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을 인용하여 나의 부모님이 확대가족에서의 경험을 나에게 투사한 것이 무엇인지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1.2. 부모님의 투사 경험
2. 본론
2.1. 부모님의 확대가족 경험
2.1.1. 아버지와 조부모의 관계
2.1.2. 어머니와 외조부모의 관계
2.2. 부모님의 투사가 나에게 미친 영향
2.2.1. 불안의 경험
2.2.2. 감정반사반응
2.3. 나와 삼각관계를 이루는 가족
2.3.1. 어머니와의 관계
2.3.2. 탈삼각화를 위한 노력
3. 결론
3.1. 아버지와의 화해
3.2. 새로운 선택의 시작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모델은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정서적 연결성과 패턴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이다. 이 모델은 자아 분화, 삼각관계, 가족 투사 과정, 다세대 전수 등의 주요 개념을 포함한다.
자아 분화는 개인이 가족의 정서적 혼란에서 벗어나 독립된 자아를 형성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자아 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은 가족의 정서적 압박에서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반면, 자아 분화 수준이 낮으면 가족의 정서적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삼각관계는 두 사람 간의 긴장이 제3자를 통해 완화되는 가족 내의 역동성을 설명한다. 이는 갈등이 직접적으로 해결되지 않고 제3자를 통해 우회적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삼각관계는 가족 내에서 정서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족 투사 과정은 부모가 자신의 정서적 문제나 불안을 자녀에게 투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자녀에게 특정한 정서적 부담을 안겨주며, 세대 간에 반복될 수 있다. 가족 투사 과정은 자녀의 자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다세대 전수는 가족의 정서적 패턴이 세대를 거쳐 반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는 조부모 세대에서 부모 세대로, 다시 자녀 세대로 이어지며, 정서적 문제나 갈등이 세대를 넘어 지속된다. 다세대 전수의 개념은 가족 내에서 반복되는 정서적 패턴과 행동 양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 부모님의 투사 경험
본인의 아버지는 조부모와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조부모는 아버지에게 높은 기대를 걸었고, 이는 아버지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아버지는 조부모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으며, 이러한 경험은 아버지가 본인에게도 동일한 방식으로 기대를 걸게 만들었다. 아버지는 자신의 불안과 압박을 본인에게 투사하여, 본인이 높은 성취를 이루도록 강요했다.
어머니는 외조부모와의 관계에서 인정받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외조부모는 어머니에게 엄격한 도덕적 기준을 요구했으며, 이는 어머니가 본인에게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게 만들었다. 어머니는 자신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본인에게 엄격한 규칙과 도덕적 기준을 강요했고, 이는 본인이 성장하면서 큰 정서적 부담으로 작용했다.
결국...
참고 자료
박종팔. 가족상담 및 치료. 경기도: 양서원, 2014.
분노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중심으로/최천혁/서울대학교/2010
부모 애착불안을 경험하는 신혼부부에 대한 보웬의 다세대치료 적용사례 연구/안희상/단국대학교/2012
김지영, 박선영(202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서울: 양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