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문장 유형 개관
영어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문장의 유형은 동사의 성질에 따라 크게 1형식, 2형식, 3형식, 4형식, 5형식으로 나뉜다"".
1형식 문장은 주어와 동사로만 구성된 문장으로, 동사는 완전자동사이다"". 이 문장 유형에는 유도부사가 이끄는 문장과 there 구문이 속한다"".
2형식 문장은 주어와 동사, 그리고 주격보어로 구성되며, 동사는 불완전자동사이다"". 주격보어에는 명사, 형용사, 부사절 등 다양한 형태의 언어 단위가 올 수 있다"".
3형식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로 구성되며, 동사는 완전타동사이다"". 타동사 중에서도 전치사와 함께 쓰이는 동사구와 동족목적어, 상호목적어를 취하는 동사가 있다"".
4형식 문장은 주어, 동사,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로 구성되며, 동사는 수여동사이다"". 수여동사는 문장을 3형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데, 전환 시 동사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5형식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 목적격보어로 구성되며, 동사는 불완전타동사이다"". 이 문장 유형에는 사역동사와 지각동사가 포함되며, 목적격보어의 형태는 동사의 종류와 목적격보어의 역할에 따라 달라진다"".
이처럼 영어 문장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문장 구조를 정확히 분석하고 활용하는 데 중요하다"".
1.2. 불완전자동사와 주격보어
2형식 문장에서 주격보어는 주어의 상태나 특성을 표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어의 위치가 주어 다음이므로 주격보어라고 불리는데, 이는 주어와 일치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입니다. 주격보어에는 명사, 형용사, 부사구, 부정사구, 동명사구 등 다양한 품사와 어구가 올 수 있습니다.
명사 보어의 경우 주어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며, 형용사 보어는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그는 교사이다", "그녀는 기분이 좋아 보인다"와 같이 주어와 보어가 동일한 대상을 나타내거나 주어의 상태를 설명합니다.
한편 불완전자동사는 주어와 동사만으로는 문장의 의미가 완전하지 않아 보어가 필요한 동사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불완전자동사로는 be, become, seem, appear, feel, sound, smell, taste, grow, go, turn, prove, run 등이 있습니다. 이들 동사는 주어의 상태나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주격보어와 함께 쓰이게 됩니다.
따라서 2형식 문장에서 주격보어는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불완전자동사는 주어만으로는 문장의 의미가 완전하지 않아 주격보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동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이다.
1.3. 준동사의 특징 및 용법
준동사(verbals)는 동사의 성격을 띠지만 동사의 기능을 완전히 수행하지는 않는 언어 요소이다. 준동사에는 부정사, 분사, 동명사가 포함된다.
준동사는 의미상의 주어를 가질 수 있으며, 주어와의 인칭과 수, 시제상 제약도 거의 없다. 준동사는 단순형과 완료형의 시제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준동사 앞에 부정어(not)를 두어 부정을 나타낼 수 있다.
부정사는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부정사는 단순시제(to + 동사원형)와 완료시제(to have + p.p)로 나뉜다. 부정사는 목적, 결과, 이유, 원인, 조건 등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분사는 동사와 형용사의 기능을 수행한다. 분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로 구분되며, 시제를 나타낼 수 있다. 현재분사는 동시동작을, 과거분사는 선행동작을 나타낸다. 분사구문은 접속사로 시작하여 주어, 동사를 포함하는데, 주어가 같으면 생략할 수 있다.
동명사는 동사의 명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동명사는 단순시제와 완료시제로 구분되며, 시제 표현이 가능하다. 동명사는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일 수 있다. 준동사 중 동명사가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인다.
준동사의 다양한 용법과 시제 표현, 의미상 주어 처리 등은 영어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준동사의 특징과 용법에 대한 이해는 영어 문장 분석과 작문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본론
2.1. 1형식 문장
2.1.1. 완전자동사의 특징
완전자동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완전자동사는 스스로 의미를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어 목적어나 보어가 필요 없다. 따라서 완전자동사 뒤에는 명사나 형용사가 올 수 없다. 다만 부사, 부사구, 부사절 등은 올 수 있으며 문형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둘째, 완전자동사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이다. 자동사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 주어에만 미치는 동사를 말한다. 따라서 1형식 문장의 동사는 모두 자동사이며, 이를 완전자동사라고 한다.
셋째, 완전자동사의 예로는 start, depart, rise, leave, arise, dwell, appear, stay, surge, travel, fall, work, lie, meet, reply, exist, respond, prevail, increase, decrease, disappear, drop, expire, plunge, deteriorate, grow, happen, occur, begin 등이 있다. 이들 동사는 주어와 동사만으로 문장이 완성되므로 1형식 문장에 등장한다."
2.1.2. 유도부사와 there구문
유도부사 'here'가 이끄는 문장에서는 주어가 동사 뒤에 위치하므로 주어와 동사의 수 일치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Here we are."(우리가 여기 있다), "Here you are."(당신이 여기 있다) 등과 같이 주어의 수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달라진다"".
또한 'there' 구문은 임의의 사람이나 사물의 존재나 상태를 언급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There was water in the floor where he fell."(그가 넘어진 곳에 물이 있었다), "There were too many people at the party."(파티에는 너무 많은 사람이 있었다) 등과 같이 'there'가 이끄는 문장에서는 실제 주어가 동사 뒤에 나온다"".
'there'는 단순히 존재나 상태를 나타내는 것 외에도 'be going to', 'be to' 등의 유사 조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미래의 일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There is going to be a demonstration held at six."(6시에 시위가 있을 것이다), "There are to be three senators here for the conference."(회의에 세 명의 상원 의원이 올 것이다) 등이다"".
2.1.3. 부사(방향)와 이동동사
부사(방향)와 이동동사는 1형식 문장에서 자주 나타나는 표현이다. 1형식 문장은 주어와 동사만으로 의미가 완전한 문장이지만, 부사나 부사구를 통해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동동사와 방향을 나타내는 부사가 함께 쓰이면 주어의 움직임과 방향을 명확히 드러낼 수 있다.
대표적인 이동동사로는 come, go, rise, fa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