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손 위생 QI 활동
1.1. 주제 및 필요성
손 위생 수행 증진은 의료기관에서 감염 예방의 핵심 요소이다. 손을 통한 미생물 전파를 차단하여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 데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병원의 손 위생 수행률은 전년도에 비해 00% 감소하여 00%까지 떨어졌다. 이는 의료기관 내에서 손을 통한 감염 위험이 크게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병원에서는 손 위생 수행률 향상을 위한 질 향상 활동을 시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의 안전을 확보하고, 병원 감염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특히 손 위생은 의료기관 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감염 예방 활동이므로, 이번 QI 활동을 통해 직원들의 인식 제고와 실천력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2. 지표 정의
지표 정의는 손 위생 수행이 필요한 시점에서 손 위생을 수행한 건수의 분율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분자는 손 위생 수행 건수이며, 분모는 손 위생 총 관찰 건수이다. 이때 손 위생 수행 시점이 아닌 경우는 제외된다. 산출식은 "(손 위생 수행 건수 / 손 위생 총 관찰 건수) × 100"으로 계산되며, 지표 목표는 전년도 평균 00%보다 90% 이상 달성하는 것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각 부서별 월별 손 위생 수행 모니터링 결과를 직접 관찰하여 Excel 프로그램과 히스토그램으로 분석하며, 전 직원에게 그 결과를 공유한다.
1.3. 팀 구성
본 QI 활동팀은 '헬시핸즈 QI팀(HealthyHands QI Team)'으로 구성되었다. 팀장은 000이 맡았으며, 간사는 000가 담당하고 있다. 팀원으로는 000, 000, 000, 000, 000 등 총 6명이 참여하고 있다. 각 팀원들은 소속 부서와 직책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QI 활동에 필요한 전문성과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감염관리실 소속 직원을 포함하여 QI 활동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인력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손 위생 QI 활동의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4. 추진 일정
'추진 일정'은 손 위생 QI 활동의 주요 단계들을 월별로 계획한 것이다. 2월에는 주제 선정과 팀 구성을 진행하고, 3월부터 4월까지는 원인 분석과 개선 계획을 수립한다. 5월부터 10월까지는 실제 개선 활동을 실행하며, 11월에는 효과 분석을, 12월에는 결과 보고 및 표준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연차별로 단계별 추진 일정을 체계적으로 수립함으로써 QI 활동의 효과적인 수행을 기대할 수 있다.
1.5. 지표 분석
지표 분석은 병원 내 손 위생 수행률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하여 개선 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먼저 분석 기간은 전년도인 00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연간 추이와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지표 분석 결과, 전년도 대비 손 위생 수행률이 00%에서 00%로 0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수준을 유지하지 못한 결과로, 손 위생 수행률 제고를 위한 집중적인 개선 활동이 필요한 상황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기별로 살펴보았을 때 1분기 00%, 2분기 00%, 3분기 00%, 4분기 00%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를 통해 상반기와 하반기의 수행률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선 활동의 중점을 상반기와 하반기의 격차를 줄이는 데에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분기별 세부 원인 분석을 통해 시기별 특성을 고려한 다각도의 개선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1.6. PDCA 활동
1.6.1. 개선 계획
개선 계획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