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내가 입맛이 통 없어."라고 말하며 식욕 감퇴를 호소하고 있다. 또한 "나도 좀 먹어볼까 싶은데 입맛이 없어서 목구멍으로 넘어가질 않는데 뭐."라고 하며 식사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더불어 "아이고 먹는 것도 귀찮다."라고 말하며 식사와 관련된 무력감을 표현하고 있다."
1.2. 객관적 자료
대상자의 신체 크기 및 영양 상태를 보여주는 객관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신장 162cm, 체중 45.7kg이며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17.4로 '저체중' 상태이다. 대상자는 잦은 식욕부진을 호소하고 있으며 식사 도중 음식 섭취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제공된 식사의 1/3~3/2 이상을 먹지 않고 대부분 남기는 모습이 3회 관찰되었다. 또한 팔, 다리가 마르고 가늘며 쇠약하고 힘이 없어 보이고,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며 피하 지방층이 얇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입술이 갈라져 있고 머리카락이 푸석푸석하며 얼굴이 약간 창백해 보였다.
간이영양상태조사지(MNA, Mini-Nutritional Assessment)로 측정한 영양평가 점수가 15점으로 '영양불량' 상태임이 확인되었다. 혈액 검사 결과 Hb(헤모글로빈) 9.2g/㎗로 정상 범위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고, 총단백질(Total protein) 5.7g/㎗, 혈청알부민(Albumin) 3.1g/㎗로 혈액학적 영양지표 또한 정상 범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심각한 영양 불균형 및 결핍 상태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1.3.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영양부족(Imbalanc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이다.
NANDA 정의에 따르면 이는 "신체 대사 요구량에 비해 영양 섭취가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객관적 자료를 통해 대상자는 신장 162cm, 체중 45.7kg으로 체질량지수(BMI) 17.4로 '저체중' 상태이며, 식사 섭취량이 제공된 식사의 1/3~3/2 이상을 섭취하지 않고 있다. 또한 혈액검사 결과 Hb 9.2g/㎗, 총단백질(Total protein) 5.7g/㎗, 혈청알부민(Albumin) 3.1g/㎗으로 정상 범위보다 낮은 영양 지표 수치를 보이고 있다. 간이영양상태조사(MNA)에서도 15점으로 '영양불량' 상태로 확인되었다. 이를 종합할 때 대상자는 식욕부진으로 인한 영양부족 상태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2. 간호목표
2.1.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체중을 유지하게 될 것이다. 대상자의 현재 체중은 45.7kg으로 신장 162cm 기준 표준체중인 약 50kg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저체중 상태이다. 그러나 치료적 간호중재와 영양섭취 증진을 통해 대상자의 체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퇴원 시에는 정상체중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혈액검사 상 혈색소, 총단백질, 알부민이 정상 범위에 있게 될 것이다. 대상자의 입원 당시 혈색소 수치는 9.2g/dL로 정상범위(12-16g/dL) 보다 낮았고, 총단백질은 5.7g/dL, 알부민은 3.1g/dL로 정상범위(총단백질 6.0-8.0g/dL, 알부민 3.5-5.5g/dL)보다 감소된 상태였다. 그러나 영양섭취가 증가하고 영양결핍 증상이 호전되면서 이러한 혈액학적 지표들이 점차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영양평가 도구인 MNA(Mini-Nutritional Assessment) 점수가 정상범위(24-30점)에 도달할 것이다. 입원 당시 대상자의 MNA 점수는 15점으로 "영양불량" 상태였다. 그러나 지속적인 영양중재와 섭취량 증가를 통해 대상자의 영양상태가 호전되어 퇴원 전까지 MNA 점수가 정상범위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2.2. 단기목표
단기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3일 안에 대상자는 제공된 식사의 2/3 이상 섭취한다. 대상자의 식사량이 점차 증가하여 3일 내에 제공된 식사의 2/3 이상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② 5일 안에 대상자는 식욕이 증가했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중재 후 5일 만에 대상자가 "요새는 제가 좋아하는 반찬도 많이 먹을 수 있고 밥이 잘 넘어가네요."라고 말하며 식욕이 증가했음을 표현했다.""
③ 7일 안에 대상자의 체중이 감소하지 않고 적어도 0.5㎏ 이상 증가한다. 관찰 기간 7일 동안 대상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