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담관염 간호진단 3개 내려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담관염(Cholangitis)의 이해
2.1. 담관의 구조와 기능
2.2. 담관염의 정의
2.3. 담관염의 병태생리 및 원인
2.4. 담관염의 증상
2.5. 담관염의 진단
3. 담관염의 치료와 간호
3.1. 약물요법
3.2. 담관 배액술
3.3. 외과적 수술
3.4. 담관염 간호
4. 담낭염의 이해와 관리
4.1. 담낭염의 정의 및 원인
4.2. 담낭염의 병태생리
4.3. 담낭염의 증상
4.4. 담낭염의 치료
4.4.1. 내과적 관리
4.4.2. 외과적 관리
4.5. 담낭절제술의 간호
5. 사례 연구
5.1. 간호 정보 조사
5.2. 간호 사정
5.3. 간호 진단 및 계획
5.4. 간호 중재 및 평가
6. 결론 및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응급상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사정하여 간호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문제해결을 위한 중환자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다. 담관염은 담관(담도)의 염증성 질환으로 만성적인 염증이 진행되면서 담관 벽이 두꺼워지게 되어 좁아지거나 협착이 생기는 질환으로, 담석증, 총담관의 암종, 총담관의 염증성 협착, 선천성 폐쇄, 수술 중 총담관의 결찰 등이 그 원인이 된다.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환자의 회복을 돕고, 간호에 대해 더 세부적으로 학습해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다.
2. 담관염(Cholangitis)의 이해
2.1. 담관의 구조와 기능
담관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간에서 생성되는 담즙을 십이지장까지 수송하는 관으로, 우측 상복부에 위치하며 간의 내부에서 십이지장까지 연결되어 있다. 담관은 부위에 따라 나뉘며, 이에 따라 직경도 다르다.
먼저 간내담관(hepatic duct)은 간세포와 연결되어 간의 내부에 좌우로 퍼져있는 얇은 직경의 담관이다. 이 좌우의 간내담관들이 모여 간의 입구 부근에서 총간관(common hepatic duct)을 형성한다. 총간관은 간내담관보다 직경이 굵다.
그 다음은 담낭관(cystic duct)으로, 담낭에서 총담관까지 이어져 있는 길이 3~4cm, 직경 2mm 정도의 가느다란 관이다. 마지막으로 총담관(common bile duct)은 총간관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담낭관과 합류하여 췌장의 두부를 지나 십이지장 유두부까지 이어져 있으며, 길이는 약 7~8cm 정도이다.
간에서 생성된 쓸개즙은 간 내 소관을 통해 간내담관으로 분비되고, 양쪽 간내담관이 합쳐져 총간관을 거쳐 담낭관과 합류하여 총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담즙은 영양소 흡수에 중요한 소화액이자, 간에서 콜레스테롤 배설 및 해독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음식 섭취 시 담즙이 소장으로 배출되어 지방 소화를 돕는다. 이때 담낭관의 내부 구조가 나선형으로 되어있어 담즙의 역류를 방지한다.
따라서 담관은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소화기관으로 이동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며, 담즙 생산 및 배출 기능을 통해 소화와 해독 작용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 담관염의 정의
담관염이란 담즙관의 염증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간 속에 있는 담즙의 분비계통인 담관이 세균이 감염됨으로써 생기는 염증을 뜻한다. 담관염은 대개의 경우 담석증이나 담낭염과 합병되므로 담관만의 염증은 극히 드문 경우이다. 담관염은 담석이나 담관암, 담도협착 등의 이유로 담도가 막혀서 담즙이 정체되고, 여기에 이차적으로 세균이 감염되어 담도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담도계의 급성 질환 중 가장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담관염의 병태생리 및 원인
담관염은 담관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원인은 담석증, 총담관의 암종, 총담관의 염증성 협착, 선천성 폐쇄, 수술 중 총담관의 결찰 등이다.
그 중 담석증으로 인해 발생한 담관염의 경우 담즙 조성의 이상으로 인해 쓸개즙 성분이 침전됨으로써 담석이 형성되는 것이다. 담석 유발인자로는 콜레스테롤돌과 만성알코올간질환이 있다.
담관의 폐쇄에 의해 나타나는 급성 담석성 담관염은 담낭 팽만을 유발한다. 2차적으로 정맥성·림프성 배액 장애, 세균 증식 유발, 국소적인 피부 자극 또는 침윤, 허혈 부위가 악화될 수도 있다.
급성담관염의 발생 병리는 대개 첫 증세는 담석에 의해 담관관이 폐쇄될 때 발생한다. 이 폐쇄의 진행여부와 염증의 파급정도가 병변의 진행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이다.
대부분의 환자(90%이상)에서는 담관관 폐쇄가 해소되어 염증반응이 소실되며, 담관벽에 섬유화증세만을 남기게 된다. 그러나 담관관 폐쇄가 해소되지 않으면, 담낭이 팽창되고 염증이 파급되어 주위 임파관, 혈관의 폐쇄를 일으켜 담낭벽에 심한 허혈현상과 괴사를 일으킨다.
급성 비담석성 담관염은 담석의 폐쇄작용과 무관하기 발생되는 담관염으로, 급성 담관염 중 약 4~8%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비담석성 담관염은 심한 외상, 화상, 수술, 지연된 출산 후 산욕기와 세균성 패혈증, 심혈관 질환, 결핵, 육종증 등과 관련하여 발생되기도 한다.
2.4. 담관염의 증상
담관염의 증상은 "담도산통이라 불리는 극심한 복통을 호소(주로 우상복부)"하며, "오심, 구토, 소화불량"이 나타난다. 또한 "오한, 고열, 황달"이 동반되며,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의식장애, 혈압 저하와 같은 패혈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외에도 "체중 감소, 식욕저하, 피로감, 소양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담관염의 증상은 담관의 염증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증상의 정도와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 담관염과 만성 담관염을 구별할 수 있다. 급성 담관염의 경우 통증이 며칠 동안 지속되지만 만성 담관염에서는 통증이 수 시간 동안만 지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급성 담관염 환자의 60~70%가 과거에 담즙성 산통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담관염의 진단
담관염의 진단은 담관이 막혔는지 여부와 그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검사들이 시행된다.
먼저 혈액검사를 통해 담관의 염증으로 인해 백혈구, CRP 수치가 증가하고 간기능 효소 수치, 빌리루빈 및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등이 상승하는지 확인한다. 혈액배양검사를 통해 원인 세균을 조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검사를 시행한다. 초음파검사는 담관담석을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담관 확장 소견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초음파에서 이상 소견이 없다고 해서 담관염이 아니라고 단정 지을 순 없다. 복부 CT 촬영도 담관담석의 진단에 도움이 되지만 역시 모든 담관염 환자를 진단할 순 없다.
가장 유용한 검사는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ERCP)이다. 내시경과 방사선을 이용해 담관 및 췌관의 병변을 직접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치료적 중재도 가능하다. 또한 경피적 경간 담관 조영술(PTC)도 담관의 폐쇄와 팽창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담관염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혈액검사와 함께 초음파, CT 등의 영상검사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원인을 진단하기 어려울 경우 ERCP나 PTC와 같은 보다 정밀한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담관의 정확한 상태와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3. 담관염의 치료와 간호
3.1. 약물요법
약물요법은 담관염 치료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급성 담관염의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이며, 급성기에는 복통 및 구토, 소화불량 증상이 있으므로 금식 및 수액 공급이 필요하다. 세균감염에 대해서는 항생제 ...
참고 자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9
차병헌 외, 「알기쉬운 병리학」, 고문사, 2017
국가건강정보포털[웹사이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968&cid=51004&categoryId=51004
서울 아산병원 질환백과[웹사이트],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94&tabIndex=0
박남영. (2019). 「중환자에서 발생하는 이차성 경화성 담관염」, 『대한소화기학회지 73권3호』, 대한소화기학회,
186-189(4pages)
네이버 지식백과 담관 구조와 기능 이미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02&cid=51006&categoryId=51006
네이버 지식백과 담관염 이미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968&cid=51004&categoryId=51004
서울 아산병원 담관염
안동원(2016), 간내 담석 및 총담관 결석의 진단 및 치료방침 –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P. 410~432, 현문사, 서울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제2판), p249~346, 현문사, 서울
송경애 외(2019), 최신 기본간호학 2, 22장, 수문사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의약품 사전 http://terms.naver.com/medicineSearch.nhn
KMLE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김금순 외, 2017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성미혜 외, 2015
기본간호학1&2, 양선희 외, 현문사, 2014
최신 기본간호학, 송경애 외, 수문사, 2016
Mosby's 진단검사간호 핸드북, 정미영 외, 2011
한국간호교육평가원,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