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궤양성 대장염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기간 및 방법
1.3.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문헌 고찰
1.3.1. 궤양성 대장염의 정의
1.3.2.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
1.3.3. 궤양성 대장염의 증상
1.3.4. 궤양성 대장염의 검사 소견
1.3.5. 궤양성 대장염의 진단검사
1.3.6.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
1.3.7. 궤양성 대장염의 간호
1.3.8. 궤양성 대장염의 합병증 및 예후
2.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unspecified)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의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염증 또는 궤양이 생기는 만성 재발성 질환이다.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면역반응 등이 중요한 발병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서구화된 생활습관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의 동양에서도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질환은 대장의 염증 정도와 침범 범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피가 섞인 설사가 가장 흔한 증상이다. 검사소견상 백혈구 증가, 철분 결핍성 빈혈, 염증 수치 증가 등이 관찰될 수 있고, 대장 내시경 검사로 진단한다. 치료는 약물요법, 면역억제요법 등의 내과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이루어진다.
이에 본 사례연구를 통해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 증상, 검사, 치료 등에 대해 문헌고찰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간호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2. 연구 기간 및 방법
연구 기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사례연구는 2021년 5월 24일부터 6월 4일까지 약 2주간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대상자 사정, 대상자 EMR(전자의무기록) 관찰, 병명에 관한 자료수집 등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는 대상자의 증상, 생활습관, 활력징후 등을 직접 관찰하고 기록하였으며, 진단명, 치료 계획 및 경과, 처방된 약물 등의 정보를 EMR을 통해 수집하였다"" 또한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궤양성 대장염의 정의, 원인, 증상, 검사 및 진단, 치료, 간호, 합병증 및 예후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간호과정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평가하는 데 활용하였다""
1.3.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문헌 고찰
1.3.1. 궤양성 대장염의 정의
궤양성 대장염이란 대장에 염증 또는 궤양이 생기는 질환으로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만성 재발성 질환이다. 궤양성대장염에서 병적인 변화는 항문에 인접한 직장에서 시작되어 점차 안쪽으로 진행되는데, 병적인 변화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지 않고 모두 연결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거의 모든 궤양성대장염 환자에서 직장의 염증이 발견되며, 약 절반의 환자에서는 직장부터 에스결장까지, 1/4은 직장부터 에스결장과 왼쪽 대장까지, 나머지 1/4은 직장으로부터 횡행결장또는 오른쪽 대장에 이르기까지 대장 전체에 걸쳐 염증이 존재한다."
1.3.2.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과 함께 장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우리 몸의 과도한 면역반응 등이 중요한 발병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에는 서구화되어 가는 생활습관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등의 동양에서도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참고 자료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 외 (2019), 성인간호학 1, 수문사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 외 (2019), 성인간호학 2, 수문사
양성회, 외(2020), 기본간호학 1, 현문사
양성회, 외(2020), 기본간호학 2, 현문사
박호란, 박인숙, 전화연, 외 (2020)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박호란, 박인숙, 전화연, 외 (2020) 아동간호학 상권, 현문사
KIMS 의약정보센터 (kimsonline.co.kr)
네이버 지식백과 사전
송경애 외(2021) 최신 기본간호학 Ⅰ,Ⅱ (수문사)
송경애 외(2021)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Ⅰ, Ⅱ (현문사)
박은영 외(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2019)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