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숙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의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발달이론에 대한 논쟁
1.2. 유전과 환경의 영향
2. 성숙주의 이론
2.1. 게젤의 성숙이론
2.2. 몬테소리의 민감기이론
2.3. 성숙이론의 시사점
3. 행동주의 이론
3.1. 왓슨의 행동주의 이론
3.2. 행동주의 이론의 평가 및 시사점
4. 구성주의 이론
4.1. 구성주의의 이론적 배경
4.2. 구성주의의 기본 전제
4.3. 구성주의의 보육 및 교육 프로그램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발달이론에 대한 논쟁
오래전부터 인간의 발달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들이나 이론가들은 인간의 다양한 측면의 발달, 즉 정서, 성격, 언어, 기질 등 어떻게 형성되었고, 그 발달과정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또한 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은 무엇이며, 인간은 어떤 존재인지 등에 대해 서로 상반되는 주장을 해 왔다. 발달에 대한 대표적인 논쟁 중 하나인 환경과 유전의 문제는 지금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즉 유전과 환경의 문제는 시대마다 다양한 용어를 가지고 논쟁을 거듭해 왔다. 자연대 양육, 성숙대 학습, 생득론대 문화적 상대주의, 선천적 특질대 획득된 특성,유전대 사회적 통제 등이 있다. 20세기 행동주의자들은 자신이 경험한 학습이 인간발달에서의 변화에 대한 근원이기 때문에 인간은 환경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학습경험을 하게 되면 새로운 발달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은 발달이 선천적인 유전보다 후천적으로 제공되는 환경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입장의 이론들은 양육, 학습, 획득된 특성, 문화적 상대주의, 사회적 통제 등에 의해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봄으로써 인갈발달에서 환경적 요인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이러한 환경론은 인간이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수동적인 존재로 간주한다. 이와 비교하여 유전론은 인간발달이 자연, 생득론, 유전, 성숙, 선천적 특질 등과 같은 타고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 발달에 있어서의 선천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표적으로 18세기 자연적 낭만주의자인 루소(Rousseau)는 발달 시 아동의 단계를 결정짓는 가장 영향력 있는 힘은 타고난 본성, 즉 자연이라고 주장하였고 아동 자신의 속도에 맞는 발달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아동중심의 양육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결국 유전을 강조하는 입장은 인간은 누구나 보편적인 발달양상이 있으며 아동이 경험하는 환경조차 유전적 특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 능동적 개체로서의 인간 유기체를 강조했다.
1.2. 유전과 환경의 영향
오래전부터 인간의 발달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들이나 이론가들은 인간의 다양한 측면의 발달, 즉 정서, 성격, 언어, 기질 등 어떻게 형성되었고, 그 발달과정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또한 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은 무엇이며, 인간은 어떤 존재인지 등에 대해 서로 상반되는 주장을 해 왔다.
발달에 대한 대표적인 논쟁 중 하나인 유전과 환경의 문제는 지금까지도...
참고 자료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교안, 영육아교수방법론
두산백과, 행동주의
조성연 외5, 아동발달 / 신정
정인숙 외4, 아동발달의 이해 / 태영출판사
김경은·민성혜(2016).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양서원
황정숙∙김옥분(2016). 영유아발달. 창지사
문혁준·김경은·서소성·성미영·안선희 외 3명(2014). 유아발달. 창지사
양승희∙유지연∙조현정(2014). 보육과정. 동문사
조연경, 영유아 교수방법, 한국HRD 원격평생교육원
김미환 외, 현장 교육학, 동문사, 2008
정덕희, 유아의 조망수용 마음이론과 정서지능의 관련성, 열린유아교육연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