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철하의이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
1.1. 맹자의 성선설
1.2. 순자의 성악설
1.3. 맹자와 순자의 정치철학
2. 장자 철학의 관점
2.1. 변화에 대한 관점
2.2. 옳고 그름에 대한 관점
2.3. 자아에 대한 인식
2.4. 삶에 대한 이해
3. 동양철학이 현대 삶에 주는 의미
3.1. 경제적 어려움과 관련된 의미
3.2. 교육의 중요성
3.3. 공동체 의식의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맹자와 순자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
1.1.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인간 본성의 선한 본성은 마음속에 존재하고, '인'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선함을 가다듬으면 '덕'을 이룰 수 있으며, 덕을 기반으로 하여 공동체의 안정이 보장된다고 보았다. 맹자는 사람들은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한 사람의 '인간성'의 척도라고 단언한다. 맹자는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이 없으면 인간이 아니며, 사람에게 이 네 가지가 있는 것은 사람의 몸에 사지가 있음과 같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맹자가 인간의 본성을 선하다고 보았음을 알 수 있다.
1.2. 순자의 성악설
순자는 "사람의 본성은 나쁜 것이다. 그것이 선하다고 하는 것은 거짓이다. 지금 사람들의 본성은 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는데, 이것을 따르기 때문에 쟁탈이 생기고 사양함이 없어진다."라고 하면서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성악설을 주장했다"". 순자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나쁜 본성을 억제하고 예(禮)를 통해 선하게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은 선천적으로 이익만을 좋아하고 그로 인해 다투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위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순자는 예를 통해 인간의 나쁜 본성을 억제하고 선한 행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맹자의 성선설과 대조되는 관점이다"".
순자는 성악설을 바탕으로 인간이 예의범절을 갖추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선천적으로 악한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순자는 개인의 노력을 통해 예법을 익히고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를 통해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나아가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나쁘다고 보았기 때문에 개인의 노력과 수양을 강조하였다"". 그는 개인이 끊임없이 노력하여 도덕적 기준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지위와 역할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순자는 통치자가 도덕적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이는 통치자가 백성들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는 맹자의 성선설과 달리,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을 주장했다"". 순자는 인간이 선한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과 수양, 그리고 예법의 실천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는 맹자와 대비되는 순자의 정치철학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1.3. 맹자와 순자의 정치철학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면서, 통치자가 덕 수양을 실천할 경우 누구나 덕치를 통한 인정의 이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맹자는 이를 "왕도"라 하였는데, 왕도를 "백성을 보호하며 왕 역할을 하는 것"이라 설명한다. 맹자에 따르면 통치자가 덕을 완성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사회를 안정시키고 번영시킬 수 있다. 그는 "통치자가 법...
참고 자료
김상래, 맹자와 순자의 인간이해, 그 윤리적 변별성, 2013
안외순, 맹자의 『서경』 이해와 그 정치사상적 특징 ,2015
유희성, 순자 철학의 이상 사회론, 2001
정세근, 장자의 정신론, 2012
신창호, 유교의 자아실현과 삶의 맥락 - 공자와 맹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