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병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시화병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 개요
2.1. 지리적 특성
2.2. 인구 특성
2.3. 건강 특성
2.4. 환경 특성
2.5.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2.6. 오락/휴식
2.7. 지역사회 자원

3. 지역사회 간호진단
3.1. 간호진단의 수립
3.2.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설정

4. 지역사회 간호계획
4.1. 간호계획 목표 설정
4.2. 간호방법 및 수단 선택
4.3. 수행 계획
4.4. 추진일정표
4.5. 평가 계획

5. 실습기관 특징
5.1. 물리적 환경
5.2. 인적 및 사회적 환경

6.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사업 및 활동
6.1. 정신건강사업의 목표
6.2. 구체적인 정신건강사업 활동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사람 자체보다는 지역사회 전체에 초점을 두는 간호과정으로, 지역사회의 인구와 지역사회를 둘러싼 환경, 건강 수준 등 전체적인 부분을 사정하고, 그에 따른 건강 문제를 발견하여 이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며 적정기능 수준의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2. 지역 개요
2.1. 지리적 특성

안산시의 총면적은 155.64km²로 경기도의 1.5%를 차지한다. 상록구는 58.00km², 단원구는 97.19km²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안산시는 동쪽으로는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및 수원시, 남쪽으로는 화성시, 북쪽으로는 시흥시와 접해 있다.

서울의 인구 및 산업 분산 시책의 일환으로 계획적이고 인공적으로 개발된 전원주택도시로, 서울 및 수도권 대도시들과 가까워 수도권 인구 및 기능을 분산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2. 인구 특성

안산시의 인구 특성은 다음과 같다.

안산시 총 인구는 650,918명으로, 이 중 상록구 인구는 345,351명, 단원구 인구는 306,420명이다(2019년 12월 기준). 안산시는 경기도 31개 지방자치단체 중 8번째로 인구수가 많은 도시이다.

안산시는 반월공단과 시화공단 등의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외국인 인구가 밀집하고 있는 국내 대표적인 다문화 지역이다. 안산시 전체 인구 중 외국인 인구 비율은 7.75%에 달한다. 단원구의 외국인 인구 비율이 11.88%로 상록구의 3.53%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49세(30%), 50~64세(26%)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젊은 도시 인구 구조를 보인다. 그러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의 8.93%로, 상록구가 10.04%, 단원구가 7.84%로 나타나 상록구의 노인 인구 비율이 더 높다.

기초생활수급자는 11,506명(7,420가구)이며, 독거노인 비율은 26.28%로 높은 편이다. 또한 다문화 혼인 건수는 전체 혼인 건수의 12.4%, 다문화 출생 비중은 9.2%를 차지하는 등 다문화 가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안산시 인구구조는 전체적으로 전국 평균보다 외국인 비율, 노인 인구 비율, 다문화 가족 비율 등이 높은 편이며, 산업단지 중심의 인구 유입으로 인해 지역별로 다양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3. 건강 특성

안산시의 건강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흡연율과 관련하여 상록구의 흡연률(25.0%)이 경기도 기준(20.5%)보다 높으며, 단원구(23.2%)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1개월 내 금연시도율이 경기도 10.4%보다는 높으나 전체 12%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음주율 측면에서 경기도의 월간 음주율은 59.8% (2018년 기준)였으며, 상록구는 60.2%로 단원구(60.1%)보다 높았다. 연간 음주자의 고위험 음주율도 상록구가 24.5%로 단원구(21.2%) 및 경기도(18.4%)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비만율의 경우 경기도의 비만율은 31.2%였으나, 상록구의 비만율은 37.2%로 단원구(34.6%)보다 높았다. 이는 활동량 부족, 부적절한 식생활, 수면 질 저하, 흡연, 음주 등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자살률은 경기도 21%에 비해 상록구 23.5%, 단원구 23%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우울감 경험률 또한 단원구보다는 낮으나 경기도 평균(6.9%)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다섯째, 치매 유병률은 경기도 9.7%였으나 상록구는 10.1%로 단원구(9.7%)보다 높았다. 추정치매환자 수도 상록구가 5,529명으로 단원구(3,204명)보다 많았다.

마지막으로 결핵 발생률이 안산시가 주변 지역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안산시의 건강 수준은 전반적으로 경기도 평균보다 좋지 않은 편이며, 특히 상록구가 단원구보다 건강지표가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4. 환경 특성

안산시 대기환경은 2017년 기준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오존, 일산화탄소 수준이 전국 및 경기도 평균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미세먼지(PM-10) 및 초미세먼지(PM-2.5)의 경우 전국 및 경기도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관리가 필요한 부분이었다. 안산시는 반월공단과 시화공단을 중심으로 대규모 공장지대가 많은 지역적 특색으로 인하여 지역주민들이 공단을 통한 환경오염 문제를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특히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높게 측정되어 지역사회의 대기오염에 대한 우려가 컸다. 한편 도시가스보급률 97.4%, 상하수도 보급률 99.1%, 도로포장률 99.9%, 생활폐기물 수거 처리율 100%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어 전반적인 생활 인프라는 양호한 편이었다.


2.5.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안산시는 교통이 편리한 도시로, 지하철과 버스 노선이 잘 갖추어져 있어 지역 주민들의 이동이 용이하다. 서해선, 수인 분당선, 4호선 등의 지하철이 운행되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영동고속도로가 단원구를 지나가고 있어 타 지역과의 연결이 편리하다. 도로 포장률이 99.4%로 높은 편이며, 시내버스도 130개 노선이 운행되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편이다. 자동차는 2021년 기준 316,309대가 등록되어 있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원주역과 인접해 있어 타 지역과의 이동이 편리하다. 따라서 안산시는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성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2.6. 오락/휴식

안산시의 오락 및 휴식 시설은 다음과 같다.

안산시 도시공원은 2015년 기준 총 197개소(생활권공원 180개소, 주제공원 17개소)로 2011년 이후 계속해서 확장되어 왔다. 총 공원면적은 6,529km2이며, 1인당 도시공원면적은 13.15㎡로, 경기도(13.61㎡)및 전국(18.13㎡)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다.

안산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 도로를 계속해서 확장하고 있으며, 2015년 기준 총 52...


참고 자료

지역사회간호학 편찬위원회 , 2019, 지역사회간호학 Ⅰ, Ⅱ, 수문사
정혜영 외, 2019,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지침서, 수문사
제 7기 안산시 지역보건의료계획
안산시청 홈페이지, 안산시 통계 (http://stat.iansan.net/)
권문희 외 공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지침서」, 은학사, 2023년 P36-88
지역사회 건강통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2021년, 1p-286p
대한민국 공공데이터포털, ’내국인 및 외국인 현황‘, https://www.data. co.kr/data/3069669/fileData.do, 2023. 7. 24
대한비만학회, 비만, https://www.kosso.or.kr/, 2023. 7. 28
대한영양사협회, ’성인비만관리‘, https://www.dietitian.or.kr/work/business/kb_c_adult_obesity_food.do, 2023. 7. 28
서울아산병원,’비만‘,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09, 2023 .7. 26
안산시 단원보건소, ‘안산시 위치’, https://www.ansan.go.kr/health/common/cntnts/selectContents.do?cntnts_id=C0001639, 2023. 7. 23
안산시청, ’안산 통계‘, https://www.ansan.go.kr/www/common/cntnts/selectContents.do?cntnts_id=C0001097, 2023. 7. 24
통계청, https://kostat.go.kr/ansk/, 2023. 7. 24
행정안전부, ‘연령별 인구현황‘, https://jumin.mois.go.kr/index.jsp, 2023 .7. 23
kosis 국가통계포털, ’지역사회건강조사‘, https://kosis.kr/index/index.do, 2023. 7. 24
원주시(2019),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원주시 보건소 http://www.wonju.go.kr/health/index.do#n
원주시청 홈페이지 http://www.wonju.go.kr/www/index.do
원주시 정신건강증진센터 http://loveme.yonsei.kr/
원주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http://www.alja.or.kr/main.php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index/index.do
강원통계정보 http://stat.gwd.go.kr/sub/sub02_02.asp?id=211_21103
이수정(2005).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정신보건간호사의 업무중요도인식 및 업무수행정도
신지연(2003). Case management의 개념과 방법론-지역사회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보건복지부. 2020 정신건강사업 안내
원주시정신건강복지센터(2019). 2018 정신건강사업보고서
강원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2016). 강원도 정신보건정보화 시스템 등록현황 분석 보고서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