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로, 2022년 초고령 사회진입을 예상할 만큼 노인인구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민의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길어지고 있는 노후에 대비하여 소득, 건강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곧 인구 절반이상을 차지하게 될지도 모르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떤 간호문제와 그에 따른 중재들이 있는지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20OO년 O월 O일에 방문간호를 통해 대상자 정○○ 가족을 대상으로 건강사정과 개인 면담, 주거 환경관찰 등을 통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는 것이다.
2. 간호사정
2.1. 대상자 사정
대상자 사정은 개인적 특성과 건강상태를 포함한다. 정OO 대상자의 경우 88세의 여성으로 교육수준이 0년이며 글씨를 읽지 못하고 높은 숫자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기독교이나 3개월 전 쓰러지면서 교회에 가지 못하고 있다. 의료보장 형태는 의료급여 1종이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 당뇨, 협심증, 뇌졸중, 신경증 등이 있으며 현재 협심증약, 당뇨약, 정신신경약, 고혈압약을 복용 중이다. 혈압은 168/85, 혈당은 269로 높게 나왔다. 의식상태는 명료하나 연하곤란, 저작곤란 등의 증상이 있고 틀니를 착용하지 않아 불편하다고 호소했다. 낙상 경험도 4회 정도 있었으며 실신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면은 하루 8-9시간 정도 취하나 중간에 자주 깨며, 식사는 규칙적으로 하루 세끼 섭취하나 짜게 먹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다고 한다. 대상자의 주거환경은 임대 아파트로 부엌, 상하수도, 화장실 등이 양호한 편이다. 이와 같이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과 건강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한 것이다.
2.2. 가족 사정 도구
'2.2. 가족 사정 도구'는 대상자의 가족을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가족 사정 도구에는 가계도, 가족구조도(family tree), 가족 밀착도, 외부체계도(ecomap), 사회지지도(sociosupportgram) 등이 포함된다"" 가계도는 가족구성원 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도표로, 세대간 관계와 가족 내 역할 및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가족구조도는 가족구성원의 구성과 특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가족구조, 역할,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가족 밀착도는 가족구성원 간의 결속력과 유대감을 나타내며,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다"" 외부체계도(ecomap)는 대상자 가족이 속한 지역사회 내 자원 및 체계들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이다"" 이를 통해 가족이 연계되어 있는 지역사회 자원과 가족의 외부 체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지지도(sociosupportgram)는 대상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지지체계를 파악하는 도구로, 가족 외 친구, 이웃, 지역사회 자원 등 다양한 지지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족 사정 도구들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가족 특성과 지지체계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2.3. 가족 지지체계
가족 지지체계는 대상자의 건강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 사례에서는 대상자 정OO 의 가족 지지체계를 살펴볼 수 있다.
우선, 가계도와 가족구조도를 통해 정OO 가족의 구성을 살펴보면, 부와 모, 그리고 딸 3명과 아들 1명으로 이루어진 2세대 가족이다. 가족의 경제수준은 빈곤한 편이며, 정OO 어머님은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상호작용 및 교류 측면에서는, 역할 분담이 비교적 명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금전 관리와 대상자 돌봄은 아버님이, 식사 요리와 대상자 씻기기는 어머님이 담당하고 있다. 또한 최종 의사결정권자는 아버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구성원들의 참여도는 높은 편이며, 가족 간 의견 충돌은 가끔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