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리적 특성
광주광역시 동구는 동경 127˚와 북위 35˚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광주 북구와 남쪽으로는 전남 화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구는 광주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천을 서남쪽에 끼고 무등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동구의 총 면적은 49.2㎢로 광주광역시 면적의 9.8%를 차지하며, 13개 행정동 및 186개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구는 단독주택이 67%를 차지하는 주거지역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과거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중심지였던 곳으로 금남로와 전라남도청이 있어 5.18 민주화운동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현재는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상권이 침체되었지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과 함께 충장로와 금남로 상권이 부흥되고 있다. 또한 무등산이 인접해 있어 주말에는 증심사와 무등산장으로 유명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다"이다.
1.2. 인구학적 특성
동구의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동구의 총 인구수는 약 10만 명으로 광주광역시의 5개 구 중에서 가장 적은 편이다. 이는 동구가 상업 지역 중심이어서 주거지역보다 적은 인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도별 동구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면, 2019년 기준 영유아(0-4세) 3,167명, 아동/청소년(5-19세) 10,933명, 성인(20-64세) 63,347명, 노인(65세 이상) 21,138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5년 동안의 인구 변화 추이를 보면 영유아, 아동/청소년, 성인, 노인 인구 모두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노인 인구의 증가 속도가 가장 빨라 동구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동구는 인구 규모가 작고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1.3. 건강수준
1.3.1. 건강행태
건강행태는 개인의 건강관리와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우선, 흡연의 경우 동구의 현재 흡연율은 전체 17.9%로, 성별로는 남자 32.9%, 여자 3.3%를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광주 평균 흡연율 18.6%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나, 2016년 이후 감소추세에서 2019년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남성의 흡연율이 높은 수준이며, 이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우려되는 부분이다".
음주의 경우,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은 전체 16.7%로 남자 24.1%, 여자 7.3%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낮았다. 동구의 고위험음주율은 광주 평균 수준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신체활동 실천율의 경우, 월간 규칙적 운동 실천율은 전체 45.7%로 남자 48.8%, 여자 42.0%로 성별 차이가 있었다.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에서 가장 높았고, 30대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광주 평균 수준보다 다소 높은 편이나, 젊은 층의 신체활동 실천이 저조한 편이다.
건강생활 실천율은 전체 27.4%로 남자 23.4%, 여자 31.3%를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가장 낮았고, 50대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동구 주민의 건강생활 실천이 광주 평균 수준과 비슷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식생활 측면에서 아침식사 빈도는 주 5-7회가 61.1%로 가장 높았고, 거의 안한다가 21.9%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양표시 활용률은 전체 77.7%로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에서 가장 높고 40대에서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동구 주민들의 아침식사 실천과 영양표시 활용이 비교적 양호한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동구의 건강행태는 광주 평균 수준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지표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의 흡연율과 신체활동 실천율, 건강생활 실천율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므로 이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3.2. 만성질환
광주광역시 동구의 만성질환 수준은 전반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좋지 않은 편이다. 2019년 기준 동구의 비만율이 36.6%로 광주시 평균(31.5%)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고혈압 진단 경험률도 18.3%로 광주시 평균(16.4%)을 상회하였다. 또한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에 대한 인지율도 41.7%로 광주시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
동구의 흡연율과 간접 흡연 노출률 또한 높은 편이었는데, 현재 흡연률이 17.9%로 광주시 평균(18.6%)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간접흡연 노출률은 19.8%로 광주시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동구가 상업지역이 발달하면서 주거지역이 적어 흡연에 노출될 기회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동구의 건강검진 수검률과 암 검진율은 전국 및 광주시 평균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건강검진 수검률은 74.8%로 전국 대비 약간 낮았고, 암 검진율은 43.4%로 광주시 평균(43.4%)과 동일하였다.
이처럼 동구의 만성질환 관리 수준은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편이며, 특히 비만과 고혈압, 흡연 등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구 지역주민들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이들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4. 환경특성
1.4.1. 공원녹지
동구의 공원녹지 현황은 다음과 같다.
동구 내의 공원은 총 26개소로, 근린공원이 3개소, 어린이공원이 8개소, 소공원이 13개소, 역사공원이 1개소, 수변공원이 1개소이다. 근린공원의 면적은 71,696.2㎡, 어린이공원의 면적은 17,903.1㎡, 소공원의 면적은 4,065.9㎡, 역사공원의 면적은 2,049.32㎡, 수변공원의 면적은 108,420㎡로 총 204,134.52㎡의 공원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동구의 녹지 시설물로는 가로수, 수벽, 녹지시설, 주요화단, 꽃박스 등이 있다. 가로수는 총 30개 노선에 걸쳐 123,968㎡(49㎞)의 면적에 걸쳐 은행나무 등 13종 8,819주가 분포해 있다. 수벽은 16개 노선에 걸쳐 10,741㎡(21,078㎞)의 면적에 남천 등 15종 257,382주가 조성되어 있다. 녹지시설은 8개소에 34,243.9㎡의 면적에 느티나무 외 25종 40,059주가 있다. 주요화단은 33개소에 236,166㎡의 면적에 철쭉 외 44종 585,961주가 식재되어 있다. 꽃박스는 7개 노선에 걸쳐 658㎡의 면적에 천변꽃박스 514개, 대형화분 183개, 난간걸이화분 100m가 설치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