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혈압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혈압
1.1. 정의
1.2. 원인 및 병태생리
1.3. 증상
1.4. 진단적 검사
1.5. 치료 및 간호
2. 퇴행성 슬관절염
2.1. 정의
2.2. 원인 및 병태생리
2.3. 증상
2.4. 진단적 검사
2.5. 치료 및 간호
3. 고혈압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자가간호 이행의 관계
3.1. 서론
3.2. 연구 방법
3.3. 연구 논의
3.4.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혈압
1.1. 정의
고혈압(Hypertension)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정의되는 혈압으로 현대 사회의 만성질환 중 하나로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고혈압은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유병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200만 명을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실제 의료기관에서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은 2018년 기준 970만 명이며, 고혈압 치료제를 복용하는 사람도 650만 명에 이르고 있다. 2020년 현재에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혈압은 방치하여 진행되면 뇌혈관 및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 및 사망률을 높이는 큰 문제로 이에 대한 관리와 치료를 필요로 하고 있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고혈압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은 대부분 그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90-95%)과 특정 원인으로 발병한 이차성 고혈압(5-10%)으로 구분된다. 본태성 고혈압의 경우 정확한 발병 기전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고염식이, 흡연 등의 환경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압은 심박출량과 말초혈관저항의 곱으로 결정되며, 본태성 고혈압의 경우 이 두 가지 요인 중 하나 이상의 증가로 인해 발병한다.
먼저 심박출량 증가는 교감신경계 활성화에 의한 것으로, 교감신경계가 자극되면 심장박동수와 수축력이 증가하고 말초 혈관이 수축되면서 레닌 분비가 자극되어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장애로 인해 산화질소 생성이 저하되고 엔도텔린이 증가하면 혈관이 수축되어 혈압이 상승한다.
한편 체액성 조절 기전의 이상으로 인한 말초혈관저항 증가도 고혈압 발병에 관여한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의 활성화로 인해 체내 나트륨과 수분 저류가 증가하면 순환 혈액량이 늘어나고 말초혈관이 수축되어 혈압이 상승한다. 항이뇨호르몬의 분비 증가 또한 체액량 증가를 유발하여 혈압을 높인다.
이 외에도 혈액의 점도 증가, 혈관의 길이 증가, 혈관 직경 감소 등 혈역학적 요인들도 말초혈관저항 증가에 기여한다. 결과적으로 본태성 고혈압은 이러한 다양한 기전의 복합적 작용에 의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이차성 고혈압은 신장질환, 내분비질환, 약물 부작용 등 특정한 원인에 의해 발병한다. 신장의 기능 저하로 인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 활성화, 부신 호르몬 과다 분비, 신장동맥 협착 등이 대표적인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이다.
1.3. 증상
고혈압의 증상은 대부분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데, 이는 뇌, 심장, 콩팥 등 주요 장기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할 때까지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피로, 호흡 곤란, 심계항진, 현훈, 협심증, 활동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이른 아침에 두통이 발생하며 눈이 침침하고 이유 없이 코피가 나거나 우울해지는 증상이 흔히 관찰된다.
고혈압으로 인한 가장 흔한 합병증은 주요 장기에 대한 진행성 손상이다. 혈압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혈뇨, 시야 흐림, 일시적 뇌허혈에 의한 어지러움, 협심증, 심부전에 의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드물지만 대동맥박리나 대동맥류에 의한 흉통도 있을 수 있다.
이차성 고혈압의 경우 기저질환과 관련된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아침 두통, 주간 과도한 졸림, 우울증, 집중력 저하, 야간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환자에서는 다뇨 및 다음, 근무력감이, 쿠싱증후군 환자에서는 체중증가와 정서불안이, 갈색세포종 환자에서는 발작성 두통, 두근거림, 발한, 기립성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종합해보면, 고혈압 환자는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합병증이 진행되면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라 불리는 이유이자, 조기 발견과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이다.
1.4. 진단적 검사
고혈압 환자의 진단을 위해서는 건강력 조사, 신체검진 및 각종 검사가 시행된다.
건강력 조사 시 고혈압에 관한 위험인자를 파악한다. 즉, 가족력, 연령, 흡연, 운동 습관, 성격 등...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서울
최스미 외(2015), 인체 구조와 기능, 수문사, 경기도 파주시
“고혈압”, 인하대병원, 2020.11.29
https://www.inha.com/site/iccvc/information/hypertension
“본태성 고혈압”,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2020.11.29
http://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department/cardiology/disease/view.asp?con_no=20149
“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삼성서울병원, 2020.11.29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9b&CONT_SRC=CMS&CONT_ID=2282&CONT_CLS_CD=001020001004
고혈압 환자의 질병 관련 지식,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자가간호 이행의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 효과, 조규영, 하명남, 성인간호학회지 31(6), 2019.12, 638-649(12 pages)
성인간호학, 윤은자 외, 수문사, 2019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외 (2019),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차영남 외 (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3판. 현문사
김종설 외 (2002). 고혈압의 이해와 치료. 고려의학
박은영 외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정윤아, 김희숙 (2017). "변비에 적용된 국내 간호중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경북간호과학지 21.2 : 14-25.
약학정보원. 이노엔로자탄정 50mg Losartan Tab.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로피바 주사 2mg/mL Ropiva Inj.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콩코르정 5mg.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울티바주 1mg Ultiva Inj.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아트라펜세미정 Atraphen Semi Tab.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레졸로정 1mg Resolor Tab. 의약품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