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혈액검사 항목
1.1. 백혈구(WBC) 검사
백혈구(WBC) 검사는 감염과 관련된 문제나 혈액질환의 유무, 면역력을 평가하는 주요 검사이다. 백혈구 수치가 정상범위인 4,000~10,000 /㎣를 벗어나는 경우 다양한 병리적 상태를 시사할 수 있다.
백혈구 수가 증가한 경우, 세균성 감염이나 급성 감염, 백혈병 등의 혈액암, 다혈구증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백혈구 수가 감소한 경우 재생불량성 빈혈, 무과립구증, 악성 종양 등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중성구(호중구)는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을 담당하므로 중성구 수치 변동은 임상적 해석에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백혈구 검사는 감염이나 면역 체계, 혈액 질환 등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검사 지표이다. 백혈구 수치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백혈구 검사는 다양한 질병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혈액 검사라고 할 수 있다.
1.2. 적혈구(RBC) 및 헤모글로빈(Hgb) 검사
적혈구(RBC) 및 헤모글로빈(Hgb) 검사는 혈액 중 적혈구의 수와 헤모글로빈 수치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주요 역할을 하며, 헤모글로빈은 적혈구 내에 포함된 단백질로 산소 운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적혈구 수(RBC)의 정상 범위는 남자 4.30-5.80 million/㎣, 여자 3.90-5.00 million/㎣이다. 이 수치는 빈혈 유무 및 적혈구 증가증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적혈구 수가 증가하는 경우 탈수, 설사, 다혈구혈증, 급성중독, 폐섬유증 등의 원인을 고려해야 하며, 감소하는 경우 빈혈, 백혈병, 출혈 후 등의 상황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헤모글로빈(Hgb) 수치의 정상 범위는 남자 14-18 g/dL, 여자 12-16 g/dL이다. 헤모글로빈은 적혈구에 포함되어 폐에서 조직으로의 산소 운반과 조직에서 폐로의 이산화탄소 운반을 담당한다. 헤모글로빈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다혈구혈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울혈성 심부전 등을 시사할 수 있으며, 감소하는 경우 빈혈, 임신, 심각한 출혈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적혈구와 헤모글로빈 수치는 빈혈 및 적혈구 증가증 등 혈액 질환 진단에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이 수치들의 변화를 통해 전신 건강 상태와 각종 질병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1.3. 헤마토크릿(Hct) 및 적혈구 지표 검사
헤마토크릿(Hct) 및 적혈구 지표 검사는 적혈구의 양과 크기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헤마토크릿은 전혈 중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를 통해 적혈구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혈구 지표들인 MCV, MCH, MCHC, RDW 등을 통해 적혈구의 크기와 혈색소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헤마토크릿(Hct)은 정상 범위가 35~50%로, 남성은 40~50%, 여성은 35~45%가 정상 수치이다. 헤마토크릿이 증가하면 탈수, 혈액농축, 쇼크 등을 의미하며, 감소하면 심각한 빈혈, 임신, 급성 출혈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적혈구 지표 중 MCV(Mean Corpuscular Volume)는 평균 적혈구 용적을 나타내며, 정상범위는 80~102 fl이다. MCV가 증가하면 거대적혈구성 빈혈, 감소하면 소적혈구성 빈혈을 의미한다. MCH(Mean Corpuscular Hemoglobin)는 한 개의 적혈구에 포함된 평균 헤모글로빈 양으로, 정상범위는 27~32 pg이다. MCH가 증가하면 거대적혈구성 빈혈, 감소하면 철결핍성 빈혈을 나타낸다. MCHC(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는 적혈구 100 cc당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로, 정상범위는 30~35 g/dL이다. MCHC가 증가하면 골수 활동 증가, 철결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