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실천이란 원조의 대상자인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을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그중에서도 질문기법은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다. 각각의 질문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답변을 하면, 그에 대한 개입방향을 찾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질문기법에 대한 이해와 숙지는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서론에서는 이러한 질문기법 중 특히 강점관점 실천을 위한 질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강점관점이론
2.1. 강점관점의 개념
강점관점의 개념은 클라이언트가 갖고 있는 목적 및 꿈을 실현하게 하거나, 클라이언트 자신의 다양한 문제로부터 벗어나도록 돕는 사회복지 실천활동의 전 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자원을 발견하고 드러내어 묘사, 탐색, 활용하려는 총체적인 노력이다. 이는 기존의 문제중심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클라이언트가 갖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클라이언트의 자발성과 변화 가능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강점관점은 클라이언트가 지닌 능력, 재능, 잠재력, 기술, 기회 등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클라이언트의 발전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접근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2.2. 강점관점의 주장 및 실천원칙
강점관점의 주장 및 실천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는 강점을 지고 있다. 이는 사회복지사로 하여금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집중하기보다는 클라이언트와 그를 둘러싼 환경의 감정을 찾는데 초점을 두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트라우마와 학대, 병과 투쟁은 인간을 상처 입게 하지만 동시에 도전과 기회의 자원이다. 이는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 영향을 인정하지만 그해석을 달리하여 문제가 상처 뿐만 아니라 성장을 위한 도전과 기회라는 긍정적 시각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개인, 집단, 지역사회를 성장시키고 변화시키기를 원한다면 능력의 상급한계를 모른다고 가정한다. 이 원칙은 사회복지사가 먼저 클라이언트나 관련 체계의 변화가능성을 한계지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로 사회복지사가 열린 마음으로 클라이언트의 변화가능성을 지지할 때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잇다는 것이다. 넷째, 클라이언트와 상호 협력하여 최선을 다해 클라이언트와 일한다. 이 원칙은 강점관점에서 지향하는 클라이언트와 전문가를 제시해 주는 것으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는 수평적인 관계를 가지고 상호 협력함으로써 함께 문제 상황을 변화시켜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모든 환경은 자원들로 가득 차 있다. 이는 사회복지사가 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 안의 자원을 사정하고자 한다면 기존에 예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