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1.2. 객관적 자료
1.3. 간호진단

2. 간호목표
2.1. 장기목표
2.2. 단기목표

3. 간호계획
3.1. 이론적 근거
3.1.1. 진단적 계획
3.1.2. 치료적 계획
3.1.3. 교육적 계획
3.2. 간호수행
3.2.1. 진단적 수행
3.2.2. 치료적 수행
3.2.3. 교육적 수행

4. 간호평가
4.1. 장기목표 평가
4.2. 단기목표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내가 입맛이 통 없어."라고 말하며 식욕 감퇴를 호소하고 있다. 또한 "나도 좀 먹어볼까 싶은데 입맛이 없어서 목구멍으로 넘어가질 않는데 뭐."라고 하며 식사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더불어 "아이고 먹는 것도 귀찮다."라고 말하며 식사와 관련된 무력감을 표현하고 있다."


1.2.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신체 크기 및 영양 상태를 보여주는 객관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신장 162cm, 체중 45.7kg이며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17.4로 '저체중' 상태이다. 대상자는 잦은 식욕부진을 호소하고 있으며 식사 도중 음식 섭취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제공된 식사의 1/3~3/2 이상을 먹지 않고 대부분 남기는 모습이 3회 관찰되었다. 또한 팔, 다리가 마르고 가늘며 쇠약하고 힘이 없어 보이고,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며 피하 지방층이 얇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입술이 갈라져 있고 머리카락이 푸석푸석하며 얼굴이 약간 창백해 보였다.

간이영양상태조사지(MNA, Mini-Nutritional Assessment)로 측정한 영양평가 점수가 15점으로 '영양불량' 상태임이 확인되었다. 혈액 검사 결과 Hb(헤모글로빈) 9.2g/㎗로 정상 범위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고, 총단백질(Total protein) 5.7g/㎗, 혈청알부민(Albumin) 3.1g/㎗로 혈액학적 영양지표 또한 정상 범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심각한 영양 불균형 및 결핍 상태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1.3.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Imbalanc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이다.

NANDA 정의에 따르면 이는 "신체 대사 요구량에 비해 영양 섭취가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객관적 자료를 통해 대상자는 신장 162cm, 체중 45.7kg으로 체질량지수(BMI) 17.4로 '저체중' 상태이며, 식사 섭취량이 제공된 식사의 1/3~3/2 이상을 섭취하지 않고 있다. 또한 혈액검사 결과 Hb 9.2g/㎗, 총단백질(Total protein) 5.7g/㎗, 혈청알부민(Albumin) 3.1g/㎗으로 정상 범위보다 낮은 영양 지표 수치를 보이고 있다. 간이영양상태조사(MNA)에서도 15점으로 '영양불량' 상태로 확인되었다. 이를 종합할 때 대상자는 식욕부진으로 인한 영양부족 상태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2. 간호목표
2.1.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체중을 유지하게 될 것이다. 대상자의 현재 체중은 45.7kg으로 신장 162cm 기준 표준체중인 약 50kg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저체중 상태이다. 그러나 치료적 간호중재와 영양섭취 증진을 통해 대상자의 체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퇴원 시에는 정상체중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혈액검사 상 혈색소, 총단백질, 알부민이 정상 범위에 있게 될 것이다. 대상자의 입원 당시 혈색소 수치는 9.2g/dL로 정상범위(12-16g/dL) 보다 낮았고, 총단백질은 5.7g/dL, 알부민은 3.1g/dL로 정상범위(총단백질 6.0-8.0g/dL, 알부민 3.5-5.5g/dL)보다 감소된 상태였다. 그러나 영양섭취가 증가하고 영양결핍 증상이 호전되면서 이러한 혈액학적 지표들이 점차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영양평가 도구인 MNA(Mini-Nutritional Assessment) 점수가 정상범위(24-30점)에 도달할 것이다. 입원 당시 대상자의 MNA 점수는 15점으로 "영양불량" 상태였다. 그러나 지속적인 영양중재와 섭취량 증가를 통해 대상자의 영양상태가 호전되어 퇴원 전까지 MNA 점수가 정상범위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2.2. 단기목표

단기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3일 안에 대상자는 제공된 식사의 2/3 이상 섭취한다. 대상자의 식사량이 점차 증가하여 3일 내에 제공된 식사의 2/3 이상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② 5일 안에 대상자는 식욕이 증가했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중재 후 5일 만에 대상자가 "요새는 제가 좋아하는 반찬도 많이 먹을 수 있고 밥이 잘 넘어가네요."라고 말하며 식욕이 증가했음을 표현했다.""

③ 7일 안에 대상자의 체중이 감소하지 않고 적어도 0.5㎏ 이상 증가한다. 관찰 기간 7일 동안 대상자의...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2019)/ 현문사/ 황옥남 외
최신기본간호학(2020)/ 수문사/ 송경애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간호와 영양(2020)/ 포널스출판사/ 김분한 외
Sparks and Taylor's Nursing Diagnosis pocket guide 3rd edition(2017)/ Linda Phelps
Nursing Care Plans. 9th Edition(2014)/ Marilynn E. Doenges, Mary Frances Moorhouse, Alice C. Murr/ F.A DAVIS COMPANY
학술자료: 『An overview of appetite decline in older people』(2015)/ Sian Robinson/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Research (NIHR) Southampton Biomedical Research Centr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589891/
한국영양학회 http://www.kns.or.kr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킴스온라인 https://www.kimsonline.co.kr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이영호. "식욕부진증의 입원 치료 : 임상 실제." 신경정신의학 38.3 (1999): 443-464.
김은경(Kim Eunkyoung). "영양부족 환자 영양간호 가이드라인에 대한 병원 간호사의 인지도와 수행도." 계명간호과학 20.3 (2017): 94-105.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