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담낭질환의 개요
1.1. 담낭의 해부학적 구조
담낭(Gallbladder)은 간의 우엽 바로 아래에 위치한 작은 서양배 모양의 담즙 주머니이다. 길이는 약 7~10cm, 폭은 약 2.5~3cm 정도이고, 한 번에 20~60mL의 담즙을 보유하며, 최대 보유량은 100~150mL이고 하루에 약 900mL의 담즙을 배출한다. 담낭의 혈관은 우측 간동맥에서 분지하는 담낭동맥과 담낭정맥으로 이루어진다. 담낭의 신경분포는 복강총과 미주신경, 우측 횡격막 신경으로 이루어진다. 담낭은 담즙을 농축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담낭관(cystic duct)으로 배출하여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통과하여 십이지장으로 흐르게 한다.
1.2. 담낭염의 정의
담낭염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담관 폐색이 발생하여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내에서 증식하면서 담낭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담낭염은 급성 담낭염과 만성 담낭염, 결석 담낭염과 무결석 담낭염으로 나눌 수 있다"".
2. 담낭염의 원인
2.1. 담석성 담낭염
담석성 담낭염은 담석이 담관을 막아 발생하는 담낭의 염증 상태이다. 담석의 형성은 담즙의 성분 변화, 담낭의 정체, 감염 등이 주요 원인이며, 대부분의 담석은 콜레스테롤을 포함하고 있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대부분의 담낭질환에서 발견되며, 특히 여성, 중년층, 비만인에게서 잘 발생한다.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담즙은 담석 형성의 주된 요인이다. 또한 담즙의 정체로 인한 담낭의 팽대와 염증 발생이 함께 동반된다. 이렇게 형성된 담석이 담관을 막으면 급성 담석성 담낭염이 발생한다.
급성 담석성 담낭염은 담낭의 팽만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정맥성-림프성 배액 장애, 세균 증식, 국소적 피부 자극 및 침윤, 허혈 부위의 악화 등이 2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염증이 진행되면 담낭벽이 부종이 되고 딱딱해지며, 심한 경우 괴사될 수 있다. 또한 농양이나 심각한 패혈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급성 담낭염이 지속되면 담낭벽의 섬유화를 유발하여 만성 담낭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담석성 담낭염의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 검사가 가장 중요하다. 초음파 소견상 담석 유무, 담낭벽의 비후, 담관 팽대 등이 관찰된다. 또한 혈액 검사에서 간효소 수치 증가, 백혈구 증가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복부 방사선 검사로 담석이 관찰되기도 한다.
담석성 담낭염의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여성, 비만, 임신, 당뇨, 빠른 체중 감량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들은 건강한 식습관과 체중 관리를 통해 담낭염 예방이 가능하다.
담석성 담낭염의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나뉜다. 내과적 치료로는 항생제 투여, 진통제 투여, 저지방식이 등이 시행되며, 증상 호전이 없거나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 외과적 치료인 담낭절제술을 시행한다. 특히 급성 담낭염 환자에서는 위험요인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담낭절제술을 고려해야 한다.
2.2. 무결석 담낭염
무결석 담낭염은 담석의 폐쇄작용과 무관하게 발생되는 담낭염으로, 전체 급성 담낭염 중 약 4~8%를 차지하는 추세이다. 무결석 담낭염은 심한 외상, 화상, 수술, 지연된 출산 후 산욙기와 세균성 패혈증, 심혈관 질환, 결핵, 사코이드증 등과 관련하여 발생되기도 한다.
무결석 담낭염의 경우에는 담석성 담낭염의 경우보다 더 급격히 발생하며 괴사 및 천공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또한 동반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나 외상 후, 수술 후 상태 때문에 환자와 의사소통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면 질병의 인식이 지연될 수도 있다.
치료되지 않은 급성 담낭염의 흔한 합병증으로는 패혈증이 나타나며, 담낭의 허혈, 염증, 유착, 괴사, 천공, 담낭 주위 농양, 누공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처럼 무결석 담낭염은 급격한 병변 진행과 다양한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신속하고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3. 담낭염의 병태생리
3.1. 급성 담석성 담낭염
급성 담석성 담낭염은 담관의 폐색에 의해 나타나는 담낭염의 한 유형이다. 담관 폐색은 담낭 팽만을 유발하며, 이에 따른 2차적인 병태생리학적 변화가 동반된다.
담관 폐색은 담낭의 정맥성 및 림프성 배액 장애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세균 증식이 유발되고, 국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