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뇌심혈관질환의 정의 및 특성
1.1. 뇌심혈관질환의 정의
뇌심혈관질환이란 심장, 심혈관 및 뇌혈관 계통에서 발생한 질환으로 심근경색증·뇌졸중(뇌경색·지주막하출혈·뇌실질내출혈)·해리성 대동맥류(대동맥 박리) 등이 해당한다. 뇌심혈관질환은 유전적 요인, 화학적 요인(유해 물질) 및 물리적 요인(소음, 고온·한랭작업 등), 고혈압·이상지질혈증·당뇨 등의 기초 질환, 식습관·운동습관·비만·음주·흡연 등의 생활 습관 요인, 교대작업·야간근무·직무스트레스·업무 강도·업무 자율성 등의 사회심리적 요인 및 환경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 따라서 원래 타고나서 바꿀 수 없는 유전적 소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발병요인을 찾아내어 그것들을 적극적으로 개선할 때 질환의 예방효과가 극대화된다. 이처럼 뇌심혈관질환은 체내에서 조용히 진행되다가 사고처럼 갑자기 발병하여 목숨을 잃기도 하나, 고혈압·당뇨 등을 처음 진단받았을 때부터 처방에 따라 꾸준히 질병을 관리한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다.
1.2. 뇌심혈관질환의 진단 기준
뇌심혈관질환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심장, 심혈관 및 뇌혈관계통에서 발생한 질환으로 심근경색증, 뇌졸중(뇌경색, 지주막하출혈, 뇌실질내출혈), 해리성 대동맥류(대동맥 박리) 등이 해당된다. 뇌심혈관질환은 유전적 요인, 화학적 요인(유해 물질) 및 물리적 요인(소음, 고온·한랭작업 등), 고혈압·이상지질혈증·당뇨 등의 기초질환, 식습관·운동습관·비만·음주·흡연 등의 생활습관 요인, 교대작업·야간근무·직무스트레스·업무 강도·업무 자율성 등의 사회심리적 요인 및 환경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 따라서 유전적 소인을 제외한 나머지 발병요인을 찾아내어 개선할 때 질환의 예방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뇌심혈관질환은 고혈압·당뇨 등을 초기에 진단받고 관리한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다.
1.3.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은 유전적 요인, 화학적 요인, 물리적 요인, 기초 질환, 생활 습관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및 환경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한다.
첫째, 유전적 요인으로는 뇌심혈관질환의 가족력이 해당된다. 둘째, 화학적 요인에는 유해 물질의 노출이 포함된다. 셋째, 물리적 요인으로는 소음, 고온·한랭작업 등이 있다.
넷째, 기초 질환에는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기초 질환은 뇌심혈관질환의 발생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다섯째, 생활 습관 요인으로는 식습관, 운동습관, 비만, 음주, 흡연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흡연은 뇌심혈관질환의 발병 위험을 2~3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섯째, 사회심리적 요인에는 교대작업, 야간근무, 직무스트레스, 업무 강도, 업무 자율성 등이 포함된다. 과중한 업무와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뇌심혈관질환 발병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요인에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위험요인 등이 있다. 특히 작업장 내의 유해 물질 노출, 소음, 온도 등의 환경적 요인은 뇌심혈관질환 발병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뇌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복합적인 위험요인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작업관련 뇌심혈관질환의 현황
2.1. 업무상질병 현황
2020년 업무상질병자수(업무상질병 요양자 수 + 업무상질병 사망자 수)는 15,996명으로 전년도 15,195명보다 801명(5.27%) 증가했다. 그러나 작업관련성 질병 중 뇌심혈관질환자는 1,167명으로 전년도 1,460명에 비해 293명(20.07%) 감소했다.
업무상질병 요양재해 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 업무상질병 요양자(사망자 제외)는 14,816명으로 전년도 14,030명보다 786명(5.60%) 증가했다. 하지만 작업관련성 질병 중 뇌심혈관질환자는 704명으로 전년도 957명에 비해 253명(26.44%) 감소했다.
한편, 업무상질병 사망재해 현황에 따르면, 2020년 업무상질병 사망자수는 1,180명으로 전년도 1,165명보다 15명(1.29%) 증가했다. 작업관련성 질병 중 뇌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463명(39.2%)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업무상질병자 수는 증가한 반면, 작업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