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환경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09.11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예술과 환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환경 예술의 이해
1.1. 환경 예술의 정의
1.2. 환경 예술의 탄생 배경
1.3. 초기 환경 예술 작가
1.3.1. 앤디 골드워시
1.3.2. 요셉 보이스
1.3.3. 로버트 스미슨

2. 1990년대 이후 환경 예술 사례
2.1. 올라퍼 엘리아슨의 작품 <빠른 시계>
2.2. 멜 친의 작품
2.3. 토마스 사라세노의 작품

3. 환경을 추구하는 디자인
3.1. 환경디자인의 정의
3.2. 에코디자인
3.2.1. 제품디자인
3.2.2. 건축 및 가구 디자인
3.2.3. 패션디자인
3.3. 환경디자인의 조건

4. 친환경 공간 디자인
4.1. 서초구 방배동 제1 공영주차장
4.2. NAVER LIBRARY
4.3. 순천 명말경로당
4.4. 파리 일드프랑스 패시브 하우스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환경 예술의 이해
1.1. 환경 예술의 정의

환경 예술(Environmental Art)은 아르테 포베라(Arte Povera), 생태 예술(Ecological art), 대지 예술(Land Art) 등과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의미로 환경 예술을 사용할 예정이다. 환경 예술은 예전부터 자연 환경을 묘사해온 고전적인 방식 뿐만 아니라 현대 예술까지 아우르는 장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60년대 말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데, 오늘날에는 우리가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행동과 생각을 바꾸기를 유도하는 작품들이 대거 등장한다."


1.2. 환경 예술의 탄생 배경

환경 예술은 20세기 말이라는 시대적 배경의 영향으로 탄생할 수 있었다. 당시에는 모더니즘적 관점을 대체할 새로운 이데올로기가 필요했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이로 인한 폐해가 드러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해 불만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기계론적인 자연관에서 유기체적 자연관으로 변화하기 시작했고, 새로운 자연관과 인간관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필요로 했다. 과거에는 인간을 중심에 두고, 세계와 자연을 통제, 이용의 대상으로만 보았다. 하지만 그러한 개인주의적 관점, 근대적 자연관에서 벗어나서 공동체적인 사고를 하고, 전체론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사람들이 등장했다. 이러한 새로운 자연관을 예술로 표현하기 위해서 과학, 공학 등 여러 학문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복합 학문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당시에 레이첼 카슨(Rachel Louise Carson, 1907-1964)이 집필한 "침묵의 봄"(1962)이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다. 이는 처음으로 화학물질이 환경에 끼치는 악영향을 조명한 책이었다. 책 출간 이후 미국에는 환경 보존 단체가 결성되기 시작했고, 여러 분야에서 환경 문제를 조망하기 시작했다. 이 영향은 이후 유럽을 비롯해 전 세계로 퍼져나가게 되고, 미국의 환경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출발점이 되었다."


1.3. 초기 환경 예술 작가
1.3.1. 앤디 골드워시

앤디 골드워시는 자연의 덧없음을 탐구하는 조각가, 사진작가, 환경운동가로 장소 특정적 예술 작품을 주로 제작해왔다. 그는 자연의 탄생, 성장, 분해의 단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작업의 소재로는 바위나 나뭇잎, 솔잎, 고드름 등 도시 안에 존재하는 자연의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소재들의 수명 주기와 주변 생태가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이를 사진으로 세세하게 기록해둔다. 작품을 통해서 보는 이들의 행동 변화를 촉구하지는 않지만, 자연과 작품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환경에 대한 인식을 환기 시키는 기능을 한다.


1.3.2. 요셉 보이스

요셉 보이스는 독일의 예술가이자 교사, 행위 예술가, 이론가였다. 그는 1960년대에 플럭서스 운동의 창시자였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예술이 개인적인 경험에서 출발하지만 보편적인 예술, 정치, 사회 이슈를 다룰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그의 작업 중 환경 예술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작업은 ""7000개의 참나무를 심은 작품(1982-1987)""이다. 이는 프로세스 아트로 해석할 수도 있다. 그는 독일 카셀에 수 년에 걸쳐서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7000그루의 참나무를 심었고, 그 옆에 현무암 돌을 한 개씩 함께 심었다. 도시 공간을 물리적, 정신적, 은유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지역 사회 전체의 조각품을 만들어냈다.


1.3.3. 로버트 스미슨

로버트 스미슨(Robert Smithson, 1938-1973)은 추상표현주의와 미니멀리즘의 여파로 등장한 영향력 있는 미술가 중 한 사람이었다. 초기에는 회화와 콜라주를 주로 제작했지만 1960년대에 초 미니멀리즘과 개념주의를 접하며 환경으로 작품을 확장시켜 나갔다. 1970년에는 유타주 그레이트 솔트 레이크 기슭의 색색의 물로 이루어진 바위로 <나선 부두(Spiral Jetty)>(1970)를 제작했다. 오브제만큼이나 오브제를 둘러싼 주변 공간과 관객의 경험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1960년대 대지 예술 아이디어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1968년 10월 스미슨은 최초의 랜드 아트 전시회인 《Earthworks》를 개최했다. 총 14명의 작가가 참여했으며, 의도적으로 수집이 불가능하거나 사진으로만 표현된 야외 전시물을 선보였다. 이는 미술 시장의 상품화에 전면적으로 대항하는 장소였다. 당시에는 매우 혁명적인 전시였으며 예술 작품에 대한 개념을 뒤흔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처럼 스미슨은 현대의 퍼포먼스에 가까운 환경 예술이 ...


참고 자료

Hans Ulrich Obrist, “In Conversation with Tomá Saraceno: On Aerocene,” in Aerocene, StudioTomás Saraceno ed. (Milano: Skira Editore, 2017).
Jane Turner, The Dictionary of Art, (New York: Grove Dictionaries ICN.) 1996, Vol. 15.
윤평중,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과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서광사, 1992.
John E. Thornes, 「A Rough Guide to Environmental Art」,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Vol. 33:391-411, 2008.
Julia Bentz and Karen O’Brien, 「ART FOR CHANGE: Transformative learning and youth empowerment in a changing climate」, Elementa: Science of the Anthropocene (2019) 7: 52.
강술생, 「생태미술에 나타난 ‘순환성’ 표현 연구: 연구자의 작품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박사 학위논문, 2011.
김기섭, 「생태주의에 대한 설치작품 연구(본인의 설치작품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나혜영, 「기후위기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예술적 접근의 의미와 효과」, 2022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 2022.
맷 맥그라스, “사상 최초 ‘기후 재앙 마지노선 1.5℃, 돌파 가능성 크다’ 경고 나와”, BBC NEWS KOREA,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lk4p0yv723o. (2023. 06. 20.)
박일호, 「환경미술의 의미와 전망: 생태학과 미술」,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6 No.-, 2002.
손정아, 「생태학적 위기에 대한 예술적 대응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미술이론 전공, 2015.
양민호, “과학자들이 보낸 기후위기 긴급 알림 - IPCC 보고서 분석해보니”, 그린피스, 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21702/blog-ce-ipcc-6th-2nd-report/. (2023. 06. 20.)
이지은, 「인류세의 미술: 토마스 사라세노, 피에르 위그, 아니카 이의 작업을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 서양미술사학회, Vol. 52 No.-, 2021.
조신정,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의 기후위기 프로젝트에 나타난 대중참여 연구」, 미술문화연구 제 25호, 139쪽.
Sarah Cascone, ”Artist Mel Chin Floods Times Square With Virtual Reality Art to Sound the Alarm on Climate Change“, July 12, 2018, https://news.artnet.com/art-world/mel-chin-confronts-climate-change-times-square-virtual-reality-artwork-1317413, (2023. 06. 20.)
“ENVIRONMENTAL ART”, TATE, https://www.tate.org.uk/art/art-terms/e/environmental-art. (2023. 06. 20.)
“How Eliasson is changing our perceptions”, TATE,
“Joseph Beuys”, TATE, https://www.tate.org.uk/art/artists/joseph-beuys-747. (2023. 06. 20.)
“Joseph Beuys”, The Art Story, https://www.theartstory.org/artist/beuys-joseph/. (2023. 06. 20.)
“Olafur Eliasson's latest work is melting away on the bank of the Thames in London”, The Art Newspaper, 2018. 12. 11.
“Robert Smithson”, The Art Story, https://www.theartstory.org/artist/smithson-robert/. (2023. 06. 20.)
“Trailer: Tomás Saraceno – in orbit”, Institut für Kunstdokumentation, 2013. 06. 21. https://www.youtube.com/watch?v=ROqL-8h_7DM&t=147s&ab_channel=KunstsammlungNRW. (2023. 06. 20.)
“WHAT IS ENVIRONMENTAL ART: Environmental artists, a sustainable trend”, Iberdrola,
https://melchin.org/oeuvre/unmoored/. (2023. 06. 20.)
https://news.artnet.com/art-world/mel-chin-confronts-climate-change-times-square-virtual-reality-artwork-1317413. (2023. 06. 20.)
https://www.iberdrola.com/culture/environmental-art. (2023. 06. 20.)
https://www.tate.org.uk/art/artists/olafur-eliasson-5239/yes-but-why-olafur-eliasson. (2023. 06. 20.)
https://www.theartnewspaper.com/2018/12/11/olafur-eliassons-latest-work-is-melting-away-on-the-bank-of-the-thames-in-london. (2023. 06. 20.)
Sophie Heatley, “9 Artists Confronting Climate Change”, Rise Art, 2021. 08. 20., https://www.riseart.com/article/2485/9-artists-confronting-climate-change (2023. 06. 20.)
Zoë Lescaze, “12 Artists On: Climate Change”, The New York Times, 2018. 08. 22. https://www.nytimes.com/2018/08/22/t-magazine/climate-change-art.html. (2023. 06. 20.)
위키 백과 [키워드 환경디자인]
검토리가 본 검찰이야기 [네이버블로그]
네이버 지식in [키워드 환경을 추구하는 디자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