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간호 평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상세정보

소개글

"방문간호 평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복약 순응도 평가
1.1. 대상자 정보
1.2. 복약순응도 평가 (Modified Morisky Scale, MMS)
1.3. 복약순응도 평가 결과 및 분석
1.4. 복약순응도 향상을 위한 계획 및 수행

2. 지역사회간호학실습 보고서
2.1. 대상자 사정
2.1.1. 울산 울주군의 특성
2.1.2. 가족 사정도구
2.1.3. 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2.1.4. 일상생활활동능력
2.1.5. K-MMSE
2.2. 대상자 간호진단
2.3. 대상자 간호계획
2.4. 간호 수행
2.5. 간호 평가

3.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고서
3.1. 대상자 사정 양식
3.1.1. 울산 울주군의 특성
3.1.2. 가족 사정도구
3.1.3. 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3.1.4. 일상생활활동능력
3.1.5. K-MMSE
3.2. 대상자 간호진단
3.3. 대상자 간호계획
3.4. 간호 수행
3.5. 간호 평가
3.6.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복약 순응도 평가
1.1. 대상자 정보

대상자 김OO는 여성, 85세로 주요 문제는 복약순응도 평가이다. 복약순응도 평가 결과 지식 영역은 낮고 동기 영역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는 자신의 약물 복용량을 잘 알고 있으며, 약을 정기적으로 복용하려는 의지가 있으나 기억력 저하로 인해 약 복용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약물에 대한 정보 이해도가 낮아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김OO 대상자의 복약순응도는 낮은 지식과 높은 동기 수준을 보이고 있다."


1.2. 복약순응도 평가 (Modified Morisky Scale, MMS)

복약순응도 평가 (Modified Morisky Scale, MMS)은 약물 복용 행태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이 도구는 총 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식 영역 3문항과 동기 영역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식 영역과 동기 영역 각각 0-3점으로 채점되며, 총점은 0-6점이다.

이 도구는 대상자의 약물 복용 행태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상자의 약물 복용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약물 복용에 무관심한 경우, 상태가 호전되어 약물 복용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약물 복용의 장기적인 이점에 대한 지식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약물 복용 행태를 이해하고, 복약순응도 향상을 위한 맞춤형 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본 사례에서는 대상자 김OO씨의 복약순응도를 Modified Morisky Scale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김OO씨는 지식 영역 1점, 동기 영역 2점으로 총점 3점을 받았다. 이는 낮은 지식과 높은 동기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복약순응도 향상 계획을 수립하였다.


1.3. 복약순응도 평가 결과 및 분석

대상자 김OO씨는 낮은 지식(1점)과 높은 동기(2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는 약물의 효과에 대해 질문하였을 때 답을 하지 못하였고, 약물을 잠자리 바로 위 서랍에 보관하고 계시는 등 약물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약을 항상 먹으려 노력하며, 다리가 아파도 기어서라도 약을 받으러 가는 등 복약에 높은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는 약 복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약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 복용법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상자의 낮은 지식으로 인해 약물 복용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복약에 대한 높은 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대상자가 약물 복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어 교육을 통한 지식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상자의 낮은 지식 수준을 보완하고 높은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4. 복약순응도 향상을 위한 계획 및 수행

대상자 김OO씨는 복약순응도 평가 결과 낮은 지식과 높은 동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복약순응도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과 수행 활동이 이루어졌다.

첫째, 처방된 투약을 잘 지키려는 대상자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강화하고 지지하였다. 대상자가 약물을 처방에 맞춰 복용하려는 노력(약물을 잠자리 바로 위에 보관)을 칭찬하며 앞으로도 잘 챙겨 드시도록 격려하였다.

둘째, 현재 처방약이 떨어지기 전에 어떻게 약을 받아올지에 대해 대상자와 논의하였다. 대상자는 다리가 아픈데도 기어서라도 약을 받으러 가겠다고 하였는데, 자식들이 직장에 다니느라 와달라고 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방문간호사가 약을 받으러 가는 방법을 도와드리기로 하였다.

셋째, 대상자의 낮은 지식 수준을 고려하여 약물요법의 필요성, 약물의 효과, 흔한 부작용, 복약 시간 교육, 질병에 따른 약물 분류 등에 대해 교육하였다. 또한 지침서를 제공하여 투약방법을 자세히 안내하였다.

넷째, 대상자가 약물을 잊지 않고 규칙적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관리 활동을 실시하였다. 핸드폰에 알람을 맞추어 약 복용 시간을 알려주었고, 365일 건강달력에 약물 사진과 설명을 붙여두었다. 또한 약물 보관함에 약물 정보를 부착하여 언제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 방문 시에는 교육받은 내용을 잘 기억하고 있는지, 실제로 약물을 규칙적으로 복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약물 복용을 잘하고 있다면 긍정적으로 강화할 것이며, 그렇지 않다면 약물요법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다각도의 중재를 통해 대상자의 복약순응도 향상을 도모하였다. 대상자의 낮은 지식과 높은 동기를 고려하여 교육, 관리, 격려의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대상자의 건강관리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2. 지역사회간호학실습 보고서
2.1. 대상자 사정
2.1.1. 울산 울주군의 특성

울산 울주군은 울산광역시 서남쪽에 위치한 읍이다. 울주군은 동으로 삼동면, 서로는 상북면, 북으로는 언양읍이, 남으로는 양산시 하북면이 위치하고 있으며 면남북으로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있다. 울주군의 지리적 여건은 동쪽으로 문수산, 남쪽으로 정족산, 서쪽에 신불산 등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울주군의 인구는 2023년 기준 총 227,694명으로, 이 중 남자 118,748명, 여자 108,946명이다. 삼남읍의 경우 총 인구가 22,516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울산 울주군의 환경적 특성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 비산먼지 발생사업장, 폐기물 배출사업장, 수질 오염원 등이 총 3,015개소가 있다.

울주군의 건강 상태를 살펴보면, 2021년 기준 당뇨병 혈당 수치 인지율은 12.6%로 울산 전체 27.1%에 비해 낮다. 또한 당뇨병 진단 경험률도 9.0%로 울산 전체 10.1%보다 낮다. 중등도 이상 신체 활동 실천율은 15.5%, 걷기 실천율은 35.0%, 건강생활 실천율은 25.5%로 울산 전체 수치보다 낮은 편이다.

주요 지역사회 자원으로는 종합병원인 서울산보람병원, 울주군보건소, 그 외 요양병원 및 병원들이 있다.


2.1.2. 가족 사정도구

가족 사정도구는 가족의 구조, 기능, 강점과 문제점을 사정하여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도구이다. 가족 사정도구는 가족구성요소, 환경요소, 가족기능영역, 가족강점 등 총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가족구성요소는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상태, 건강행태를 포함한다. 대상자의 성, 연령, 의료보장, 종교, 직업, 질병유무...


참고 자료

권영숙 외(2018), 원론 지역사회간호학, 신광출판사
지역사회간호학실습1 지침서
안양희 외(2017),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서울: 현문사
서울 아산병원, 당뇨식 식사요법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삼남읍 현황 https://www.ulju.ulsan.kr/samnam/contents.do?mId=0105000000
울주군 읍, 면별 주민등록인구 및 세대수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207&tblId=DT_20703_006
2021년 지역사회 건강통계_울산광역시_울주군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지역 환경 현황https://www.ulsan.go.kr/u/envi/contents.ulsan?mId=00*************000
삼성서울병원: 당뇨병 관리 방법 - 운동요법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DM&MENU_ID=008035
삼성서울병원: 당뇨병 관리 방법 – 발 관리법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DM&MENU_ID=008039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당뇨인을 위한 식사요법 가이드 북 (P8)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당뇨 (P1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