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의사직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문직업성 및 복지에 관한 고찰
1.1. 수의사의 전문직업성
1.1.1. 수의사의 역량 요인
1.1.2. 수의사의 전문직업성 척도 분석
1.2. 수의사의 복지 기여
1.2.1. 공공봉사 신념
1.2.2. 자기통제 신념
2. 생활지도와 상담에서의 진로결정 요인
2.1. 청소년 진로결정의 중요성
2.2. 개인적 요인
2.2.1. 성별, 능력, 성격
2.2.2. 흥미, 학력
2.3. 환경적 요인
2.3.1. 가정환경
2.3.2. 학교환경
2.4. 직업적 요인
2.4.1. 독립적 직업
2.4.2. 협업 직업
3. 진로결정을 위한 합리적 의사결정
3.1. 다양한 대안 탐색
3.2. 결과에 대한 책임 수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문직업성 및 복지에 관한 고찰
1.1. 수의사의 전문직업성
1.1.1. 수의사의 역량 요인
수의사의 역량 요인은 단순히 수의학적 이론과 기술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문직으로서 통상적으로 갖추어야 할 다양한 역량까지 포함된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임상수의사들은 수의학의 이론적 지식과 실무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경영기술, 리더십, 창의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윤리적 의사결정, 의사소통 능력, 자기계발 등 다양한 역량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교육이 이러한 전문직업성을 함양하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대학교육은 수의학의 이론적 지식 습득에 주력하지만, 경영기술, 리더십, 창의성, 문제해결, 윤리성, 의사소통 등의 역량 개발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과적으로 수의사들의 전문직업성 부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수의사들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의 원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대학에서도 단순히 수의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전문직업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졸업 후에도 지속적인 전문직업성 함양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1.2. 수의사의 전문직업성 척도 분석
수의사의 전문직업성 척도 분석"은 Hall(1968)의 전문직업성 척도에 의해 분석되었다. Hall은 전문직업성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전문직은 준거집단으로서 전문가조직을 활용하여 그 직업의 가치와 신념,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학술모임 등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둘째, 공공 서비스(공공 봉사)에 대한 신념으로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조직의 이득만을 주요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이득이 되는 없어서는 안 될 직업으로서 이상적인 서비스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셋째, 자기통제에 대한 신념으로 전문직업의 일에 대한 판단은 동료 전문가가 가장 잘 판단한다는 신념을 갖는다. 넷째, 해당분야에 대한 소명의식으로 자신의 일에 대해 외부의 보상이 적더라도 자신의 직업에 대한 헌신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율성은 전문적 판단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공공 봉사에 대한 신념과 자기통제에 대한 신념 항목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반면,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가조직의 활용이나 자율성 항목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수의사들이 공공봉사에 대한 신념과 자기통제에 대한 신념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의사들이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해서는 공공봉사와 자기통제에 대한 신념을 더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의사들의 전문직업성이 다른 의료 전문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에 대해서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후 수의사 전문직업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 수의사의 복지 기여
1.2.1. 공공봉사 신념
공공봉사 신념이란 수의사들이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조직의 이득만을 주요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이득이 되는 없어서는 안 될 직업으로서 이상적인 서비스를 추구하는 신념을 의미한다. 수의사들의 설문조사 결과, 공공봉사에 대한 신념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같은 의술을 하지만, 그 대상이 인간이 아니고 동물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수의사라는 직업이 의사나 치과의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므로 다른 의료 직업군에 비해 공공봉사에 대한 신념이 약화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부분에 대해서는 수의...
참고 자료
Cronbach LJ, "Coefficient alph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ests", Psychometrika, 1951
김정진, 임은희, 권진숙,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서현사, 2007
박호진, 한국 개원의사들에서 의학전문직업성의 의미, 대한의사협회지 54권 11호, 2011, pp.1154-1163
백희정, Kim-Godwin Yeoun Soo, God Win Kim, Yeo Un Soo, 간호의 전문직업성 척도 개발을 위한 Hall의 전문직업성 척도 번역 및 동등성 비교, 간호행정학회지, 13권 4호, 2007, pp. 509-515
윤종민, 한의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에 관한 설문지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4권 5호, 2010
이주연, 한국 치과의사사회의 전문직 위상확립 과정에 관한 근대사적 고찰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ism in Korean dental society in the era of Korean modernization, 2002
조병희, 한국 의학전문직업성의 사회적 시각, 대한의사협회지, 54권 11호, 2011, pp. 1164-1171
천명선, 김진석, 이문한, 류판동, 한국 임상수의사의 전문직업성 및 직업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9권 1호, 2012, pp 43-48
최보문, 현대 의학전문직업성 : 역사적 배경, 개념변화, 선언문 비판, 대한의사협회지, 54권 11호, 2011, pp. 1124-1136
허예라, 우리나라 의학 전문직업성의 핵심요소 규명과 교육과정 평가 연구 = (An) analysis of the core elements and curriculum evalua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2006
황은영, 양은배, 의학 직업전문성의 특성과 실천 원리, 의학교육논단, 12권 1호, 2010, pp. 9-22
자기주도적 집단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경숙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청소년의 진로탐색과 결정. 문승태. 한국학술정보. 2006
https://blog.naver.com/kmh334a/221633205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