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자 정보 및 상황 개요
1.1. 이OO (M/73)
이OO (M/73)은 간 농양으로 진단받고 입원한 73세 남성 환자이다. 그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와 위장약 등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11월 5일 저녁 식사 후 증상이 발생하여 119로 호송되어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이OO 환자는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지 10년 되었으며, 형제 중 위암과 갑상선암 병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 정맥관 삽입술(PCD)을 통해 간 농양 배액술을 받았으며, 배액관 삽입부위와 배액량, 배액물 색상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수치가 정상 범위를 상회하고 있어 감염 소견을 보이고 있으며, C-반응성 단백질(CRP)과 알부민 수치 또한 비정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검사 결과 간 내 저밀도 병변과 복강 내 액체 저류 등이 관찰되었다.
이 환자는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급성 통증, 그리고 낙상 위험 등의 간호진단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해열제 투여, 통증 관리, 낙상 예방 등의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이OO 환자는 간 농양으로 인해 발열, 복통, 오심 등의 증상을 보이며 내원하였다. 간 농양은 주로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데, 복부 외상, 담도계 질환, 악성 종양 등이 선행 요인이 될 수 있다. 이OO 환자의 경우 기저 질환인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있었고, 복용 중인 약물로 인해 소화기 점막 손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간 농양의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우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이 있으며, 진행 시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OO 환자 역시 발열, 복통, 오심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어 적절한 처치와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혈액검사 결과 백혈구와 CRP가 증가한 것은 감염 소견을 보여주며, 알부민 감소는 영양 상태 저하를 나타낸다. 영상검사에서 관찰된 간 내 저밀도 병변과 복강 내 액체 저류는 간 농양의 전형적인 소견이다.
이OO 환자에게는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급성 통증, 낙상 위험 등의 간호진단이 도출되었다. 우선적으로 해열제 투여, 통증 조절, 수액 공급 등의 처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는 적절한 항생제 투여와 함께 영양 상태 개선, 합병증 예방 등의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1.2. OO수 (F/58)
OO수(F/58)는 왼쪽 무릎에 퇴행성 관절염이 있어 전왕관절 치환술(TKRA)을 받은 환자이다. 수술 후 관찰된 주요 문제로는 급성 통증, 감염의 위험, 출혈의 위험, 낙상의 위험 등이 있다.
우선 급성 통증의 경우, 수술로 인한 조직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수술 후 1, 2, 3일째 NRS 3점, 6점, 3점으로 중등도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통증을 조절하여 편안하게 하는 것이 수술 후 간호의 주된 목적이므로, 통증이 심해지기 전에 휴로펜정, 트라마돌 염산염주 등의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얼음주머니 적용, 다리 거상 등의 간호중재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감염의 위험이 있다. 수술 후 1, 2, 3일째 WBC, CRP, Seg-neutrophils 수치가 상승한 것으로 보아 감염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당뇨병이 있는 환자는 감염에 더욱 취약하므로 지속적으로 상처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관찰하고, 무균술을 철저히 준수하는 등 감염 관리에 주력해야 한다.
출혈의 위험도 있다. 수술 후 1, 2, 3일째 혈색소와 헤마토크릿 수치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출혈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술 후 출혈의 위험이 높으므로 출혈 양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필요시 혈액 제제 투여 등의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낙상의 위험이 있다. 수술 후 워커를 사용하고 있으며, 낙상위험사정 점수가 60점으로 높은 편이다. 고령의 나이와 불안정한 보행으로 인해 낙상의 위험이 크므로 침상 난간 유지, 조명 관리, 보행 보조기구 사용 등 낙상 예방 간호에 힘써야 할 것이다.
종합하면, OO수(F/58)는 전왕관절 치환술 후 급성 통증, 감염의 위험, 출혈의 위험, 낙상의 위험 등이 있는 환자로, 이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3. OO진 (M/59)
OO진 (M/59)은 현재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증상들을 겪고 있다. 그는 약 한 달 전부터 오한, 피로감, 근육통 등의 증상이 있었으며 최근 기침과 객담 증상이 지속되어 입원하게 되었다.
그의 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수치(WBC 19.30 x 103/uL)와 중성구 비율(Seg-neutrophils 87.3%)이 높게 나타나 감염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체온이 38.5°C까지 상승한 고체온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감염에 따른 염증 반응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호흡기 증상으로 인한 비효과적인 기도 청결 문제도 있다. 대상자는 기침과 다량의 객담 배출을 호소하고 있어 이로 인한 불편함과 위험성이 있다. 객담 배출을 돕고 기도 청결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고체온과 관련하여 체액 부족의 위험이 있다. 고체온으로 인해 신진대사율이 증가하고 체액 소실이 가속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혈압 소견(84/53mmHg)도 관찰되어 탈수 등 체액 불균형의 징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적절한 수분 공급과 전해질 모니터링이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