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술 후 흉통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흉 (Pneumothorax)
1.1. 정의 및 종류
1.2. 원인
1.3. 병태생리
1.4. 증상 및 징후
1.5. 진단 및 검사
1.6. 치료 및 간호
1.7. 간호과정
1.7.1. 통증과 관련된 비효과적인 호흡양상
1.7.2. 침습적 치료와 관련된 급성 통증
1.7.3. 침습적 치료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2. 폐암 (Lung Cancer)
2.1. 정의 및 종류
2.2. 병인
2.3. 증상
2.4. 진단 및 검사
2.5. 치료
2.6. 간호과정
2.6.1. 종양으로 인한 증가된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2.6.2. 치료 불이행 및 치료방침에 대한 지식 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흉 (Pneumothorax)
1.1. 정의 및 종류
기흉(Pneumothorax)은 폐와 흉벽 사이의 흉막강에 공기나 가스가 차 있어 폐가 허탈되는 질환을 말한다. 기흉에는 크게 폐쇄성 기흉(자발성 기흉)과 개방성 기흉(외상성 기흉)이 있다.
폐쇄성 기흉 또는 자발성 기흉은 건강한 사람에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로, 주로 폐첨부의 폐포 파열로 인해 공기가 흉막강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한다. 이 때 환자는 대부분 키가 크고 마른 체형이며, 많은 수가 흡연자이다. 또한 어깨 부위의 작은 공기주머니(기포)가 터지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방성 기흉은 외부 손상으로 인해 흉벽이 파열되어 공기가 흉막강으로 유입되는 경우를 말한다. 교통사고나 흉부 상해로 인한 개방창으로 공기가 들어가면서 발생하며, 이 때 호흡 운동에 따라 공기가 출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1.2. 원인
기흉의 원인은 자발성 기흉과 외상성 기흉으로 구분된다""
자발성 기흉에는 일차성 기흉과 이차성 기흉이 있다"" 일차성 기흉은 건강한 사람에게 발생하는데, 폐의 가장 윗부분 흉막에 있는 작은 공기 주머니에 의해 발생한다"" 이 공기 주머니들은 흡연과 관련이 깊으며, 대상자의 대부분이 키가 크고 말랐다""
이차성 기흉은 원래 폐 질환을 앓던 사람에게 발생하는데, 결핵, 악성 종양, 폐섬유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기종 등이 그 원인이 된다""
외상성 기흉은 교통사고나 뾰족한 물건에 찔린 상처 등으로 인해 가슴이 다쳐 폐 실질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1.3. 병태생리
자발기흉은 장측 늑막의 기포벽이 내인성 원인에 의하여 파열되어 공기가 흉막강 내로 누출되면서 폐의 일부가 허탈되는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정상적으로 흉막강 내압(intrapleural pressure)은 대기보다 낮은 음압으로, 흡기 동안 10mmHg에서 12mmHg까지 변동되며 호기동안 4mmHg까지 변동된다. 기관지 내(intrabronchial)압력과 폐포 내 압력은 흡기 동안 음압(-1mmHg에서 3mmHg)이고 호기 동안 양압이다.(+1 mmHg에서 +3mmHg) 폐포 벽과 장측 흉막이 장벽을 형성하여 흉막강(interpleural space)과 폐포 내 공간(intra-alveolar space)을 분리해서 압력차를 유지한다. 이러한 장벽에 결함이 발생하면 공기는 압력이 평형이 될 때까지 또는 결함으로 인한 연결이 봉인될 때까지 흉막강으로 들어간다. 한쪽 흉곽에서 흉막강 내압의 음압손실은, 동측 폐허탈(lung collapse)을 야기한다.긴장기흉은 숨 쉴 때마다 흉막강에 있는 공기 양은 늘어나 압력이 계속 증가하는데, 이 때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흉막강의 압력이 계속 증가하여 병소 쪽 폐가 허탈되고, 종격은 건강한 다른 쪽으로 변위된다. 종격변위는 건강한 폐를 누르고 대혈관을 눌러서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류의 장애를 유발한다.
1.4. 증상 및 징후
기흉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증상은 갑자기 발생하는 흉통과 호흡곤란이다.
흉통은 운동과는 관계없이 생기며, 갑자기 발생하는 날카로운 통증이 특징이다. 보통 24시간 내에 호전되고, 이전부터 폐질환이 있거나 기흉의 정도가 클수록 호흡곤란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자발성 기흉의 경우 급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 기침, 힘이 많이 드는 가쁜 숨, 혈압 하강, 약하고 빠른 맥박, 병터 흉부의 과공명음, 불안, 초조, 불안정, 발한, 창백함 또는 청색증, 의식소실, 흉부압박감, 허탈된 폐, 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병터 있는 흉부의 움직임 소실 등이 나타난다.
긴장 기흉은 흉막 안에 다량의 공기가 고이면서 압력이 높아져 심한 호흡곤란과 청색증, 저혈압, 후두와 기관의 변위 등이 나타나고, 아주 심한 종격 변위가 나타나면 심장으로 돌아오는 피가 적어서 심박출량이 줄어들어 혈압이 낮아질 수 있다.
개방성 기흉은 흉부에 외상을 입거나 칼에 찔리는 등의 뚜렷한 병력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진단이 가능한데, 크기가 큰 개방성 기흉의 경우에 심한 호흡곤란과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1.5. 진단 및 검사
기흉의 진단에는 문진과 진찰, 흉부 방사선 촬영, 흉부 CT 촬영이 활용된다.
먼저, 문진과 진찰을 통해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 기흉 환자는 갑자기 발생하는 흉통과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흉부 청진 시 호흡음 감소나 ...
참고 자료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성인간호학, 윤은자 외 공저,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기흉 :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45
서울아산병원, 기흉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55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기흉 :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RC&MENU_ID=006014
데일리메디팜 기사, 10~20대 남학생, ‘갑작스런 흉통-호흡곤란’ 기흉 의심 중 사진 발췌 : http://m.dailymedipharm.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43
병원간호사회,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기흉 :
http://www.khna.or.kr/homecare_new/02_respi/rd08.php
뉴스 기사 : 공공보건포털(G-health) [마른 사람이 더 잘 걸리는 질환이 있다?] 중 일부 발췌
https://www.g-health.kr/mobile/bbs/selectBoardArticle.do?bbsId=U00186&nttId=298087&lang=&searchCndSj=&searchCndCt=&searchWrd=&pageIndex=1083&vType=A
뉴스기사 : 통계뉴스 데이터솜 [기흉환자의 20% 1년 내 재발, 주의 필요해] 중 일부 발췌
http://www.dataso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555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성미혜 외 공역,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드럭인포 www.druginfo.co.kr
서울 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20, p610-612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국가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학지사메디컬, 2022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2019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 Ⅰ 제 2판, 현문, 2017 p.120~131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 Ⅱ 제 2판, 현문사, 2017
[네이버 지식백과] 폐암 [lung canc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폐암 [lung cancer]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Nursing Diagnoses 2018-2020,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11th Edition (NANDA International)
성인간호학 上, 신경림 외, 현문사, 2018, 501~508
기본간호학Ⅱ, 김종임 외, 수문사, 2018, 28~36, 586~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