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장품 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화장품 시장 분석
1.1. 국내 화장품 시장 동향
1.2. 인도 화장품 시장 현황
1.2.1. 인도 화장품 시장 규모
1.2.2. 인도 화장품 시장 진출 배경
1.2.3. 인도 화장품 시장 트렌드
1.3. 화장품 속 유해성분에 대한 논란
1.3.1. 파라벤
1.3.2. 미네랄 오일
1.3.3. 포름알데히드 및 염화벤잘코늄
1.3.4. 벤조페논
1.4. 인도 화장품 시장 진출 전략
1.4.1. 시장 조사
1.4.2. 마케팅 전략
1.4.3. 진출 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화장품 시장 분석
1.1. 국내 화장품 시장 동향
국내 화장품 시장 동향은 다음과 같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민소득 증가와 더불어 특히 전문직 여성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중·장년 여성들의 향상된 경제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가치의 프리미엄 화장품이나 기능성 화장품을 선호하면서 프리미엄 화장품의 높은 성장세가 이어졌다. 또한 남성 화장품의 신규 수요가 확대되면서 화장품 시장의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화장품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로 접어들었다. 한국의 주요 수출시장인 중국 화장품 시장 역시 수익성 확보가 불안정해지면서 새로운 시장 개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인도 화장품 시장에 주목하게 되었다.
1.2. 인도 화장품 시장 현황
1.2.1. 인도 화장품 시장 규모
2013년 인도 화장품 시장 규모는 85억 2760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약 18% 증가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체 화장품 시장 중 바디케어 부문이 전체의 33.7%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기록하였고, 그 뒤를 헤어케어(26.51%), 스킨케어(23.12%) 부문이 잇고 있다. 남성용 제품 부분도 9.38%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향수 부문이 28.07%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그 뒤를 데오드란트(27.98%), 메이크업(25.86%)이 잇고 있다.
1.2.2. 인도 화장품 시장 진출 배경
현재 인도의 화장품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인도 국민의 1인당 화장품 지출액이 2-3년 이내에 중국과 동등한 수준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화장품 시장은 연평균 15~20%의 고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향후 2-3년 내에 화장품 지출이 현재의 9억 5천 달러에서 14억 달러 수준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처럼 인도는 높은 시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인도의 GDP(2009)가 1조 4,300억 2,000만 달러로 세계 1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1인당 GDP(2009)는 1,176 달러로 132위이다. 맥컬리 증권은 인도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010년 7%, 2011년 8%, 2012년 8.5%로 전망하였다. 따라서 인도의 높은 경제성장은 화장품 시장 확대의 배경이 되고 있다.
또한 사회ㆍ문화적으로, 인도 가계의 수입이 대폭 늘어나면서 중산층이 증가하였고, 중산층과 상승 열망층을 중심으로 구매력을 지닌 잠재 소비자층이 급증하고 있다. 실제로 NCAER(인도 국가 응용 경제 연구회)에 따르면 1995~96년 회계연도에 80%에 달하던 빈곤층이 2007-08년 회계연도에는 56%로 대폭 감소하고, 중산층은 2.7%에서 12.8%로 확대되는 등 구매력을 갖춘 소비계층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화장품 시장 성장의 주요 동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인도의 소비자들은 패션계의 동향에 점차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거대 영화산업계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화장품 수요의 증가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처럼 인도 화장품 시장은 경제성장과 중산층 확대,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도 시장의 높은 성장성과 잠재력을 바탕으로 화장품 기업의 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1.2.3. 인도 화장품 시장 트렌드
인도 화장품 시장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인도에서는 허벌(herbal)화장품의 인기가 대단하다. 인도는 오래 전부터 허벌 화장품에 대한 역사가 깊다. 인도 사람들은 약초로 유명한 헤나나무 잎을 피부와 머리, 손톱을 염색하는 화장품 염료로 사용해 왔다. 헤나는 축제, 종교의식, 결혼식 등 다양한 행사에 있어 필수 메이크업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카잘(Kajal), 시르마(sirma), 사르마(Surma), 카투카(Katuka), 콜(Kohl) 등 어두운색의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눈매를 강조하는 화장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인도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미용을 위해 다양한 천연원료를 사용해 왔기 때문에 허벌 화장품에 더욱 친근감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 한방 화장품이 있다면 인도에는 아유르베다 화장품이 있다. 인도에서는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를 바탕으로 자연에서 피부를 치료하는 허벌 화장품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현지에서 가장 인기 있는 허벌 화장품 브랜드에는 히말라야허벌스(HimalayaHerbals), 로터스허벌스(LotusHerbals), 카디내추럴(KhadiNatural), 바디허벌스(VaadiHerbals), 저스트허브스(Just Herbs)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저스트허브스는 자사 제품에 대해 전체 화장품 성분을 공개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높다.
최근에는 아유르베다 화장품 기업들이 허벌 화장품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천연원료를 사용한 화장품 효과가 합성원료를 사용한 화장품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점을 개선하여 제품을 수출한다면 현지 브랜드와 경쟁구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인도에서 뷰티살롱이 진화하고 있다. 뷰티살롱은 전통적인 미용실 형태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 들어 헤어 케어 뿐만 아니라 스킨케어, 바디 케어 등 토탈 뷰티서비스를 제공하는 뷰티살롱이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브랜드와 현지 브랜드들은 자사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인도 전역에 프랜차이즈 형태의 헤어살롱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용에 관심을 갖는 남성들이 증가하면서 남성과 여성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뷰티살롱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인도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도 고유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도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특유의 문화가 접목된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오래 전부터 미용재료로 사용되어 온 카잘이 현대 메이크업과 접목되면서 재탄생되었다. 또한 인도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를 접목한 허벌 화장품에 대한 현지 소비자들의 신뢰가 매우 높다. 이에 따라, 현지 진출 시 현지 전통을 접목한 천연 화장품으로 승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1.3. 화장품 속 유해성분에 대한 논란
1.3.1. 파라벤
P-hydroxybenzoic acid esters로, 1930년대 미국에서 개발되어 세균 성장을 억제하고 보전 기간을 늘리기 위해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Pentylparaben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파라벤의 종류들이다.
파라벤은 화학 합성 과정에서 높은 효용성과 낮은 가격으로 인해 식품 보존제 등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파라벤의 안정성이 검증되었다고 여겨져 사용량이 증가하게 ...
참고 자료
DART 전자공시시스템, 아모레퍼시픽 2021년 12월 사업보고서 中 포괄손익계산서
Yun-Mi Park, Hwi-Yool Kim (2021),"A Study on Changes in Women's Makeup Interest and Use Pattern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9(1), 129-138.
김소현(2010) 조선비즈, 중저가 화장품, '아줌마'들이 더 좋아해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6/15/2010061501267.html
통계청, 정보통신정책연구원,「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21, 2022.10.16, 주로 이용하는 SNS 계정 1순위
통계청, 정보통신정책연구원,「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21, 2022.10.16, SNS 이용현황
한경닷컴, 인스타그램 일사용자 수 네이버 밴드 압도…월 단위로도 근접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02215973Y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일반인용
https://ncv.kdca.go.kr/menu.es?mid=a30102000000
에뛰드 온라인 전략, 빛 볼까(2022), 팍스넷뉴스 엄주연 기자https://paxnetnews.com/articles/92861
임대환(2020. 04.02) 문화일보, 코로나 사재기’서 한국은 예외… 왜?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40201031603006001
조휘형 (2022),"코로나19 팬데믹이 온라인쇼핑 상품군 거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22(2), 243-254.
DART 전자공시시스템, 씨제이올리브영 2021년 12월 감사보고서 中 포괄손익계산서
한경 경제용어사전, AIDMA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2107&docId=2063601&categoryId=42107
허제니(2022.05.26.) MK증권 증권사리포트 ‘[개인생활용품] 올리브영이 밀어주는 색조 브랜드에 주목하자’
https://vip.mk.co.kr/newSt/news/news_view2.php?t_uid=6&c_uid=52865&sCode=12
이지원(2022. 06. 13) 더스쿠프 ‘요람인가 독점인가… 올리브영 빛과 그림자’
https://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555
이병준(2021. 12. 12), 중앙일보, 올리브영 "코로나에 온라인 매출 58% 성장…내년엔 점포 250곳 새단장“
Kemp, S. (2020). Digital use around the world in July. We are Social.
서유주(2021.10.12.), 라온신문, [인디돌파구] MZ세대가 열광하는 ‘틱톡’의 숏폼 동영상
https://www.raonnews.com/news/article.html?no=2205
장수영 (2019). 페이스북의 브랜디드 콘텐츠 광고효과.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Kim, Q., Choi, J. and Park, K. M. (2022) “Determinants the Effect of Exposure Type of Short-form Branded Content on Consumer Respons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ense of Belong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한국콘텐츠학회, 22(10), pp. 642–657. doi: 10.5392/JKCA.2022.22.10.642.
양은령. "여중생의 화장품 소비행동과 아이돌 연예인 모방행태."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서울
Johansen, I. K., & Guldvik, C. S. (2017). Influencer marketing and purchase intentions: how does influencer marketing affect purchase intentions? (Master's thesis).
이충욱(2022. 04. 19) 뷰티누리, 뷰티 제품, 인플루언서 마케팅 가장 활발https://www.beautynury.com/news/view/97349/cat/10
통계청 보도자료, 2021년 12월 온라인쇼핑 동향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9864
이정아(2022. 01. 07) CMN, 올해 화장품 시장 '성장 시그널' 감지, 52.6%로 우세http://www.cmn.co.kr/mobile/sub_view.asp?news_idx=37919
R. A. Kim. (2020). The Effect of Perception of Vegan on Purchas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Vegan Cosmetics.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Ar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심재영(2022. 02. 23), CMN 글로벌 뷰티 키워드 '뷰티테크‧클린뷰티’https://www.cmn.co.kr/mobile/sub_view.asp?news_idx=38266
파이낸셜뉴스(2022. 04. 26) 레오제이 ‘아이브러시 프로 컬렉션’ 선런칭 품절…일 매출 6억 달성
https://www.fnnews.com/news/202204260944071722
이혜원(2022. 11. 07) 뉴시스, 1년 만에 수장 교체…에뛰드, MZ세대 취향 저격 나선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520421?sid=101
이정은(2022. 10. 31) 파이낸셜뉴스, "中 때문에"...아모레퍼시픽그룹, 3분기 영업익 36.2% 감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921230?sid=101
Xu. Yin, Huang, Jin-Song(2014), Effects of Price Discounts and Bonus Packs on Online Impulse Buy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ume 42, Number 8, 2014, pp. 1293-1302(10)
이혜린(2019. 10. 30) ZENITH, 올리브영, '필리밀리S' 론칭... 전 품목 비건 인증 획득
http://www.zenith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393
신민경(2020. 07. 12)젠더뉴트럴 브랜드 라카, 항공사 ‘에어로케이’와 컬래 버레이션 캠페인 http://www.kukinews.com
김현미 (Hyun-mi Kim) , 윤천성 (Chun-sung Youn). 2018. 퍼스널컬러 자가진단 측정 척도 타당성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24(4) : 689-696
황백희(2022. 03. 10) 뉴스워커, 기성품 아닌 ‘개인에 맞춘’ 화장품 눈길… ‘맞춤형 화장품시장’ 커질까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0286
https://romand.co.kr/product/%EB%A1%AC%EC%95%A4-%EB%B8%94%EB%9F%AC-%ED%8D%BC%EC%A7%80-%ED%8B%B4%ED%8A%B8/608/category/1/display/2/#snapreview_widget3_0_page=2
박규림. (2019). 퍼스널컬러가 심리적·신체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104
이정아 ( Jung-a Lee ) , 김찬호 ( Chanho Kim ). 2020. 퍼스널컬러 인식이 색조제품 구매기준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26(3) : 635-645
박혜인, 김승인. (2020). 국내 이종업계 간 디자인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사례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8(5), 383-389.
Toxicity of cosmetic preservatives on human ocular surface and adnexal cells. (Xiaomin Chena,b, David A. Sullivana, Amy Gallant Sullivanc, Wendy R. Kama, Yang Liua,.2018, Experimental Eye Research)
The effect of ocular lubricants containing benzalkonium chloride on nasal mucosal flora. (Ozlem Onerci Celebi & Ali Riza Cenk Celebi., 2018, Cutaneous and Ocular Toxicology)
Addition of benzalkonium chloride to self-adhesive resin-cements: some clinically relevant properties. (Serra Oguz Ahmet, M. Murat Mutluay, Zelal Seyfioglu Polat, Roda Seseogullari Dirihan, Bulent Bek & Arzu Tezvergil-Mutluay., 2014, 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of cosmetics industry wastewater (Elisa Dias de Melo∗., Ann H. Mounteer, Lucas Henrique de Souza Leao, Renata Cibele Barros Bahia, Izabella Maria Ferreira Campo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Insights on in vitro models for safety and toxicity assessment of cosmetic ingredients. (Andreia Almeidaa,b, Bruno Sarmentoa,b,c, Francisca Rodriguesd,,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
The Materials Science of Cosmetics (Steven Schnittger and Moitreyee Sinha, Guest Editors,, 2007, MRS BULLETIN • VOLUME 32)
Oral exposure to mineral oils: Is there an association with immune perturbation and autoimmunity? (Ian Kimbera, Juan-Carlos Carrillob., 2016, Toxicology)
Extraction induced by emulsion breaking: A model study on metal extraction
from mineral oil (Ricardo J. Cassella., Daniel M. Brum, Nicolle F. Robaina, Claudio F. Lima., 2018, Fuel.)
석고 붕대 속 피부에의 미네랄 오일 도포가 피부 건조 및 소양감 완화에 미치는 효과 (백경희, 이병숙., 2003, 기본간호학회지 제 10권 제 2 호.)
Review of data on the dermal penetration of mineral oils and waxes used in cosmetic applications (T. Petrya,., D. Buryb, R. Fautzc, M. Hauserd, B. Hubere, A. Markowetzf, S. Mishraa, K. Rettingere, W. Schuhg, T. Teicherth., 2017, Toxicology Letters.)
Risk assessment of benzophenone-8 in cosmetic products (Min-Kook Kim, Seong-Kwang Lim, Hyo-Sun Suh, Min-Hwa Kim, Seol-Hwa Baek, Byung-Mu Lee
College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 2017)
대학생들의 화장습관에 따른 소변 중 벤조페논 농도 비교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오승은, 호성옥, 김현석, 이세훈, 박나연, 고영림., 2013, 한국환경보건학회지)
Exposure to bisphenol A, chlorophenols, benzophenones, and parabens in relation to reproductive hormones in healthy women: A chemical mixture approach. (Anna Z. Pollacka., Sunni L. Mumfordb, Jenna R. Kralla, Andrea E. Carmichaela, Lindsey A. Sjaardab, Neil J. Perkinsb, Kurunthachalam Kannanc, Enrique F. Schistermanb., 2018, Environment International)
Parabens and their effects on the endocrine system (Karolina Nowaka,, Wioletta Ratajczak–-Wronaa, Maria Górskab, Ewa Jabłłońńskaa., 2018,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립밤 발라요 말아요? (차라리 바세린이 낫다?!) by. 디렉터파이 2017
https://youtu.be/9ES-4LfsWF0
뉴시스 최선윤 기자 [LG 가습기살균제 독성확인] 염화벤잘코늄, 얼마나 해로운 물질이기에?, 2016.05.18.
식품의약품안전처 독성정보제공시스템 ‘벤조페논’ 검색 결과
http://www.nifds.go.kr/toxinfo/SearchUtil_getDetailChemTcd.action?hddnToxicCode=T5000000243
http://blog.daum.net/hheeduck/99
인디아 익스프래스, 세이브 칠드런 보고서, 마노라마 연감 2010, 코트라 뭄바이KBC 종합 < 출처 : KOTRA & globalwindow.org >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47381
http://www.beautyhankook.com/news/articleView.html?idxno=50712
https://www.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18116
http://www.theb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243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58678&searchNationCd=101074
http://www.businessreport.kr/news/articleView.html?idxno=3680
http://www.designdb.com/?menuno=783&bbsno=30481&siteno=15&act=view&ztag=rO0ABXQANDxjYWxsIHR5cGU9ImJvYXJkIiBubz0iNTgzIiBza2luPSJwaG90b19iYnMiPjwvY2FsbD4%3D
http://www.lovesbeaut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72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56420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4/07/07/2014070700099.html
https://www.beautynury.com/news/view/77828/cat/10
https://blog.naver.com/jackiestory?Redirect=Log&logNo=221336905595
https://blog.naver.com/selina-lee?Redirect=Log&logNo=221216786504
blog.naver.com/ykim57/221236056052
https://blog.naver.com/kamaindiary/221142653051
https://blog.naver.com/popori0212?Redirect=Log&logNo=220893124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