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은행들의 동기부여 정책
1.1. 조흥은행
1.1.1.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조흥은행에서는 조직 내 상하간의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과 동기부여를 위해 다양한 장치와 제도를 마련하여 추진해왔다. 우선 '135 DESK' 제도를 도입하여 현장의 개선 아이디어나 업무 관련 건의, 의견 등이 여과 없이 본부로 전달되고 본부에서는 사안에 따라 1일에서 최대 5일 이내에 답변을 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업무 개선과 프로세스 개선이 이루어졌다. 또한 은행 내 인트라넷인 '조흥오피스'를 통해 현장의 소리가 제한 없이 자유롭게 전달되고 공유되고 있다.
'인사핫라인'은 개인의 고충을 토로할 수 있는 곳으로, 열람이 제한되어 있어 직원들의 불만이 내부에서 축적되지 않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해결될 수 있다. 이처럼 조흥은행은 언로를 트임으로써 직원들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직원 화합과 조직 활성화를 위해 조선일보 춘천 마라톤 단체 참가, 동호회 및 연구모임 활성화 등을 통해 직원 간 친목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IMF 이후 합병한 은행들 간의 장벽을 허물기 위해 '한마음 대잔치'와 같은 단합대회를 개최하고, 인재원과 개별 지점에서 직원 업무연수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
이처럼 조흥은행은 조직 내 상하간 소통 활성화, 다양한 형태의 직원 화합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직원들의 동기부여와 조직 결속력 강화에 힘써왔다고 볼 수 있다.
1.1.2. 직원 화합 및 조직 활성화
조흥은행은 직원 화합 및 조직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우선 조선일보 춘천 마라톤에 단체로 참가하고, 동호회 및 연구모임을 활성화하여 직원들 간의 친목을 도모하였다. IMF 이후 합병한 은행들의 직원들 사이에 벽을 허물기 위해 '한마음 대잔치' 행사를 열어 단합대회를 하였고, 이후 인재원과 개별 지점에서 직원 업무 연수를 실시하여 직원 교육을 시행하였다. 또한 중국어학습, 밴드부 등 10여 개의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고 동아리 활동 공간과 지원금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 달의 CS 스타' 제도를 통해 고객만족 우수 직원을 선정하여 포상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직원들의 화합과 조직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조직 내부의 결속력을 높이고 직원들의 사기를 진작시켜 고객지향적 조직문화를 형성할 수 있었다."
1.1.3. 개인 성과 평가 시스템
조흥은행은 차장 이하 전 직원들의 직급을 한 단계씩 올렸다. 이에 따라 대졸 신입 행원인 5급 행원은 계장으로, 계장은 대리로, 대리는 과장으로, 과장은 차장으로, 차장은 부부장(본점) 부지점장(지점)으로 각각 불리게 되었다. 조흥은행 관계자에 따르면 "대졸 행원이 은행에 들어와 대리까지 오르는 데 10여 년이 걸리는데, 일반 회사에 들어간 동년배들은 이때쯤이면 과장이나 차장이 돼있다"며 "대외 영업활동에 나섰을 때 상대방과 직급을 맞춰 주고, 직원들의 사기를 높여주기 위해 노사합의를 거쳐 급여와는 관계없이 직급만 한 단계씩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직원들의 성취감을 높이고 자신감을 높이는 등 내재적 동기부여를 불러일으켰을 것으로 보인다.
1.2. 우리은행
1.2.1. 조직문화 통합 관리
조직문화 통합 관리는 우리은행이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의 합병으로 인해 겪었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한 대표적인 동기부여 정책이다.
우리은행은 합병 당시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던 두 은행의 직원들 사이에 갈등이 존재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은 직원들의 화합과 단합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먼저,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 직원들을 동일한 지점에 배치하여 함께 일하면서 서로 이해하고 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