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에코프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에코프로비엠 개요
2.1. 개요
2.2. 지배구조
3. 에코프로비엠 기업 분석
3.1. 재무분석
3.1.1. 매출 및 이익 분석
3.1.2. 재무비율 분석
3.2. 강점/약점 분석
3.2.1. 강점
3.2.2. 약점
3.3. 전망
4. 국내 배터리 기업 동향
4.1. 배터리의 미래는 나를 중심으로: LG에너지솔루션, SK온
4.2. 양극재는 우리 손에: 에코프로비엠, LG화학, 포스코케미칼
4.3. 작지만 강한 기업: 나노신소재
4.4. 원자재를 지배하는 자: 에코프로, 포스코홀딩스
5. 국내 배터리 기업 성장 요인
5.1. 미국을 먹는 자가 과반을 먹는다
5.2. 혁명의 시대, 글로벌 넘버원은 더 크게 성장한다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의 제고로 전기자동차 시장이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안(IRA)이 발효되면서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2차 전지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인플레이션감축법안의 발효에 따라 미국 현지에서 생산된 전기차에 대해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므로, 따라서 미국의 전기차 생산 기업들과 협약을 맺고 있는 여러 국가의 전기차 소재(부품) 및 장비 기업들까지 연달아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2차 전지 소재 및 장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는 한국의 기업으로는 에코프로비엠을 제시할 수 있다. 에코프로비엠은 양극재를 만드는 전지 소재 기업으로 계속된 실적 증가세를 기록하며 코스닥 주가 1위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아래에서는 에코프로비엠에 대해 분석할 수 있도록 하겠다.
2. 에코프로비엠 개요
2.1. 개요
에코프로비엠(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ECOPRO BM)은 한국의 대표적인 2차전지 기업 중 하나로, "세계 최고의 양극소재 전문기업"을 표방하고 있다. 2016년 5월에 설립되어 코스닥에 상장된 중견기업이다. 2차 전지는 1차 전지와 달리 충전할 수 있는 다회용 전지를 의미한다. 2차 전지는 전기를 스스로 생산할 수는 없지만 1차 전지에 비해 효율성 및 친환경성이 높아 전기자동차 산업을 비롯한 모빌리티 산업 전반, 드론 산업, 가전제품 산업, IT 제품 산업 등에서 주목받는 에너지원이다. 에코프로비엠은 전기차 배터리용 소재 및 부품을 공급하는 전방산업에 해당하는 기업으로, 특히 양극재 사업에 특화하기 위해 모기업 에코프로로부터 물적 분할되어 설립된 자회사이다. 양극재는 2차 전지 셀의 약 40%를 차지하며, 양극재 공급이 원활해야 배터리 생산 역시 원활할 수 있다. 국내에는 양극재 기업으로 포스코케미칼, 엘엔에프, LG화학 등이 존재하지만, 에코프로비엠은 하이니켈계 양극소재 제품을 최초 개발 및 양산하여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였다.
2.2. 지배구조
에코프로비엠의 최대 주주는 모기업 에코프로(2023년 4월 4일 기준 45.6%)이며, 이외 에코프로공동근로복지기금(약 0.4%) 역시 에코프로비엠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 이외 임원들이 약 0.01%에서 0.1% 수준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인데, 에코프로비엠의 임원들이 내부자 거래 혐의로 2022년 1월 26일 기소되면서 에코프로비엠의 거버넌스(Governance)가 투명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일어 기업 경영에 대한 불신이 증가하게 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3. 에코프로비엠 기업 분석
3.1. 재무분석
3.1.1. 매출 및 이익 분석
에코프로비엠의 2022년 연간 매출액은 약 5조 3천억원으로, 이는 2021년에의 약 1억 4천억원에 비해 무려 260% 이상 성장한 수준이다. 이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에코프로비엠의 매출실적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또한 매출이익은 전년 대비 약 170% 성장하여 5천억원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영업이익의 비중이 높아 약 3천8백억원 수준으로 이 역시 전년 대비 230% 수준 성장하였다. 이처럼 에코프로비엠의 매출과 이익이 눈에 띄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3.1.2. 재무비율 분석
한편 에코프로비엠의 재무제표에 근거하여 몇 가지 재무비율을 분석해 볼 수 있는데, 먼저 기업의 안정성 비율 중 유동비율(유동부채/유동자산의 상대적 비율)은 68%로 양호한 수준이다. 이는 단기적인 채무 상환 능력이 상당히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업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파악하기 위한 자기자본비율(BIS...
참고 자료
기술과혁신,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이차전지의 시장전망, 2021-11/12월호
에코프로, 2023년 1분기 실적발표회, 2023.5.2.
아시아경제, [종목속으로]에코프로비엠, 광란의 질주…코스닥 대장주 굳히나, 2022.10.20.
포스코퓨처엠, [배터리포트] 전기차 산업, 성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
2023.02.27
한국경제, [단독] 에코프로비엠 주식 내부자거래로 금융위·검찰 수사…추가 수주 비상등, 2022.1.26.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