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EICU"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 목적
1.3. 연구 방법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2.2. 원인 및 위험 요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및 징후
2.5. 진단 방법
2.6. 치료
2.7.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내용
3.3. 간호과정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2010년 폐렴에 의한 사망이 전체 연령에서는 사망원인 6위이나 80세 이상에서는 4위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2011). 노인성 폐렴은 만성 호흡기 질환과 같은 기저질환이나 뇌혈관 질환과 연관된 연하장애가 동반된 경우 흡인성 폐렴이 발생하며(장현하,2010), 이는 노인성 폐렴의 5~15%를 차지한다(Kikawada, Iwamoto, & Takasaki, 2005). 신경학적 질환이나 식도질환, 불결한 구강위생 등으로 인한 흡인으로 발생하는 노인의 흡인성 폐렴은 노인 인구의 증가에 비례하여 65세 이상 진료인원이 2006년 4,047명에서 2010년 7,261명으로 증가하였으며, 흡인성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도 2000년 인구 10만명 당 10.1명에서 2009년 20.1명으로 약 두 배 정도 증가하였다(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현재 실습병동에서 다수의 노인 환자들이 겪고 있는 질환 중 하나가 흡인성 폐렴이고, 그로인해 더 관심을 갖고 연구해야겠다고 생각해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폐렴은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하며, 병원 입원 및 치료로 인한 진료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질병 부담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노인 인구의 증가에 비례하여 흡인성 폐렴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연하장애가 동반된 노인 환자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에서는 폐렴의 원인, 병리기전, 진단방법, 증상, 치료와 간호 등을 파악한 뒤 대상자를 사정하고 그에 맞는 간호중재를 시행함으로써 대상자를 효과적으로 간호하고 불안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3. 연구 방법
이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19년 11월 4일부터 11월 6일까지 EICU에 입원한 정OO님을 대상으로 신체검진과 문진, 임상검사 결과, 환자의 EMR, 의료진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폐렴은 허파꽈리와 세기관지와 같은 폐 실질조직에 부종을 초래하는 염증과정으로서 허파꽈리 내로 수분을 이동시켜서 저산소혈증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2.2. 원인 및 위험 요인
원인 및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폐렴의 주된 원인으로는 정상적인 폐 방어기전이 손상되어 폐렴균이 하부기도로 침입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공기여과, 흡입공기의 습화와 가온, 후두개 개폐, 기침 반사, 점액섬모 청결작용, IgA의 분비 및 폐포 대식세포의 방어 작용에 손상이 오면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유발 위험요인으로는 의식 상태 저하로 인한 기침반사와 후두개 반사 억제, 기관내 삽관으로 인한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공기 오염, 흡연, 상기도염, 노화로 인한 점액섬모 방어기전 손상, 영양장애로 인한 림프구와 백혈구의 기능 변화와 구강인두 상주균의 증식 등이 있다.
폐렴균은 세 가지 경로로 침입할 수 있는데, 첫째는 정상 비인두와 구인두의 상주균이 흡인되어 들어가는 경우, 둘째는 공기 중 폐렴균이 호흡기도를 통해 흡입되는 경우, 셋째는 다른 감염원에서 혈액을 통해 전파되어 들어가는 경우이다.
폐렴은 유행성 폐렴, 병원감염성 폐렴, 진균성 폐렴, 흡인성 폐렴, 기회감염 폐렴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 유행성 폐렴은 지역사회에서 감염되거나 입원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폐렴이며, 주된 원인균은 폐렴구균이다. 병원감염성 폐렴은 병원에 입원 후 48시간이 지나서 발생하는 폐렴으로, 기계환기를 하고 있는 환자에게서 흔하게 발생하며 주된 원인균은 녹농균, 엔테로박터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이다. 진균성 폐렴은 후천성 면역결핍, 낭성 섬유증,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는 중환자에게서 잘 발생하며 주된 원인균은 히스토플라스마균, 아스페르길루스균, 캔디다균 등이다. 흡인성 폐렴은 구강이나 위 내용물이 기도로 흡입되어 발생하는 폐렴으로, 의식수준이 저하된 환자나 ...
참고 자료
김금순, 김숙영, 김영숙, 김옥숙, 소향숙, 윤은자, 최경옥, 현경선·외(2012) 일곱째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김숙영, 김영숙, 김옥숙, 소향숙, 윤은자, 최경옥, 현경선·외(2012) 일곱째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Allen's test(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rdkfkakr&logNo=90145257492 ) -동공반응 일곱째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1223P
제 7판 성인간호학 상권 _현문사 (저자 황옥남 외 8명)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85219&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_폐렴(성인)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627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_ 현문사
김근순 외(2017), 성인간호학 Ⅱ(제4판), 파주 : 수문사, P620~626
신나미 외(2017), 성인간호학 Ⅱ(제6판), 서울 : 정담미디어, P1225~1226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상(제4판), 서울 : 현문사, P625~626, P638~639
성미혜 외(2018). 간호과정의 적용. 파주 : 수문사. P306~308, P312, P319
김숙희(2012), 노인의 흡인성 폐렴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예방간호에 대한 태도 및 실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
약학정보원 www.health.kr
드럭인포 www.druginfo.co.kr/index.aspx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KMLE 의학 검색 http://www.kml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