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폐렴의 정의 및 발생 빈도
폐렴은 말단 세기관지 이하 폐실질조직의 염증으로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폐렴은 2세 이하 영유아의 감염성 질환의 13%를 차지할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한다. 폐렴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영유아에게 더욱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는 영유아의 면역체계가 발달하지 않아 병원체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특히 신생아의 경우 폐렴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흔한 폐렴 원인 병원체는 바이러스로, 영아기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은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이다. 세균성 폐렴은 소아에서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H. influenzae b나 S. pneumoniae 등의 세균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 특히 신생아의 경우 폐렴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2. 폐렴의 종류 및 원인
폐렴의 종류 및 원인은 다음과 같다.
폐렴은 발생부위, 원인, 임상 증상에 따라 분류된다.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원인에 의한 분류가 가장 유용하게 사용된다. 원인 병원체로는 바이러스가 가장 흔하고 마이코플라즈마와 세균이 다음을 차지하는데, 동시에 여러 개의 병원체가 중복 감염되기도 한다. 감염성 폐렴의 두 가지 일반적인 형태는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이다. 비감염성 폐렴은 흡인, 알레르기, 약품, 방사선 손상, 제초제, 위식도 역류에 의해 발생한다.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이 신생아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흔한 폐렴이며, 세관지염, 기관지 주위염과 간질성 폐렴의 형태로 나타난다. 바이러스 폐렴의 흔한 원인은 RSV, parainfluenza virus, influenza virus, adeno virus 등이며, 특히 RSV가 영아기에서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세균성 폐렴은 소아에서 드물다. H. influenzae b나 S. pneumoniae에 의해서도 발병하며, 예방접종에 의해 예방이 가능하다. 비감염성 폐렴은 흡인, 알레르기, 약품, 방사선 손상, 제초제, 위식도 역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2. 폐렴의 병태생리
2.1. 방어기전
기침반사, 점막의 섬모운동, 폐포의 대식세포의 식균작용, 염증반응, 면역반응 등을 포함하는 방어기전은 흡입된 병원균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한다. 민감한 인체에 침범한 병원균은 독소를 방출하여 2차와 3차 방어기전을 자극한다. 방출된 독소와 신체 방어기전으로 인해 생성된 부산물은 폐 점막을 손상시키고, 기도 내에 삼출물과 조직 파편이 축적된다. 이러한 현상은 비정상적인 환기/관류 비율(ventilation/perfusion ratio)의 이상을 초래한다.""
2.2. 폐렴의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
폐렴의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대엽성 폐렴(lobar pneumonia)으로, 한 엽의 전부 또는 일부를 침범한 폐렴이다. 두 번째는 간질성 폐렴(interstitial pneumonia)으로, 염증반응이 폐포벽, 기관지 주위와 소엽 사이를 침범한 폐렴이다. 세 번째는 기관지 폐렴(bronchial pneumonia)으로, 산재성, 소엽 폐렴과 간질성 폐렴을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용어로서 주로 반점상(pachy) 침윤을 보인다. 이러한 폐렴의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는 병원균 및 감염경로, 치료방법 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3. 폐렴의 임상증상 및 진단
3.1. 폐렴의 일반적인 증상
폐렴의 일반적인 증상은 기침, 권태감, 흉통, 열, 그리고 식욕부진이다. 두통, 빈호흡, 천명음, 위장관계 불편감 등의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폐의 하엽이 침범된 경우 복통이, 상엽이 침범된 경우 뇌수막염 없이 경부경직이 나타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