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의 음성 언어와 동물이 내는 소리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인간이 내는 소리만을 언어라고 지칭할수 있는지 그 근거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의 개념 및 특성
1.1. 언어의 정의
1.2. 언어의 9가지 특징
1.3. 언어의 6가지 기능
2. 동물의 의사소통과 언어
2.1. 동물들의 의사소통 사례
2.2. 동물 언어와 인간 언어의 차이점
3. 인간 언어의 특성
3.1. 인간과 동물의 음성발달 비교
3.2. 인간 언어의 분절성
3.3. 인간 언어의 창조성 및 개방성
4. 언어와 문화
4.1. 언어와 문화의 상호작용
4.2. 언어를 통한 문화 전달
5. Chomsky의 언어 능력
5.1. 언어능력의 개념
5.2. 언어수행과의 차이
6. 모국어와 외국어 습득의 차이
6.1. 모국어와 외국어 습득 과정 비교
6.2. Lado의 대조분석 가설
6.3. Eckman의 유표성 차이 가설
7. 효과적인 외국어 교육 방법
7.1.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특징
7.2. 실제 사례를 통한 장점 분석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의 개념 및 특성
1.1. 언어의 정의
언어는 "인간의 입술, 혀 등 발성 기관의 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청취 가능하게 발음된 의미 있는 말소리이며 감정 및 사고를 표현하거나 의사소통하기 위한 음성적 또는 비음성적 수단"이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언어는 "음성적 상징과 비음성적 상징 또한 문자로 나타내는 의사소통"을 의미하며, 언어학적으로는 "발음 기관에 의하여 만들어진 음성적 상징과 의사소통의 도구"로 정의된다. 즉, 언어는 인간이 상징적 행위를 통해 자신의 감정, 사상, 사물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자 의사소통의 도구이다."
1.2. 언어의 9가지 특징
언어의 9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는 이원성을 가지고 있다. 즉, 언어는 소리의 체계와 의미의 체계가 분리, 독립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동물의 신호와 구별되는 언어만의 특성이다."
둘째, 언어는 자의성을 가지고 있다. 모든 언어는 의미와 기호의 결합이지만, 그 결합은 언어 사용자의 약속에 의한 자의성을 갖고 있다."
셋째, 언어는 사회성을 지니고 있다. 언어는 각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약속이기 때문에 개인이 임의로 고칠 수 없다."
넷째, 언어는 역사성을 가진다. 모든 언어는 시대와 환경에 따라 그 형태와 의미가 생성, 변화, 소멸한다."
다섯째, 언어는 창조성을 지니고 있다. 언어는 한정된 음운이나 어휘를 가지고 자체적인 결합에 의해 무한한 단어와 문장을 만들어낸다."
여섯째, 언어는 체계성을 지니고 있다. 언어는 일정한 규칙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일곱째, 언어는 전위성을 가지고 있다. 언어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실 세계에서 일어나지 않은 허구의 상황까지도 표현할 수 있다."
여덟째, 언어는 추상성을 지닌다. 언어의 의미는 사회적 구성원들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언어가 실제로 표상하는 사물이나 의미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아홉째, 언어는 문화 전달성을 가지고 있다. 언어는 자신이 속한 문화적 환경에 따라 사용되며, 학습을 통해 습득할 수 있다."
1.3. 언어의 6가지 기능
언어의 6가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교적 기능이다. 인사말이나 상투적 문구 등을 통해 청자와 화자 간의 사회적 관계 또는 유대를 확인하고 사회적 교환의 분위기를 조성한다"이다.
둘째, 표출적 기능이다. 화자의 감정 상태나 어떤 일에 대한 태도 등을 나타낸다"이다.
셋째, 명령적 기능이다. 청자에게 무엇인가를 행동하도록 요구한다"이다.
넷째, 정보적 기능이다. 관련 상황에 대하여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내용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대상을 지시한다고 하여 지시적 기능이라고도 한다"이다.
다섯째, 미학적 기능이다. 발화의 전달 내용을 의식적, 무의식적 노력에 의해서 되도록 듣기 좋은 짜임새로 만드는 기능을 말한다"이다.
마지막으로, 관어적 기능이다. 특정한 언어 표현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언어가 관계하여 쓰이는 것을 말한다"이다.
2. 동물의 의사소통과 언어
2.1. 동물들의 의사소통 사례
동물들의 의사소통 사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꿀벌은 벌통에서 먹이 근원지까지의 거리와 먹이 근원지의 풍요함의 정도에 따라 중요한 두 가지 형태의 춤을 춘다. 하나는 둥근 춤(원형 춤)이고 다른 하나는 8자 춤(꼬리 흔들기 춤)이다. 먹이 근원지가 10미터 이내에 있으면 둥근 춤을 추고 100미터 이상 떨어져 있으면 8자 춤을 춘다. 8자 춤은 8자의 가운데가 눌린 모양이 되도록 춤을 춰서 꽃이 있는 방향을 알리고 춤의 꼬리를 흔드는 시간으로 날아가야 할 거리를 알린다. 마지막으로, 춤추는 동안의 흥분 정도는 먹이 근원지의 풍부함의 정도를 나타내며 벌들 끼리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둘째, 아프리카 앵무새는 인간 언어를 흉내 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알렉스(Alex)란 앵무새는 제시된 물건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을 하면 대답할 수 있다고 한다. 앵무새이외에도 벌새, 우는 새(songbirds) 등은 목소리 패턴을 통해 학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 고래는 인도양에 사는 혹등고래와 흰긴수염고래의 하위 종(species)들이 고래 울음소리로 알려진 다양한 주파수를 반복적으로 발생시킨다. 수컷 혹등고래는 이 주파수를 오직 발정기에만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울음소리를 통해 암컷을 유혹하고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혹등고래도 먹이 알림 신호를 보내는데 거의 일정한 주파수로 5~10초간 소리를 낸다. 이들은 주로 집단을 이루어 물고기나 새우 떼 한 가운데에 수직으로 솟아올라 이들을 잡아먹으므로 이 소...
참고 자료
이금영, 언어학 개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2017
홍성심 외4명, Chomsky의 언어과학, 경진문화사, 2006
강현화, 원미진, 한국어 교육학의 이해와 탐구, 한국문화사, 2017
http://www.epicurus.kr/?document_srl=386931&listStyle=viewer&mid=Humanitas&page=3
https://ko.wikipedia.org/wiki/%EC%96%B8%EC%96%B4_%EB%8A%A5%EB%A0%A5
김동섭(2001), 언어를 통해 본 문화 이야기, 도서출판 만남
김방한(1992), 언어학의 이해, (주)민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