
이처럼 자음의 발음 방법은 조음 기관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한국어 자음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2.2. 소리의 특징
자음은 공기가 입 안을 통과할 때 조음 기관에 의해서 장애를 받아 나는 소리이다. 장애란 것은 조음점과 조음체가 접촉하는 것이며, 그 접촉으로 인해서 장애를 받는 방식과 조음되는 위치에 따라서 자음이 분류되어 진다. 자음은 각각 개별로는 완전한 소리를 낼 수 없기 때문에 항상 모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자음의 소리를 닿소리라고도 하는데 닿아서 나는 소리를 말하며 닿는다는 것은 막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폐에서 나오는 바람이 입과 코로 빠져나갈 때 막는 위치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 밖에 목소리를 내는 방법은 성도의 중간을 좁게 해 마찰음을 만들기도 하며, 입이나 혀, 입술로 성도를 차단한 후 갑자기 여는 방법으로 파열음을 만들기도 한다. 조음 기관의 장애에 따라서 자음을 분류할 때는 위치에 따라서 또는 목청의 울림에 따라서 분류한다.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등의 장애음이나 유음, 비음과 같은 공명음으로 나뉜다.모음은 폐로부터 나온 공기가 입과 코를 통해서 나올 때, 어떠한 장애도 받지 않고 성대의 울림에 의해서 독립적인 하나의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자음만으로는 소리를 낼 수 없기에 반드시 모음이 필요해진다. 폐에서 나온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지만 입술이나 혀의 움직임에 의해서 어떠한 장애도 받지 않고 나는 소리로 홀소리라고도 한다. 모음은 소리를 낼 때, 목의 안이나 입의 안에서 어떤 곳이 막히거나 공기가 간신히 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