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춘천시 지역사회진단 및 계획 보고서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4.09.10
12,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춘천시 지역사회진단 및 계획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사정
1.1. 지역사회 특성
1.1.1. 지리적 특성
1.1.2. 인구특성
1.1.3. 사회경제적 특성
1.2. 지역사회 자원
1.2.1. 보건의료시설
1.2.2. 사회복지시설
1.2.3. 인적자원
1.2.4. 문화시설
1.3. 건강수준
1.3.1. 사망실태
1.3.2. 유병률
1.3.3. 장애인 등록현황
1.4. 건강행위
1.4.1. 음주
1.4.2. 흡연
1.4.3. 식습관
1.4.4. 건강생활실천도
1.4.5. 비만율
1.4.6. 신체운동 실천율
1.4.7. 금연 계획율

2. 지역사회 간호진단
2.1. 자료분석 및 간호진단
2.2. 우선순위 결정

3. 지역사회 간호계획
3.1. 목표설정
3.2. 수행계획
3.3. 평가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사정
1.1. 지역사회 특성
1.1.1. 지리적 특성

가평군은 북쪽으로는 백두대간의 최고봉인 화악산이 진산(鎭山)이 되어 촛대봉, 매봉, 국망봉, 강씨봉, 명지산, 수덕산, 계관산을 거느리며, 해발 700∼800m의 크고 작은 봉우리들을 끼고 웅장한 맥을 이루고 있다. 지역의 경계를 보면 동쪽으로는 강원도 춘천시와 홍천군이 맞닿아 있고, 서쪽으로는 남양주시, 남쪽으로는 양평군과, 북쪽으로는 포천시, 화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한반도의 가장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서울과 춘천과의 철도, 도로 교통의 요지로서 산과 강이 어우러진 수도권 최고의 휴식처이다.


1.1.2. 인구특성

가평군의 인구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평군의 총인구수는 63,817명이며, 세대수는 30,539세대이다. 연령별 인구 분포를 살펴보면 0-19세가 13,905명, 20-64세가 38,651명, 65세 이상이 11,261명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가평군의 출생자수는 791명으로 조출생률은 인구 1,000명당 12.4명 수준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 조출생률 6.4명, 경기도 평균 6.9명보다 높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사망자수는 932명으로 조사망률은 인구 1,000명당 14.6명이었다.

가평군의 유동인구는 2018년 기준 월 평균 706,058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남성이 428,148명, 여성이 277,910명이었다.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설악면(214,301명), 청평면(167,303명), 가평읍(158,913명) 순이었다. 반면 북면(41,112명), 조종면(54,725명), 상면(69,703명)은 유동인구가 적은 편이었다.

가평군은 강원도 춘천시, 홍천군과 인접한 중부 내륙 지역에 위치해 있어 도농복합 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전체 인구 중 유소년 인구(0-19세)와 노인 인구(65세 이상)가 각각 21.8%, 17.7%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국 및 경기도의 평균에 비해 높은 편이다.


1.1.3. 사회경제적 특성

가평군은 교육기관으로 유치원 16개, 초등학교 13개, 중학교 6개, 고등학교 5개, 전문대학 1개가 있다. 이처럼 교육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으며, 학령인구의 교육 기회가 풍부하다고 볼 수 있다.

직업분포를 살펴보면, 가평군 주민들은 주로 농업, 임업, 어업 등의 1차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운수 및 창고업 등의 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비중 또한 높은 편이다.

오락 및 휴식 시설로는 공공 도서관 4개, 박물관 4개, 미술관 4개, 문화공간 11개, 공공체육시설 29개, 청소년 수련실 14개, 언론매체(신문사) 13개, 출판, 인쇄 및 기록업 11개소가 있다. 이를 통해 가평군은 문화와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이와 같이, 가평군은 교육, 직업, 여가 등 사회·경제 분야에서 다양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특히 1차 산업과 서비스업이 발달한 것이 특징이며, 문화 및 체육시설이 풍부하여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지역사회 자원
1.2.1. 보건의료시설

보건의료시설은 춘천시에 총 326개의 의료기관이 있으며, 이는 강원도 전체 의료기관 1,590개의 20.5%를 차지한다. 이 중 종합병원이 2개, 병원이 3개, 의원이 156개소이다. 특수병원은 5개소, 요양병원은 8개소, 치과병(의)원이 79개소, 한방병원이 1개소, 한의원이 69개소가 있다. 또한 보건의료원은 없고, 보건소 1개, 보건지소 10개, 보건진료소 13개가 있다. 춘천시의 의료인력은 총 13,810명으로, 의사 715명, 치과의사 114명, 한의사 96명, 약사 37명, 간호사 1,416명, 간호조무사 998명, 의료기사 611명, 의무기록사 16명으로 구성된다. 반면 조산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춘천시는 강원도 내에서도 의료기관과 의료인력이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


1.2.2. 사회복지시설

가평군의 사회복지시설은 장애 아동, 노인, 여성, 정신질환자, 노숙인 등 다양한 대상자를 위한 시설들이 운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장애 아동을 위한 시설 6개, 노인을 위한 시설 18개, 여성을 위한 시설 1개, 정신질환자를 위한 시설 2개 등 총 27개의 사회복지시설이 있다. 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노인을 위한 복지시설이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은 여전히 의료시설과 사회복지시설 등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은 필요하거나 늘려야 할 공공시설로 '의료시설'이 28.8%, '사회복지시설'이 17.8%로 응답하였다. 이는 가평군의 사회복지시설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1.2.3. 인적자원

가평군의 인적자원은 다음과 같다. 가평군에는 의사 69명, 치과의사 23명, 한의사 27명, 약사 7명, 조산사 0명, 간호사 170명, 간호조무사 143명,...


참고 자료


김춘미 외(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참고자료 및 사이트
2018 춘천시 사회조사 분석보고서
2019 춘천시 사회조사 보고서
2019 강원도 춘천시 지역사회 건강통계
제7기 강원도 지역보건의료계획
국가통계포털 KOSIS
춘천시 보건소 http://www.chuncheon.go.kr/cchealth/index.chuncheon
춘천시 통계청 http://www.chuncheon.go.kr/chstat/index.chuncheon
강원통계정보 http://stat.gwd.go.kr/main/main.asp
국가통계청 http://kostat.go.kr/
2021년 춘천시 예산기준재정공시
2019년 춘천시 예산기준재정공시
춘천시 대중교통체계 개편용역/ 춘천시/ 김윤호 외 4명/ 국가경제연구원
춘천시 대중교통정보 http://www.chuncheon-pti.kr/index.php
에어코리아 – 대기환경기준
뉴스기사
여의주, ⌜”추위보다 힘든 건…" 쓰레기 집하장 지킴이의 간절한 호소⌟, 오마이뉴스, 2020.11.11.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91844 )
홍석척, ⌜석사동 맞춤형 쓰레기 수거함 설치, ‘효과만점!’⌟, 춘천사람들, 2019.10.21
( http://www.chunsa.kr/news/articleView.html?idxno=46650 )
이상학, ⌜춘천 폐기물 매립장 9년 뒤면 중단 위기…생활폐기물 50% 줄이기⌟, 연합뉴스, 2019.06.18
( https://www.yna.co.kr/view/AKR20190618143200062 )
서지현, ⌜춘천시 쓰레기 감량 프로젝트, 중간점검 해보니⌟, 오마이뉴스, 2020.05.31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45841 )
춘천 시내버스 개편 1년…"혼란, 노답" 이용 포기한 시민들
( https://www.yna.co.kr/view/AKR20210205048200062?input=1195m )
52년 만에 춘천 대중교통 개편…시민들 '엇갈린 반응’
( https://www.news1.kr/articles/?3769985 )
박종우, ⌜강원도도 미세먼지에 ‘함락’...강남보다 높아⌟, 뉴시스. 2019.01.16.
( https://newsis.com/view/?id=NISX20190115_0000531112&cID=10805&pID=10800 )
김주경, ⌜강원대병원 환경보건센터, 춘천시 초미세먼지 주요 배출원 연구 발표⌟, 메디컬투데이, 2018.12.21. ( http://m.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42301 )
남양주시, 제 8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23~2026), 2023.01
남양주시 보건소, www.nyj.go.kr›health
장성옥, 이영휘, 공은숙, 김춘길, 김희경, 조명옥 and 채경숙. (2020).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선별검사 수행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32(2), 134-144.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국가치매정책동향 2022
경기도 광역치매센터, https://gyeonggi.nid.or.kr/information/status_dem/list.aspx
네덜란드 치매케어 정책 동향_국가치매전략 2021-2030을 중심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2023
고정은 외 공저, 『지역사회간호학Ⅰ』, 현문사, 2019, 288쪽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55495&cid=40942&categoryId=36070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가평군 기본통계
http://www.gp.go.kr/portal/selectBbsNttList.do?bbsNo=113&key=778
가평군문화관광-관광명소-문화유산-문화재
https://www.gptour.go.kr/tour/tour_list.jsp?menu=assets&submenu=assets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a01/frtMain.d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