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현대 사회 고전문학이 가지는 의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전문학의 의의와 대표 작품
1.1. 고전문학의 개념과 가치
1.2. 한국 고전소설의 대표 작품
1.2.1. 홍길동전
1.2.2. 춘향전
1.3. 고전문학의 현대적 재해석
2. 일본 고전문학의 계승과 활용
2.1. 하이쿠의 개념과 역사
2.2. 하이쿠 대표 작가
2.2.1. 마쓰오 바쇼
2.2.2. 고바야시 잇사
2.2.3. 마사오카 시키
2.3. 현대 일본 문화에 반영된 고전문학
2.3.1. 애니메이션 속 하이쿠
2.3.2. 와카와 만엽집 시
2.4. 고전문학의 현대적 의미
3. 고전문학의 교육적 활용
3.1.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3.2. 고전문학 연구의 의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전문학의 의의와 대표 작품
1.1. 고전문학의 개념과 가치
고전문학은 과거 우리나라의 문학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산물이다. 고전문학은 당대의 사상과 감정, 삶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어 우리나라 민족이 가지는 가치관과 정서의 근본적인 부분을 담고 있다. 특히 고전소설은 인생의 구체적이고 총체적인 모습을 형상화한 문학 장르로서, 당대 사회의 문화적인 부분이 녹아있어 그 의미가 깊다.
고전문학 작품 속에는 과거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과 제도, 풍속 등이 내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당시의 신분제도, 남존여비 사상, 효 등 중요한 가치관을 알 수 있다. 현대와는 거리가 있는 과거의 문화를 접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의 역사와 전통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처럼 고전문학은 우리나라 문화의 근본적인 뿌리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1.2. 한국 고전소설의 대표 작품
1.2.1. 홍길동전
홍길동전은 한국 고전소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소설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당시 사회의 신분제도와 남존여비 사상, 그리고 효라는 핵심 가치관을 잘 드러내고 있다.
소설 속 주인공인 홍길동은 아버지인 홍판서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서자로, 자신의 신분으로 인해 겪어야 했던 고통과 설움을 토로한다. 당시 신분 차별이 엄격했던 조선 사회에서 서자인 홍길동은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없었다. 이에 홍길동은 아버지나 형과도 호부호형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홍길동의 고민과 고통은 작품 전반에 걸쳐 드러나며, 이는 당시 신분제도의 부당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한편 홍길동전에는 효라는 가치관도 잘 반영되어 있다. 홍길동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3년상을 치르며 효도를 다하고자 한다. 이는 유교 사상이 지배적이었던 당시 조선 사회에서 자식들이 실천해야 했던 가장 핵심적인 윤리이자 도리였다. 비록 홍길동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서자였지만, 그는 부모에 대한 효심만큼은 변함없이 지키고자 했던 것이다.
이처럼 홍길동전은 조선 시대의 신분제도와 유교적 가치관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 사회의 모습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정서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1.2.2. 춘향전
춘향전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한글 소설이며 판소리계 소설로도 분류되는 작품이다. 극중에 나오는 이몽룡은 양반의 자식이며 춘향은 기생의 딸이지만 이 둘은 신분을 초월한 사랑을 이루고자 한다. 전반적으로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조선 후기 시대의 평민 의식이 담겨져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 소설은 정확한 창작 시기를 알 수 없지만 이전부터 설화로 전해지던 것이 판소리로 불려오다가 소설로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춘향전이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당대의 문화로는 신분제도를 들 수 있다. 앞서 살펴본 홍길동전과 마찬가지로 신분제도가 이 작품에도 잘 드러나고 있다. 춘향의 아버지는 양반 신분이었지만 기생인 어머니가 있어서 춘향 역시 낮은 신분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춘향전이 창작된 조선 후기에는 상민이나 중인들이 돈을 이용해 신분을 변화시킬 수 있었고, 양반들도 경제적 몰락을 겪으며 신분제도가 흔들리기 시작한 시기였다.
따라서 작품 속에서 다른 신분을 가진 남녀의 사랑 이야기는 단순한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 의의를 갖는다. 신분의 벽을 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당시 신분제도의 변화 가능성을 반영한 것이다. 춘향은 사또 변학도의 수청을 거절하고 이몽룡에 대한 정절을 지키고자 하는데, 이는 조선 시대 여성의 정절이 단순한 남녀 간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춘향전이 창작된 조선 후기에는 동학, 실학, 천주교 등 새로운 사상이 퍼지면서 여성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한 인격체라는 생각이 확산되면서, 작품 속 춘향이 이몽룡과의 관계에서 적극적인 태도를 가진 모습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해 고을 사람들은 춘향을 동정하고 사또를 비난하기도 하는데, 이는 춘향의 저항에 백성들이 공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춘향의 정절은 당시 사회에서 여성에게 강요되던 유교 윤리를 상징하는 것이며, 그녀의 행동은 권력의 횡포에 맞서는 백성들의 모습을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3. 고전문학의 현대적 재해석
고전문학의 현대적 재해석은 고전 작품들이 시대를 거치며 끊임없이 새로운 ...
참고 자료
양소정.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고전문학 교수학습 방안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中央大學校 校育大學院, 2021. 서울
http://www.riss.kr/link?id=T15926330
이윤경(Lee Yun-Gyeong). "고전의 영화적 재해석 - 고전의 영화화 양상과 그에 대한 국문학적 대응." 돈암어문학 -.17 (2004): 101-127.
http://www.riss.kr/link?id=A76047995
월간 중앙, <[우리가 몰랐던 일본·일본인(11)] ‘하이쿠(俳句)’로 이슬 같은 삶의 현장 노래한 고바야시 잇사>, (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323424).
한겨레, <이슬의 세상은 이슬의 세상이지만, 그렇지만>,
(https://www.hani.co.kr/arti/specialsection/esc_section/700406.html).
매일경제, <[허연의 책과 지성] 마쓰오 바쇼 (1644~1694)>, 2019.03.22.,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9/03/174504/).
채널예스, <김영하 작가, “내가 고전을 읽는 이유”>,
(http://ch.yes24.com/article/view/23745)
허프포스트, <일본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하이쿠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 2017. 01. 12, (https://www.huffingtonpost.kr/2017/01/02/story_n_13918718.html).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왕인(王仁)”.
마쓰오 바쇼(류시화 옮김), 『바쇼 하이쿠 선집』, 열림원, 2015.
마쓰오 바쇼·요사 부손·고바야시 잇사·마사오카 시키·가와히가시 헤키고토(오석윤 옮김), 『바쇼 하이쿠 선집』, 책세상, 2006.
유옥희, 『하이쿠와 일본적 감성』, 제이앤씨, 2010.
오나카토미노 요시노부 외(최충희·이상민), 『후찬와카집』,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8.
나쓰메 소세키·마사오카 시키, 『시키와 소세키 왕복 서간집』,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6.
한국일어일문학회, 『봄에는 와카를 가을에는 하이쿠를 기억하다』, 글로세움, 2021.
시즈노 코분, <명탐정 코난:진홍의 연가>, 2017.
신카이 마코토, <언어의 정원>, 2013.
강지은. <춘향전> 등장인물의 욕망분석 : 융의 분석심리학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13.
최단비. 고전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