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골반불균형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아두골반불균형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정의
1.3. 원인
1.4. 분만에 미치는 영향
1.5. 진단
1.6. 협골반시 분만기전
1.7. 치료 및 간호
1.8.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2. 대상자 사례
2.1. 일반적 특성
2.2. 과거병력
2.3. 월경력
2.4. 산과력
2.5. 신체 검진

3. 간호과정
3.1. 간호진단
3.2. 간호중재
3.3. 간호평가

4. 결론
4.1. 아두골반불균형 사례에 대한 소감
4.2. 비대면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제왕절개(Cesarean section)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 시키는 것으로 대한민국 산모 3명 중 1명은 제왕절개 분만을 통해 아이를 출산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최근 20년 동안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제왕절개술의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의 제왕절개율은 매우 높아 WHO에서 권장하는 비율에 비해 3-4배 높다고 합니다. 그 중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과 제왕절개술은 산모의 나이, 성장,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 입원시 자궁경부 개대, 태아의 체중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왕절개의 주요 요인 중 하나인 아두골반불균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2. 정의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이란 아두의 조건과 산부 골반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맞지 않아 질식분만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아두가 너무 크거나 산부의 골반이 너무 작아서 분만 시에 아두하강이 어렵고 아두가 골반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없다. 또한 아두골반불균형은 지나치게 큰 아두나 4kg 이상의 거대아가 종종 문제가 된다 하더라도 선진부의 위치 이상으로 인한 경우가 더 많다. 분만 중단이 흔히 일어나는 부위는 골반 입구이고 때로는 골반강이나 출구에서도 일어난다."


1.3. 원인

아두골반불균형의 원인은 선천적으로 산모의 골반이 좁은 경우, 영양실조, 종양, 골반골절, 척추나 하지 이상, 구루병이나 골연화증 같은 질병이 있는 경우이다. 또한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그에 비해 좁거나 좌골가시가 돌출되었을 때에도 아두골반불균형을 초래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 태아의 머리 방향과 골반의 축이 맞지 않아 아두가 이례적으로 변형되거나, 산류(caput)가 과도하게 형성되었거나, 이 두 가지가 같이 있을 때도 발생할 수 있다.


1.4. 분만에 미치는 영향

산모는 분만 전 빈맥, 얕고 빠른 과다호흡, 요통이나 복부의 심한 통증, 비정상적으로 강도가 높은 자궁의 수축, 자궁 경부의 개대가 일어나지 않고 분만 진행이 안 되는 문제(2~3cm 미만에서 수 시간 동안 진통이 지속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태아는 심박동 수 감소, 태동 감소, 전자 태아 감시상의 이상 소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분만 중 제대가 태아보다 먼저 밖으로 나오는 제대 탈출이 되기 쉬워 태아의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산후 출혈과 감염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1.5. 진단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산모의 자궁을 내진하여 산모 골반의 혈태나 크기, 골반의 산고 좌골가시(ischial spine)의 돌출 여부 등을 확인한다. 또한 초음파 검사로 태아의 두위를 측정하여 진단한다.

구체적으로 내진을 통해 천골갑각, 천골, 양측벽, 좌골극 등을 확인한다. 천골갑각이 만져지면 골반이 작은 것을 의미하며, 천골이 충분히 넓지 않고 곡선이 잘 형성되지 않으면 골반강이 좁다고 볼 수 있다. 양측벽은 상하로 직선형이어야 하나 전후면이 곡선형이어야 하며, 좌골극이 안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골반이 좁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두위를 측정하여 아두의 크기와 골반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아두골반불균형을 진단한다.

그 외에도 X-선 골반 측정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아두의 크기가 정확하지 않고 분만 중 응형 기능도 고려해야 하므로 심한 협소골반이 아닌 경우 확진이 어렵다. 따라서 내진과 초음파 검사를 통해 아두골반불균형을 가장 잘 진단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1.6. 협골반시 분만기전

아두골반 분만기전은 여성 골반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여성 골반은 전체적인 구조와 형태에 따라 여성형, 편평형, 남성형 등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아두가 골반을 통과하는 기전이 다르게 나타난다.""

첫째, 여성형 골반은 모든 골반 직경이 다 짧아서 산도의 입구로부터 지속적인 저항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아두의 주형 정도가 심해진다.""

둘째, 편평형 골반은 골반 입구의 전후경선이 짧아서 분만 1기와 2기 초반에 지연이 발생하기 쉽고, 좌골극이나 그 이하에서 횡경 정지(transverse arrest)가 일어나기 쉽다.""

셋째, 남성형 골반은 골반 입구의 앞쪽이 쐐기 모양이고 뒤쪽은 편평하기 때문에, 태아가 후방두...


참고 자료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서울대학교 간호본부
모성 여성건강간호학 1,2/ 유은광 외/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 2/ 박영주 외/ 현문사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여성건강간호학1. 박영주외. 현문사. 제5판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외. 고문사. (2021)
이코노믹 리뷰, 김자영 기자 ‘제왕절개 산모를 위한 특화 분유가 있다?
naver.me/GjGSxQQ5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21, P289-297, P332-344
이동숙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2021
송경애 외 공저,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2019, P55-78, P201-227, P472-483
초산의 만삭 두정위 단태아의 저위험 임신에서 분만 진행 부전 및 아두골반불균형으로 인한 제왕절개 분만의 예측 위험 점수화 시스템, 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현, 2021
“임신부 100명 중 34명꼴 제왕절개 분만...이유는”, 연합뉴스 서한기기자, 2013.09.15. 14:59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6485754
“[필수임상간호술기] 제왕절개:응급[모성-신생아] (Cesarean Section:Emergency [Maternal-Newborn])”.Nursing Skiils.
https://www.els-nursingskills.kr/SkillContent/IndexLearning/5138
[그림1] 이웅형 외 공저, 모성간호학, 퍼시픽북스, 2020, P241
[그림2]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21, P189
[그림3]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21, P192
[그림4]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