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문과 졸업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금기의 개념과 성격
2.1. 금기의 정의
2.2. 금기의 성격
2.2.1. 통합
2.2.2. 배제
3. 설화 에 나타난 금기
3.1. 줄거리
3.2. 기존 해석
3.3. 새로운 방향의 금기 해석
3.3.1. 신의 시험
3.3.2. 새로운 삶의 선택
4. 설화 에 나타난 금기
4.1. 줄거리
4.2. 기존 해석
4.3. 새로운 방향의 금기 해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의 탄생과 동시에 금기가 등장했다.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따르면, 하느님은 아담을 만든 후 아담의 갈비뼈를 하나 떼어 이브를 창조하였다. 아담과 이브는 에덴동산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었지만, 선악과를 따먹지 말라는 유일한 금기를 지키지 않았다. 이에 두 사람의 눈이 열려 자신의 알몸을 부끄러워하게 되었고, 인간은 고통과 질병을 받게 되었다.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금기가 존재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미역국을 먹지 않거나 손톱을 자르지 않는 것과 같은 금기가 존재한다. 따라서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신화, 설화 등 다양한 이야기 속에서 금기가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화 속 금기의 의미와 그 해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대표적인 한국 설화인 과 에 나타난 금기를 중심으로, 기존의 해석과 새로운 방향의 해석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금기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와 상징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2. 금기의 개념과 성격
2.1. 금기의 정의
금기(禁忌, taboo)란 폴리네시아어 터부에서 나온 말로서, 마음에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모아진다. 어떤 행위나 대상의 사용을 신성하다거나 위험하다는 의례적인 구분에 따라 금하는 것인데, 성스러운 것을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 것과 부정하고 위험한 것을 피하게 하는 두 방향으로 적용한다. 금기는 사회적으로 전승되며 금기를 범하면 신령의 노여움을 사거나 재앙을 받는다는 믿음 때문에 일종의 속신으로 자리 잡게 되기도 한다. 금기는 굿과 같은 의례가 무사히, 탈 없이, 안전하게 진행되기 위해 반드시 갖춰져야 할 조건이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풍요와 축복의 바라던 기원을 이뤄내기 위한 장치이다. 그런 의미에서 금기는 의례의 중요한 한 구성요소인데 프레이저(J. G. Frazer)가 금기를 소극적인 주술로 파악한 것도 이런 점에서 착안한 것으로 생각된다.
2.2. 금기의 성격
2.2.1. 통합
금기는 사회적으로 전승되며 금기를 범하면 신령의 노여움을 사거나 재앙을 받는다는 믿음 때문에 일종의 속신으로 자리 잡게 되기도 한다. 금기는 굿과 같은 의례가 무사히, 탈 없이, 안전하게 진행되기 위해 반드시 갖춰져야 할 조건이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풍요와 축복의 바라던 기원을 이뤄내기 위한 장치이다.
그런 의미에서 금기는 의례의 중요한 한 구성요소인데, 금기를 통하여 하나의 공동체는 공동체의 가치 혹은 성스러운 영역을 유지, 보호하고 공동체의 정체성을 부여하며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시킨다. 금기는 사회 공동체라는 인식을 심어준다. 사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금기를 공유한 구성원들은 공동체의식은 고취된다. 사람들은 비밀을 공유하며 '우리는 같은 배를 탔다.'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금기도 공동체가 같은 배를 탔다는 느낌을 주는 것이다. 이처럼 금기는 개인이 자신이 집단의 구성원임을 재인하게 해준다. 그들은 금기를 향유하고 지킴으로서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연대감을 느끼게 된다. 이는 공동체의 가치와 질서 유지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2.2. 배제
금기는 이분법적 사고를 나타내기도 한다. 흑과 백, 선과 악 등 대조되는 개념을 양극화시킨다. 하나는 옳고, 우아하고,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그르고, 천박하고, 배척해야할 것이 된다. 하르무트 그라프트(Hartmut Kraft)는 터부(금기) 원리가 모든 문화에 필수적이며, 존립을 위한 중요한 비밀이라고 말한다. 즉, 내부의 모든 모순과 나쁜 요소들이 모두 공개되고 나면 구성원들과 사회공동체가 존재할 수 없다. 이 경우 터부들은 효력을 상실하는 반면, 터부의 원리가 역겨움이나 수치심과 같은 감정을 느끼지 못하게 하고 악한 것이나 위험한 요소라고 지적하는 것을 방해한다. 사회적으로 악이라 통칭되는 것에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이러한 이유에서다.
또한, 확실한 것을 외에도 불확실한 것들, 질서가 없는 것들도 금기가 된다. 애매하거나 모호한 것은 어느 쪽에 속하는지 구별되지 않는 것이다. 경계가 불분명한 것이 이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사람도 짐승도 아닌 반인반수와 같은 것들은 한 쪽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경계선에 서있게 된다. 이러한 모습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기괴함을 느끼게 하며 배제의 대상이 되어버...
참고 자료
강영재, “白石詩의 전통성과 현대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9.
고형진, 「백석 시와 ‘엮음’의 미학」,열화당,1998.
고형진, 『백석』,새미,1996.
고형진 편 『백석시 바로읽기』,현대문학,2006.
김성원 편, 「한국의 세시풍속」, 명문당,1987.
김영인,「白石 詩文學 硏究」, 충남대학교 출판부,2000.
김윤식,『근대시와 인식』, 시와 시학사, 1992.
김은자, 「백석시 연구」, 『한림대학교 논문집』제8집,1990.12.
김종철, 『시와 역사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1978.
김종태, 「한국현대시와 전통성」, 하늘연못,2001.
김태곤,「韓國民間信仰硏究, 집문당, 1994.
김헌선, 「한국시가의 엮음과 백석 시의 변용」,『한국 현대시인 연구』, 신아, 1988.
김헌선, 「한국시가의 엮음과 백석 시의 변용」,시아,1988.
박종석, 「한국현대시의 탐색」, 역락, 2001,
성기조,『한국묺학과 전통논의』,신원문화사,1989.
송준,『백석시집 나와 나타샤와 흰당나귀』,시와 사회,1997.
이숭원,『현대시와 현실 인식』, 한신문화사,1990.
이숭원, 「『문장』지 시에 나타난 고향의식 시고」,『국어교육』제36화, 1980.
이필영, 『마을 신앙의 사회화』, 웅진출판,1994,
장경호, 「백석시 연구」, 전북대학원 석사논문,1999.
정한숙, 『현대한국문학사』, 고려대 출판부, 1982.
주영진, 「백석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스티븐 랭, 남경태, 『바이블 키워드』, 2007. 12. 24
정종진, 금기 형성의 특성과 위반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의미, 인간연구,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2, 82~83쪽.
김열규, 한국무속과 신화연구, 일조각, 1977, 157~158쪽.
하르무트 크라프트, 터부, 사람이 해서는 안될 거의 모든 것, 동서문화사, 1997, 208~209쪽.
박정세, 성서와 한국민담의 비교연구, 108쪽,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년.
김선자, 금기와 위반의 심리적 의미에 관한 고찰-장자못 전설과 함호 전설을 대상으로, 중국어문학논집, 1999년, 11쪽.
신동흔, 설화의 금기 화소에 담긴 세계인식의 층위-장자못 전설을 중심으로,
강명관, 『열녀의 탄생-가부장제와 조선 여성의 잔혹한 역사』, 돌베개, 2009.
조동일, 『제 3판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994.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97.
차충환, 『숙향전 연구』, 월인, 1999.
경일남, 「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의 형상과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 82, 어문연구학회, 2014.
신태수, 「사랑은 어떻게 여성의 신분과 정절이데올로기를 극복했나」, 『비평문학』 제59호, 2016.
이상구, 「淑香傳의 文獻的系譜와 現實的 性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임성래, 「숙향전의 대중소설적 연구」, 『배달말』 18, 배달말학회, 1993.
이유경, 「<숙향전>의 여성성장담적 성격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환상의 기능과 의미」, 『고전문학과 교육』 22, 2011.
조혜련, 「<숙향전>의 숙향: 청순가련형 여성주인공의 등장」, 『고소설연구』 34권, 한국고소설학회, 2012.
최기숙,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고전문학연구』 38권, 한국고전문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