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하구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개요
1.1. 지리적 특성
1.2. 인구 특성
1.3. 건강수준
1.4. 환경
1.5. 교통·통신·공공시설
1.6. 지역사회 자원
2. 지역사회 건강문제 진단
2.1. 오마하 진단분류체계
2.2. 우선순위 선정
3. 간호중재 계획
3.1. 높은 흡연율
3.2. 높은 호흡기질환 유병률
3.3. 높은 비만율
4. 평가 계획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개요
1.1. 지리적 특성
사하구는 부산의 랜드마크 중 하나인 감천 문화마을이 속해 있는 곳으로, 부산광역시의 5.4% 면적에 해당하며 활발하게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부산의 서쪽 남단에 위치하며 장군봉, 천마산, 아미산, 시약산 총 4개의 산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서구, 서쪽으로는 강서구, 그리고 북쪽으로는 사상구와 접하고 있다. 또한 구덕산 서쪽 능선과 승학산 줄기를 경계로 하여 남쪽으로 남해와 접하고 있어 서부산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지형은 대체적으로 단층지형으로 단층산지, 단층곡지, 단층해안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낙동정맥의 줄기인 시약산에서 출발하는 괴정천은 싸리골을 시작으로 괴정동을 반월모양으로 감싸면서 당리로 내려오다 당리천(승학산에서 내려옴)과 만나 하단을 지나 낙동강으로 들어가는 하천이었다. 그러나 교통난 해소를 위한 복개도로를 건설한 후로 지금은 낙동강 하구쪽으로 일부만 찾아볼 수 있다.
감천만은 대부분 암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감천항 종합개발사업추진으로 매립되어 화물 전용부두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으며 동아시아 최대 국제 수산물 시장이 될 부산국제수산물거래소가 개설될 예정이다. 장림지역은 장림천의 침식으로 좁은 하곡평지를 이루며 신평동과의 사이에 낙동강의 토사유입으로 충적평야를 이루고 있다.
서쪽 낙동강변의 넓은 사장은 여름철 피서객들이 즐겨 찾는 다대포해수욕장으로 가족단위의 피서객이 많이 방문하고 있어 주차장 및 샤워장 등의 각종 편의시설을 설치하여 시민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남쪽에 있는 쥐섬은 몰운대와 함께 급한 암석해안으로 동백나무가 자생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때의 격전지였다고 전해진다.
낙동강은 많은 지류가 합쳐지며 700리를 흘러내려 강서구 명지동과 경계를 이루며 하류지역의 삼각주 발달과 함께 토사 유입으로 사빈을 이루고 있으며, 하구의 폭은 약 2~3㎞이고, 수심이 1~2m로 얕아 작은 배만 통행이 가능하다. 강 하구에 삼각주로 이루어진 을숙도 등에는 갈대밭이 끝없이 펼쳐져 생물의 서식과 자생에 좋은 조건을 갖춘 곳이어서 12과(科) 21종(種)의 식물이 분포되어 있으며, 몰운대와 두송반도 해안에는 난대적성식물(暖帶適性植物)이 자생하고 있다. 또한, 낙동강 하류는 재첩과 꼬시래기, 어패류가 풍부하여 수많은 철새들이 찾아 들어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된 동양최대의 철새도래지로도 유명하다.
사하구의 기후는 온대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면서 해안성 기후의 영향으로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이가 비교적 적다. 봄철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좋은 날씨를 보일 때가 많으나 양자강 부근에서 발생한 저기압의 잦은 통과로 비도 자주 내린다. 여름철에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 사이에 형성된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고, 그 이후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고온 다습한 날씨를 나타낸다. 특히 태풍 이동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태풍의 직, 간접 영향을 받기도 한다. 가을철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씨를 많이 보이며 겨울철에는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한랭하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고 북서 계절풍이 불지만,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타지방에 비해 온화한 날씨를 보인다.
1.2. 인구 특성
사상구의 총 인구는 2017년 9월 기준 338,982명으로 부산 전체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곳이다. 이는 영향력 받는 인구의 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대포, 감천마을을 비롯하여 부산의 주요 관광지가 몰려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더 많은 사람이 몰리는 곳이라고 볼 수 있다. 부산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해운대구, 2위는 부산진구였다.
사상구의 남녀 성비는 1:1에 가깝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동별 인구수를 살펴보면 다대 제 1동에서 가장 많았고, 감천 제2동에서 가장 적었다.
한편, 사상구의 합계출산율은 2012년 1.254에서 2016년 1.119로 감소하였으나, 2013년부터 부산광역시 평균 합계출산율...
참고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2019). 지역별의료이용통계-시군구(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별 의료시설 현황.
두산백과. 사하구(Saha-gu, 沙下區). Web site: http://www.doopedia.co.kr
보건복지부 (2018). 지역사회건강조사-시·군·구별 연간 보건기관 이용률.
보건복지부 (2019). 지역사회건강조사-시·군·구별 고혈압 진단 경험률(30세 이상).
보건복지부 (2019). 지역사회건강조사-시·군·구별 당뇨병 진단 경험률(30세 이상).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6). 부산광역시사하구기본통계-재활용품 수집.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6). 부산광역시사하구기본통계-하수 및 분뇨 발생량 및 처리현황.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6). 부산광역시사하구기본통계-환경오염배출사업장 단속 및 행정조치.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7). 부산광역시사하구기본통계-학교 총 개황.
사하구보건소. 보건사업-마을건강센터 운영.
사하구청 (2020). 사하구 인구(내국인) 현황-2020. 5월말 기준.
사하구청 (2020). 2019년 사하구 사회조사 결과표.
질병관리본부 (2017). 지역사회건강조사-시군구별 주요결과.
통계청 (2019). 2018 출생통계(확정) 보도자료.
2016 사하구 지역사회 건강조사 보고서
부산시 통계정보
국가통계포털
부산시 사하구청
사하구 보건소
안옥희 외,지역사회간호학Ⅰ(2020),현문사
KOSIS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index/index.do
제7기(2019_2022)지역보건의료계획,사상구보건소,
https://www.sasang.go.kr/dong/board/download.sasang?boardId=BBS_0000083&menuCd=DOM_000000406004000000&startPage=1&dataSid=449834&command=update&fileSid=212771
사상구(부산광역시) 데이터시각화 http://datakorea.datastore.or.kr/profile/geo/05000KR26530/
위키백과, “부산광역시”,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2%B0%EA%B4%91%EC%97%AD%EC%8B%9C (2021.05.28.)
정경원,“2020년 부산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대상 대기오염도 검사결과 발표”,부산광역시, https://www.busan.go.kr/nbtnewsBU/1475428
환경현황,사상구청,https://www.sasang.go.kr/index.sasang?menuCd=DOM_000000104001003006
아동복지시설 현황,부산광역시,https://www.busan.go.kr/welfare/ahchild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