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강박의 개념 영화에서 나타난 강박 장면 , 영화 플랜맨을 보고 하는 거임. 강박의 치료 방법 그리고 dsm-5에서의 강박 진단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강박장애
2.1. 정의
2.2. 원인
2.2.1. 학습 이론
2.2.2. 인지 이론
2.2.3. 정신분석 이론
2.2.4. 생물학적 이론
2.3. 증상 및 진단기준
2.4. 치료
2.4.1. 약물치료
2.4.2. 행동치료
2.4.3. 인지행동치료
2.4.4. 가족치료
3. 영화 '플랜맨'
3.1. 등장인물
3.2. 의사소통 분석 및 치료적 의사소통 재구성
4. 간호과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일명 '선진국병'으로 통하는 국내 '강박장애' 환자가 10년 사이 60%나 증가했다. 특히 20대가 가장 많다. 숨어있는 강박장애 환자는 50만 명이 넘고 향후 더욱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강박장애 환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지금, 강박장애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영화 '플랜맨' 속 강박장애가 있는 주인공 '정석'과 그 주변 인물들과의 의사소통을 분석하여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2. 강박장애
2.1. 정의
강박장애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반복적인 사고와 반복적인 행동을 되풀이하는 강박관련 장애 유형 중 하나이다. 반복적으로 의식에 침투하는 고통스러운 생각, 충동 또는 이미지인 강박사고(obsession)와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강박행동(compulsion)이 주된 증상이다. 강박행동은 청결행동, 확인행동, 반복행동, 정돈행동, 지연행동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스스로 부적절하고 지나치다는 것을 알면서도 강박사고로 인한 불안감으로부터 회복되기 위해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
2.2. 원인
2.2.1. 학습 이론
학습 이론에서는 인간의 행동은 학습된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강박 장애는 고전적 조건 형성에 의해 공포반응이 획득되고 조작적 조건 형성에 의해 공포반응이 지속되는 것으로 본다. 어떤 사람이 더러운 공중화장실 같은 곳에서 오염이나 감염에 관련된 혐오스러운 경험을 한 후, 점차 자극이 일반화되어 화장실을 사용하고 나면 예전의 경험이 연상되어 손을 씻는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공포반응이 획득된 뒤에는 화장실을 사용할 때마다 손을 반복적으로 씻어야만 불안감을 어느 정도 떨쳐버리는 것이 강화되어 회피행동이 지속된다."
2.2.2. 인지 이론
인지 이론에서는 사람들이 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하는가에 따라 경험하는 바가 달라진다고 본다. 사람들의 반응이 다양한 것은 사람마다 독특한 관점과 개성을 가지고 자신의 방식대로 세상을 지각하고 나름대로의 설명틀(도식)을 가지고 살아가기 때문이다. 살로프스키스(Salovskis)는 강박 장애를 지닌 사람들이 우연히 떠오른 침투적 사고에 대해 과도하게 중요성, 책임감, 통제성을 부여한 왜곡된 자동적 사고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런 불안을 유발하는 침투적 사고를 억제하거나 제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데, 이러한 노력이 오히려 침투적 사고를 자꾸 의식에 떠오르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라크만(Lachman)의 모델은 개인이 자신의 침투적 인지를 재난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강박사고가 발생하고 지속된다고 보았다. 강박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 자체에 과도한 의미와 중요성을 부과하는 오류적인 사고 경향, 즉 '사고행위 융합의 오류'를 지니고 있는데 생각과 행위의 경계가 허물어져 생각이 바로 행동과 같은 실제성을 띤 것으로 여긴다. 웨그너(Wegner)와 동료들의 실험은 어떤 생각을 억제하려고 하면 할수록 그 생각이 더 잘 떠오르는 '사고억제의 역설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렇게 강박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불쾌한 침투적 사고를 억제하려고 노력하지만 오히려 더 빈번하게 떠오르는 악순환이 발생하면서 병적 현상으로 발전한다.
2.2.3. 정신분석 이론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강박 장애는 불안이 자아가 위협적인 원초아의 욕구와 추동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방어기제를 발동시키도록 하는 위험신호로 작용하고, 결국 자아와 원초아 간에 '타협'이 형성된 결과라고 본다""
강박 증상은 이렇게 불안이나 긴장을 통제하기 위해 상징화되어 나타나는 타협 형성의 증상이다. 또한 정신분석 이론은 강박 증상을 항문기에 억압된 욕구나 충동이 재활성화해 나타난 것으로 간주했는데, 충동이 의식에 떠올라 불안을 경험하면 이러한 불안을 통제하기 위해 방어기제가 사용된다고 설명한다""
주요 방어기제로는 격리, 대치, 반동 형성, 취소 등이 있다. 격리는 사고에 수반된 감정을 단절하는 것이며, 대치는 본래의 욕구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위장함으로써 불안을 줄이는 것이다. 반동 형성은 자신의 실제 욕구에 반대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이고, 취소는 이미 벌어진 일을 어떤 행위로 무효화하려는 시도이다. 정신분석 이론...
참고 자료
김선아 외 공저.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20
조향숙; 최저임; 김효정 공저. 정신간호학실습 임상실습지침서. 수문사. 2021
영화 플랜맨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70109/82236313/1(2017.10.29.)
[네이버 지식백과] 강박 장애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네이버 지식백과] 강박장애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제7판 정신간호총론」, 임숙빈 외 공저, 수문사, 2017, 232~234p, 627~629p
「제8판 정신간호총론」, 김선아 외 공저, 수문사, 2020, 168~179p
「플랜맨」, 성시흡 감독, 2013
[네이버 지식백과] 강박 장애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심리학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강박 장애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bsessive-compul sive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블로그] 부모 및 교사의 기대와 아동 발달, 작성자: 더불어 사는 사회, 2021.06.18.
[위키백과] 헬리콥터 부모 (2021.10.25)
[Brunch 칼럼] 부모의 기대가 채워지지 않을 때 화가 난다, 작성자: 남정하, 2016.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