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에디토리얼 디자인
1.1. 에디토리얼 디자인이란
에디토리얼 디자인이란 신문, 서적, 잡지 따위의 편집 작업에서 필요한 효과적인 배열 및 배치 기술을 중심으로 한 그래픽 디자인이다. 레이아웃 기술을 중심으로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지도 따위의 디자인을 포괄한다. 각 페이지의 문자 조판과 여백을 나타내는 체재와 레이아웃 기준으로 편집 목적에 따라 문자 조판 및 사진, 삽화 등 페이지의 흐름을 고려하면서 시각적인 구성을 해간다. 문자의 시각화를 위한 타이포그래피를 비롯하여 도판 및 사진원고를 제작·레이아웃하여 전체 이미지를 형성하는 기술이다. 편집계획에서부터 시행과정을 관리하는 작업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편집디자인 범위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인쇄를 매개로 하는 디자인을 그래픽디자인이라고 하며, 편집 디자인은 그 한 분야이다. 그러나 조판·제판에 대한 지식도 있어야 하므로 그래픽디자인보다 더 넓은 지식을 필요로 한다. 또한 편집디자인은 읽기가 어려우면 독자들의 인내심을 요구하기에 편집이나 디자이너는 독자들이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도록 가독성을 높여 디자인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부각되도록 하기 위해 많은 디자인원리와 올바른 타이포그래픽의 선택 그리고 합리적인 시각적 표현이 중요하다.
1.2. 에디토리얼 디자인의 구성요소
1.2.1. 레이아웃
레이아웃은 편집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레이아웃은 책이나 잡지와 같은 인쇄물의 지면을 기능적이고 시각적으로 조화롭게 구성하는 계획 또는 작업을 의미한다. 레이아웃의 역할은 페이지 내의 문자, 그림, 사진 등의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전체적인 시각적 통일감을 형성하는 것이다.
레이아웃의 주요 요소로는 라인업(line-up), 포맷(format), 여백(margin) 등이 있다. 라인업은 페이지 내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중요도와 내용에 따라 배열하고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 포맷은 책의 크기, 방향, 페이지 수, 분량 등 책의 물리적 특성을 의미한다. 여백은 이러한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여 시각적 균형을 잡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편집자와 디자이너는 레이아웃 작업을 통해 독자들에게 가독성 높고 시각적으로 효과적인 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펼침면의 황금비율 등 전통적인 레이아웃 기준을 활용하여 균형 잡힌 페이지 구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처럼 레이아웃은 편집디자인의 핵심 요소로서, 문자와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1.2.2. 라인업
라인업은 책의 내용을 잘 파악하여 그 내용과 중요도에 따라 각기 배열과 분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즉, 계획된 편집물들을 모두 모아 놓고 지면 속에서 나누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편집 디자이너는 각 내용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비중과 배치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내용은 크게 배치하고 부수적인 내용은 작게 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내용의 중요도에 따른 계층화가 가능하다. 또한 자주 등장하는 핵심 내용은 반복적으로 배치하여 강조할 수도 있다. 이처럼 라인업은 편집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로, 효과적인 배열과 분할을 통해 독자의 눈길을 사로잡고 내용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1.2.3. 포맷
포맷은 책의 크기, 방향, 페이지수, 분량 등을 말한다. 책의 크기와 방향, 페이지수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책의 전체적인 형태와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책의 크기는 A4 사이즈, B5 사이즈, B6 사이즈 등 다양한 옵션이 있으며, 세로형 또는 가로형 등 방향도 선택할 수 있다. 페이지수는 내용의 분량에 따라 결정되며, 분량이 많아지면 페이지수도 늘어나게 된다. 이렇듯 포맷은 책의 전반적인 형태와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편집디자인 과정에서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1.3. 에디토리얼 디자인의 역사
역사적으로 보면 에디토리얼 디자인은 잡지의 역사와 어느 정도 맥락을 같이 한다. 산업 시대 이전의 출판물 중에서 잡지의 효시라고 볼만한 인쇄물은 거의 없다. 잡지는 산업 혁명의 산물이며 그래픽 디자인의 현대적인 흐름과 불가분의 상호 관계를 맺으면서 발전되어 왔다. 즉, 잡지 디자인의 역사는 한편으로는 서적과 신문의 전통적인 타이포그래피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부단히 투쟁하면서 글과 그림들을 새롭게 종합하기 위한 창조 과정을 거쳐 왔다. 현대의 대량으로 발간되는 잡지에 요구되는 사회적인 조건들과 기술적인 공정들은 적어도 1890년대 즈음부터 이루어진 것들이다.
미국의 경우, 1930년대 중반 잡지 편집의 중심이 뉴욕으로 옮겨지면서 여러 요소들이 통합된 현대적인 잡지 포맷이 시각적 구성 요소들이 세련도가 감에 따라 대중 잡지들에서 상업적으로 응용되었다. 1930년을 전후하여 지에서 실시한 시각 개념과 에디토리얼 개념의 통합을 대중잡지 에디토리얼 디자인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그 후 , , , 등 잡지에서 아트 디렉션이 강화된 에디토리얼 디자인이 나타났으며, 1970년대 에디토리얼 디자인의 전문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독특한 스타일의 , 지 등이 등장하였다.
우리나라의 에디토리얼 디자인사 역시 외국과 마찬가지로 잡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1976년에 창간된 종합 교양지 은 우리나라 잡지 가운데 처음으로 아트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