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에릭슨, 프로이드, 피아제, 화울러 발달이론 보고서 참고문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아동발달 이론
2.1.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 Erikson
2.2. 인지발달 이론 - Piaget
2.3. 성심리발달 이론 - Freud
2.4. 도덕발달 이론 - Kohlberg
3. DDST II(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
3.1. 목적 및 대상
3.2. 사정영역
3.3. 결과해석 및 의미
4. 크룹(Croup)
4.1. 원인 및 발생빈도
4.2. 병태생리
4.3. 임상증상
4.4. 진단 및 치료
4.5. 간호관리
4.6. 합병증 및 예후
5. 아나필락시스
5.1. 정의
5.2. 원인
5.3. 병태생리
5.4. 임상증상
5.5. 진단
5.6. 경과 및 예후
5.7. 치료
5.8. 간호중재
6. 사례연구
6.1. 자료수집
6.2. 간호과정
7. 결론 및 제언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수년간 아동 및 청소년 사이에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알러지 쇼크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대형 의료 보험 업체 블루 크로스 블루 쉴드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과 2016년 사이 급성 알러지 쇼크인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가 발생한 18세 미만 환자의 숫자가 크게 늘었다고 발표하였다. 이 기간 중 아나필락시스 발생으로 인해 병원 응급실을 찾은 18세 미만 환자의 비율은 2010년 1만 명당 약 1.4명에서 2016년 약 3.5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급실에 실려 온 환자 중 약 47%는 땅콩과 같은 견과류나 씨앗 음식에 노출된 것이 알러지 쇼크 발생 원인이었고, 나머지 약 53%는 알려지지 않는 원인이었다.
이처럼 아동 및 청소년의 알레르기 반응, 특히 심각한 증상인 아나필락시스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와 대처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참조한 문서의 document index=3] 기간 동안 아동간호학실습을 진행하면서 대상자인 Charlie Snow의 알레르기로 인한 아나필락시스에 대해 조사하고, 영아와 아동의 응급실 내원의 가장 큰 원인인 아나필락시스라는 증상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아나필락시스의 병태생리, 증상, 진단 및 치료, 간호중재 등을 고찰하고 실제 사례를 통해 아나필락시스 관리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에릭 홈부르거 에릭슨은 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확장해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주변의 가족을 넘어 더 큰 사회적 환경 내에서의 아동에 대해 연구했다. 그는 전체 생애주기를 영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총 8단계로 나누었고, 각각의 단계에는 이루어야 하는 일련의 중요한 과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각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것은 정상적이고 개인이 독립심을 증가시키고 자기 자신 및 타인에 대해 긍정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고 건강한 개인으로 발달해 나갈 수 있지만, 어느 단계에서 실패하면 그 단계와 관련된 정신적 결함을 갖고 살아가게 된다고 했다.
콜버그는 아동이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획득하면서 점차적으로 도덕적 추론을 발달시킨다고 믿었다. 콜버그는 도덕 발달 단계의 수준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개념은 내면화의 정도라고 했다. 그리고 도덕적 발달을 3가지 수준으로 확인했으며, 여기서 다시 6가지 하위단계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 수준은 4세에서 10세까지가 해당하는 전인습적 수준으로 체벌과 복종 지향 단계이자 개인적 보상 지향 단계이다. 아동은 복종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통해 추론을 배우고 정해진 규칙은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되고 거의 절대적으로 의지하게 된다. 두 번째 수준은 10세에서 15세까지 해당되는 인습적 수준으로 상호적 동조 지향 단계이자 법과 질서 지향 단계이다. 세 번째 수준은 청소년기 이후에 해당하는 인습 이후의 수준으로 사회적 계약과 법률 지향 단계이자 보편윤리적 원칙 단계이다.
2. 아동발달 이론
2.1.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 Erikson
에릭 홈부르거 에릭슨은 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확장해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주변의 가족을 넘어 더 큰 사회적 환경 내에서의 아동에 대해 연구했다.
그는 전체 생애주기를 영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총 8단계로 나누었고, 각각의 단계에는 이루어야 하는 일련의 중요한 과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각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것은 정상적이고 개인이 독립심을 증가시키고 자기 자신 및 타인에 대해 긍정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고 건강한 개인으로 발달해 나갈 수 있지만, 어느 단계에서 실패하면 그 단계와 관련된 정신적 결함을 갖고 살아가게 된다고 했다.
1단계는 출생 시부터 1세까지 경험하는 '신뢰감 대 불신감' 단계이다. 출생 시 아동은 무력하고 자신의 욕구를 위해 전적으로 남에게 의존한다. 이러한 욕구가 적절한 때에 적절한 방법으로 충족된다면 아동은 사람과 자신이 놓인 환경에 대한 신뢰감을 가지게 된다. 신뢰감은 양육자로부터 일관되고 동일한 돌봄을 받았을 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영아는 자신의 욕구에 대처할 수 있으며 자신에 대한 신뢰를 배운다. 신뢰감은 건강한 인격의 기초가 된다.
2단계는 1세부터 3세까지 경험하는 '자율성 대 수치심, 의심' 단계이다. 이 시기 아이들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통제력을 갖고 독립심이나 자율성을 발달시키기 시작한다. 자율성은 먹기, 움직임, 옷 입기나 배설 통제 등을 포함하는 기술의 획득을 특징으로 한다. 독립심을 발달시키는 것은 아동의 자아개념을 강화시킨다.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애정 어린 지지가 없으면 아이는 수치심과 의심을 느끼게 된다.
3단계는 3세부터 6세까지 경험하는 '주도성 대 죄책감' 단계이다. 이 단계의 아동은 자신의 주변 환경을 탐색하고 각기 다른 역할을 시도하기 시작한다. 상상과 호기심이 아이의 잠재력을 확장하고 발달시킨다. 부모와 양육자는 아이가 안전한 경계선 내에서 이러한 탐색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해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유 없이 아이는 죄책감과 부적절하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4단계는 6세에서 12세까지 경험하는 '근면성 대 열등감' 단계이다. 이 시기의 아동은 여러 새로운 사회적 기술과 신체적 기술을 습득한다. 학령기 아이들은 학습 및 타인과 함께하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성숙함을 가진다. 이들은 칭찬과 인정을 갈구한다. 가족들은 아이의 학교생활을 지지하고 준비시킬 수 있어야 하며 학교 또한 이러한 노력을 지속시킬 수 있어야 한다.
5단계는 12세부터 20세까지 경험하는 '정체성 대 역할 갈등' 단계이다. 이 단계는 아동기와 성인기 사이의 전환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아동과 가족 모두에게 혼란을 초래하는 심리적·정서적 변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 시기의 주된 문제 중 하나는 드러나는 개인의 성생활과 사회 내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고자 하는 욕구이다.
6단계는 20세부터 30세까지 경험하는 '친밀감 대 고립감' 단계이다. 이 단계의 목표는 타인과 가깝고 의미 있는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의미 있는 친밀한 관계 형성에 실패하면 개인은 외로움과 고립감을 가지게 된다.
7단계는 30세부터 65세까지 경험하는 '생산성 대 침체' 단계이다. 에릭슨은 생산성을 중년의 성인이 리더십, 생산성, 후세에 대한 걱정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이라고 정의했다. 생산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은 침체를 불러온다.
8단계는 65세부터 사망 때까지 경험하는 '자아통합 대 절망' 단계이다. 이 시기 동안에는 삶의 경험을 돌아보게 된다. 자아통합은 개인이 과거의 선택이 그 당시에 할 수 있는 최선이었음을 받아들일 때 이루어진다. 자아통합은 개인이 이전 단계의 과제를 해결했으며 자신의 삶을 다시 살고 싶다는 생각이 거의 없는 것을 뜻한다.
2.2. 인지발달 이론 - Piaget
피아제(Jean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은 인간의 지적 성장과 발달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피아제는 아동이 자신의 감각기관과 운동기술을 통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점진적으로 인지 구조를 발달시킨다고 보았다.
피아제는 아동의 지능이 정적인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변화한다고 보았다. 아동은 끊임없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끊임없이 환경에 적응하려 노력한다. 이 과정에서 인지구조가 변화하고 발달한다는 것이다.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따르면, 아동의 발달은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4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각 단계에서 아동은 새로운 인지능력을 획득하게 되며, ...
참고 자료
Elaine U. Polan 외, 『인간발달과 건강증진』, 현문사, 2016
강경아 외, 『아동청소년 간호학Ⅰ』, 군자출판사, 2020
이철수, 『사회복지학사전』, Blue Fish, 2009
한국심리학회
권윤정 외(2016). 소아청소년을 위한 아동건강간호학,발달단계-P79~92 서울 : 퍼시픽북스
권윤정 외(2016). 소아청소년을 위한 아동건강간호학, DDST ll-P196~198 서울 : 퍼시픽북스
이수진 외(2013). 바이러스에 의한 소아 급성 하기도 감염의 유행 및 임상양상
Viral Patterns and Clincal Analysis of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of Children in Kore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서울대학교병원 급성 폐쇄성 후두염
Russell KF, Liang Y, O'Gorman K, Johnson DW, Klassen TP (2011). Klassen, Terry P, 편집. “Glucocorticoids for croup”. 《Cochrane Database Syst Rev》
한국일보 기사 [치명적 급성앨러지 ‘아나필락시스’ 유아·청소년 비상]
http://www.koreatimes.com/article/1175432
[네이버 지식백과]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112&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아나필락시스(Anaphylactic shock)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17
이영휘(2020). 성인간호학I. 학지사메디컬, p.101
약학정보원 [normal saline] [epinephrine] [diphenhydramine] [ranitidine] [methylprednisolone]
이은희 외 9인. 비판적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NANDA international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11TH EDITION 2018-2020. 학지사메디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