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토론식 교수방법의 이해
1.1. 토론식 교수방법의 정의
토론식 교수방법은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자 사이에 정보나 아이디어, 의견 등을 나누기 위해 서로 이야기하거나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탐구과정을 말한다. 이것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할을 강조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1.2. 토론식 교수방법의 유형
1.2.1. 버즈 토의
버즈 토의는 대체로 3~6명의 소규모 집단으로 구성되어 한 주제에 대해 약 6분간 토론하는 방식이다. 이는 "6~6법"이라고도 불리는데, 먼저 짝과의 토론으로 시작하여 점차 다른 구성원들과의 토론으로 확장해 나가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버즈 토의는 특정한 문제나 개념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교실 수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별 활동과 유사하지만, 시간적 제약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토론 형태와 차이가 있다.
1.2.2.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은 주제에 관하여 회의 형식을 채택하고, 구성원의 자유로운 아이디어 제시를 통해 발상을 이끌어내는 방법이다. 리더를 두고 구성원 수는 10명 내외로 한정하며, 타인의 아이디어를 비판하지 않고 질보다는 양을 추구한다.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놓고 타인의 의견을 결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특정 주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어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1.2.3. 어항식 토론법
어항식 토론법은 대개 6명 전후의 소집단을 만들어 전체가 보는 앞에서 토의 토론을 하는 방법이다. 청중이 언제든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자리를 비워둔 채 토론을 진행해야 한다. 어항토론은 특별한 토론규칙이 없으므로 참여자의 수준에 따라 토론의 질이 정해진다. 즉, 어항식 토론법은 별도의 토론 규칙이 없어 참여자들의 자발성과 토론 수준에 따라 토론의 질이 달라지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