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로드카술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쉬로드카술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자궁경관무력증의 정의와 중요성
1.2. 자궁경관무력증의 발생 원인

2.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과 진단
2.1. 증상
2.2. 진단 기준
2.3. 진단 방법

3. 자궁경관무력증의 치료
3.1. 비수술적 치료
3.2. 수술적 치료
3.2.1. 질식 자궁경부 원형봉합술
3.2.2. 복식 자궁경부 원형봉합술

4.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의 간호
4.1. 수술 전 간호
4.2. 수술 후 간호
4.3. 퇴원 및 추후 관리

5. 사례 연구
5.1. 환자 정보 수집
5.2. 간호과정 적용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자궁경관무력증의 정의와 중요성

자궁경관무력증이란 임신 중기 또는 말기에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자궁내압에 의해 자궁 경관이 점진적이고 무통성으로 개대되어 양막둘출 및 조기파막이 발생하여 유산 혹은 미숙아의 출산을 반복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자궁경관은 임신 중 태아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인해 태아를 유지하기 어려워져 유산이나 조산의 위험이 높아진다""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 중 태아 손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며, 임신 중반기 태아 손실의 20~25%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빈도가 적지 않은 질환이다""


1.2. 자궁경관무력증의 발생 원인

자궁경관무력증의 발생 원인은 선천적인 이상과 후천적인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적인 이상의 경우 자궁경부의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경관의 길이가 짧거나 자궁의 기형이 있는 경우, 또는 디에틸스틸베스트롤(DES)에 노출되어 자궁경부가 비정상적으로 발육되었을 경우에 자궁경관무력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커지는 태아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경관이 열리게 되어 태아를 잃게 된다.

후천적인 이상의 경우 외상으로 인한 손상으로 발생한다. 과거 분만 시 받은 경관열상이나 자궁경부의 외상, 즉 소파술, 원추조직절제술, 전기소작법 등으로 인해 자궁경부의 내구가 손상되어 자궁경관무력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태아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경관이 열리게 되어 유산이나 조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궁경관무력증은 선천적인 이상이나 후천적인 손상으로 인해 자궁경관의 내구가 약화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과 진단
2.1. 증상

자궁경관무력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맑은 냉이 많아짐은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유산이나 조산되는 초기 증상이다. 자궁경관무력증 환자들은 특히 맑은 냉이 많아져서 때로는 양수가 나오는 것으로 여길 수도 있다.

이슬과 비슷한 출혈은 진통 전 증상으로, 냉이 많아지고 이슬과 비슷하게 피가 냉과 섞여서 조금 나오는 증상이 있기 때문에 질출혈이 있을 경우 진찰로 확인해야 한다.

배가 자주 뭉치거나 허리가 아프고 골반이나 아랫배가 무겁거나 처지는 느낌을 받거나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으로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많은 정상 산모에서도 생기므로 이것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양막이 불룩하게 질로 나오는 경우, 자궁 입구가 풀리고 열려서 속에 양수를 가진 양막이 자궁 경관 속이나 질 쪽으로 불룩하게 나올 수 있다.


2.2. 진단 기준

과거 산과력상 자연유산 및 인공유산 등에 의한 자궁경관 손상이 있었던 산모로서 자궁경관 내구가 개대되어 있거나, 내진 또는 촉진시 아무런 저항 없이 자궁내로 들어간 경우, 태아 선진부의 양막이 자궁내구를 향하여 원하여 원추형으로 팽창한 경우, 자궁경구 소견으로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된다. 질식초음파 검사시 자궁경부의 길이가 짧아졌을 때(3.1,cm 이하일 때)와 자궁내구의 개대정도(0.42cm 이상일 때), 깔대기 모양의 자궁경부일 때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2.3. 진단 방법

진단 방법은 질경검사와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며 자궁경관이 짧아지거나 깔때기형 변화가 있는지를 관찰한다""고 할 수 있다. 질 초음파(내진 초음파)검사는 초기 임산부(10주 이내)에서 태아 상태 확인을 위한 필수적인 검사로 질에 가늘고 긴 탐촉자를 넣어 자궁, 난소 등 골반 내부를 더욱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임신 중기 이후라도 자궁 경부 길이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나 ...


참고 자료

정성로, 박민수, 박문일, 김승룡, 배은경, 황정혜, 백지흠, 최중섭, 문형, 김영재. (2003). 선행 질식수술에서 실패한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에서 복식자궁경협부원주봉합술 및 변형질식자궁경봉합술의 결과 비교. , 46(3), 18-18.
자궁경관무력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은명의, 김왕식, 김종인 1998년 8월)
서울아산병원 “자궁경관무력증”/“검사,시술,수술정보”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12&CONT_SRC=CMS&CONT_ID=3385&CONT_CLS_CD=001020001007,
http://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54
삼성서울병원 “자궁경관무력증”
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12&CONT_SRC=CMS&CONT_ID=3385&CONT_CLS_CD=001020001007
차케어스 “자궁경관무력증”
https://www.chamc.co.kr/health/guide/default.asp?ct_id=323&cc_id=3230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2018) P.246~P.247
약품검색 “의약품사전”https://terms.naver.com/medicineSearch.nhn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2015) P.188~P.21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18). 제 9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Ⅲ 고위험 임신 간호 238-247p
김성근한의원 (https://blog.naver.com/omdskkim/221121722256)
드럭인포(https://www.druginfo.co.kr)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CHA 의과학대학교 차병원 (http://www.chamc.co.kr)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12). 여성건강간호학Ⅱ. 경기도 : 수문사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Ⅱ. 서울 : 현문사
성미혜 외(2015).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경기도 : 수문사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Main.do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