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래 직업 세계의 변화
1.1. 중장년과 노년 노동시장 확대
향후 고령화가 심화할 것임을 고려할 때, 미래 직업 세계는 중·장년 또는 노년 노동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만 55세부터 65세 중장년 고용률은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였고 2018년부터 2021년까지 66%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용률 또한, 2014년 31.1%에서 2020년 34.1%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후 미래 직업 세계는 중·장년과 노년 노동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1.2. 대상별 특화 진로 지원 확대
미래 직업 세계에서는 다양한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특화 진로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 사회는 1인 가구 증가, 다문화가족, 한부모가족, 비혼 가족 등 가족 형태가 다양화되고 사회적 불평등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고려할 때, 미래 직업 세계는 대상별 특화 진로 지원이 확대될 것을 전망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고용 취약계층 일자리 기회 확대를 위해 일자리 사업 예산 확충을 계획하였고 청년 구직포기자(NEET) 등의 비경제활동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 경험과 훈련 기회를 확대하고 취약 유형별 맞춤형 지원방안을 계획하였다. 또한, 고령자 고용장려금 지원 대상 확대, 공공부문 장애인의무고용률 향상을 계획하였다.
교육부 또한 소외계층을 위한 평생 학습 사다리 마련을 목적으로 평생교육 지원금 지원, 방송고 교육비 부담 경감, 장애인 맞춤형 평생교육 제공 강화 등의 계획을 마련하였다.
연구자들은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저소득층이나 노년층,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관련 기관 간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대상을 지원하는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고, 관련 직업의 수요 또한 증가할 것임을 알 수 있다.
1.3. 신산업 직업 수요 증가
신산업 직업 수요 증가는 과학기술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과학기술 발전과 신산업 성장은 신기술 직업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과학기술 발전으로 인해 반복적인 직무를 수행하는 직업이 감소하고 신기술을 활용하는 직업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대형 금융그룹 Cit는 IT 및 제조 분야의 중요성이 증가할 것이라 주장하였고, 2016년 미국 백악관(White House)은 AI 기술과 관련한 직업의 고용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세계경제포럼(WEF)은 데이터 분석가·과학자, AI·기계학습 전문가, 빅데이터 전문가 등 신기술을 활용하는 직업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반면, 데이터 입력 사무원, 비서, 회계사 등 자동화로 인해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직업은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국내에서도 한국고용정보원은 미래 유망 신직업으로 온라인 도우미, 이러닝 전문가, 건강기능식품 상담사, 모바일 건강관리 코디네이터 등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기후변화 위기 대응을 위한 신산업 분야에서도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한국이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 제고 및 재생에너지원 개발에 투자할 경우 2030년까지 약 81~86만 개, 2031년부터 2050년까지 약 90~120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탄소 중립 달성 시 신재생에너지 분야 고용이 2050년까지 약 4,3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처럼 기술 변화에 따른 신산업 성장은 신기술 직업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미래 직업 세계의 변화도 예상된다.
1.4. 직장 이동 증가 및 고용관계 변화
삶의 다양성 증가로 인해 경력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하고, 기술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러한 사회 변화는 직장 이동 증가 및 고용관계 변화의 직업 세계 변화를 일으킨다. 최근 개인의 주도적인 경력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경력 관련 연구 분야는 조직의 경계를 초월하여 조직 안팎으로 경력을 개발하는 무경계 경력(boundary-less career), 자기 경력에 스스로 가치를 부여하고 주도적으로 경력을 개발하는 프런티언 경력(protean career)에 대한 담론이 확산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