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전기회로설계실습
1.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1.1.1. 고정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10kΩ, 1/4W, 5% 고정저항 30개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DMM의 전원선을 접지단자가 있는 220V power outlet에 연결하고 전원버튼을 누른다.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10분 정도 기다려 DMM을 예열한다. Ω(2w, 4w)를 눌러 2w 모드를 확인한 뒤, 빨간 선을 "HI"에 검은 선을 "LO"에 연결한다.
저항을 연결하기 전 Ω(2w, 4w)를 눌러 화면에 2w, OL(open line)이 표시되는지 확인한다. 검은색 선을 먼저 연결하고 그 후 빨간 선을 연결한다. 고정저항 양단에 점퍼선을 이용하여 DMM의 저항 측정포트와 COM포트에 연결한다. 30개의 저항을 각각 연결하고 유효숫자 3자리까지 측정값을 기록한다.
이를 통해 평균값과 오차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 오차범위(9500Ω ~ 10500Ω) 내에서 30개의 저항이 고르게 분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표준편차를 구하여 184.391Ω으로 나타났다. 표준편차는 분산의 양의 제곱근으로, 자료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평균값에서 변량들의 거리가 가깝다.
식스시그마는 정규분포에서 표준편차 6σ 수준의 불량률 0.002%를 의미하며, 불량 제로를 추구하는 개념이다.DMM을 사용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DMM의 전원을 켜고 측정범위를 적절히 조정한다. 그 후 빨간 선을 "HI"에, 검은 선을 "LO"에 연결한다. 저항을 연결하기 전에 Ω(2w, 4w)를 눌러 2w 모드를 확인한다. 검은색 선을 먼저 연결하고 그 후 빨간 선을 연결한다. 저항 양단에 점퍼선을 이용하여 DMM의 저항 측정포트와 COM포트에 연결한다.
이렇게 30개의 저항을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과 오차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 오차범위 내에서 30개의 저항이 고르게 분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표준편차를 구하여 184.391Ω으로 나타났다. 표준편차는 자료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평균값에서 변량들의 거리가 가깝다.
식스시그마는 정규분포에서 표준편차 6σ 수준의 불량률 0.002%를 의미하며, 불량 제로를 추구하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1.1.2. 4-wire 측정법
4-wire 측정법은 정밀한 저항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2-wire 측정법에서는 측정 프로브와 측정 대상 사이의 접촉 저항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