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미권나라의 문화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화 간 차이와 국제경영
1.1. 동양문화와 서구문화의 비교
1.2. 고맥락문화와 저맥락문화 접근방식
1.3. 고맥락문화와 저맥락문화권의 사업환경 차이
2. 평생교육 정책 비교
2.1. 영미권 평생교육
2.2. 북유럽권 평생교육
2.3. 영미권과 북유럽권 평생교육 정책 형성 배경
3. 영미법 체계의 특징
3.1. 영미법상 선례의 의미
3.2. 미국 법관과 영국 법관의 비교
3.3. 미국 제정법의 상하관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화 간 차이와 국제경영
1.1. 동양문화와 서구문화의 비교
동양문화와 서구문화를 비교해보면, 동양문화는 추상적이고 전체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반면 서구문화는 분석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
동양문화의 경우 개인보다는 집단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다양성과 개방성보다는 획일성과 폐쇄성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 특히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유교의 영향을 받아 가정과 직장에서 유교적 성향이 강하게 드러나며, 정적이고 수동적이며 정신적인 것을 더 높이 평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서구문화로 대표되는 영미문화는 합리주의적 사고와 개인주의적 정서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성을 인정하고 타문화에 대해 개방적이다. 지적이고 분석적인 성향으로 과학과 철학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었으며, 노동을 중요하게 여기고 여성에 대한 존중도 높은 편이다. 편의주의를 추구하며 실용적이고 물리적인 성향이 강하다.
이처럼 동양문화와 서구문화는 사고방식, 가치관, 생활습관 등 다양한 영역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문화적 배경과 발전 과정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1.2. 고맥락문화와 저맥락문화 접근방식
고맥락문화와 저맥락문화 접근방식은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고 반영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홀(E.T.Hall)은 문화를 고맥락문화와 저맥락문화로 구분했는데, 고맥락문화는 상황을 중시하는 문화이고 저맥락문화는 상황보다 메시지를 중시하는 문화라고 볼 수 있다".
고맥락문화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메시지보다 상황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양 문화권이 이에 해당하는데, '눈치', '기분', '감' 같은 것에 민감해야 한다". 반면 저맥락문화권에서는 언어 메시지에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내용이 담겨 있다".
고맥락 커뮤니케이션이나 메시지는 정보 대부분이 물리적 상황에 있거나 사람들에게 내면화된 것으로 나타나며, 메시지와 같이 명확하게 부호화된 정보가 적다" 저맥락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반대로 많은 정보가 명확하게 부호화되어 있다".
고맥락문화권에서는 상황을 알려주는 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상대방의 안부를 묻거나 자기의 근황을 설명한 다음 용건을 맨 마지막에 간략히 언급하는 경향이 있다" 저맥락문화권에서는 메시지의 요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자기의 중요한 용건부터 먼저 언급하는 경향이 있다".
저맥락문화는 결론을 직접적으로 먼저 제시하는 선형 논리이지만 고맥락문화는 앞보다는 끝에 가서 결론을 내리는 나선형 논리 접근방식이다" 고맥락문화에서는 말하는 화자가 결론을 내리지 않고 듣는 청자의 몫으로 남겨두기도 한다".
고맥락문화권에서는 인간관계를 중시하여 한번 맺은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려 하지만, 저맥락문화권에서는 일시적 인간관계를 선호한다" 고맥락문화권의 기업은 수직적이고 집단주의적 문화가 강하지만, 저맥락문화권의 기업은 상대적으로 개인주의적이고 수평적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1.3. 고맥락문화와 저맥락문화권의 사업환경 차이
고맥락문화와 저맥락문화권에서 관찰된 ...
참고 자료
국제경영, 교재
다문화사회교수방법론,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http://edpolicy.kedi.re.kr/frt/main/main.do
최운실 외, 평생교육론, 공동체, 2018.
강경선, 「비교법」, Knou Press, 2014.
사법연수원, 「영미법 개론」, 사법연수원, 2018.
김범준, 「미국의 법률체계와 사법제도」, 한국법제연구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