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현대사회의 가족 문제
1.1. 과도한 학구열
1.1.1. 원인
1.1.1.1. 교육 장려와 학습 도모 정도 심화
시대를 지날수록 교육이 장려되며 학습을 도모하는 정도가 심해졌기 때문에 과도한 학구열이 나타나고 있다. 과거 초등교육이 의무화되면서 대부분의 이들이 기초 학습을 제대로 도모하게 되었고, 중등교육, 고등교육 역시 의무화는 아니지만 다수의 이들이 교육열로 인해 응하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에서 노트북, 데스크톱 등을 보유하고 있어 학생들이 이를 켜고 각종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기도 하는데, 일부 엄마들은 자녀들이 화상 강의까지 듣게 하는 등 이러한 전반이 학구열을 부추기고 있다. 이에 따라 엄마들은 자녀들에게 이런저런 교과목 관련 학습을 강요하게 되고, 자녀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과도한 학구열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1.1.1.2. 자녀의 좋은 직업을 바라는 정도 심화
자녀의 좋은 직업을 바라는 정도가 심화됨은 오늘날 부모들이 자녀의 교육과 진로에 관심이 지나치게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최근 20대 의사와 교사의 수가 늘어나면서 이들을 성공의 상징으로 여기는 부모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모들은 자녀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공부를 강요하며 막대한 학구열을 보인다. 이들은 자녀가 공부를 열심히 해 부모가 이루지 못한 꿈을 실현해주기를 바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자녀의 진로에 관한 의견은 철저히 무시되며 가족 간 갈등이 발생한다. 결국 억지로 공부한 자녀가 의사나 교사가 되면 부모들은 만족스러워하지만, 자녀 개인의 행복은 고려되지 않는 셈이다."
1.1.1.3. 학원가의 사교육 자극
현대 사회에서 학원가가 사교육을 자극하여 학구열을 과열시키고 있다. 2000년대 이래로 선진국 대열에 오른 우리나라는 교육열이 매우 높아져 사교육 열풍이 불고 있다. 학원이 성업하게 된 것이다. 엄마들은 학교 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예습을 위해 학원에 자녀들을 보내게 된다. 자녀들은 역사 학원, 논술 학원 등 다니지 않아도 되는 학원까지 다녀야 하며 괴로워한다. 하지만 엄마들은 자녀들의 이런 괴로움을 헤아리지 못하고 잔소리와 채찍질만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학원가의 사교육 자극은 과도한 학구열을 부추기고 이는 가족 문제로까지 번져가고 있다.
1.1.2. 해결 방안
1.1.2.1. 부모와 자녀 입장의 구분
부모와 자녀 입장의 구분은 현대사회 과도한 학구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부모는 자녀의 좋은 직업을 바라는 마음에서 지나친 학구열을 보이지만, 자녀는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진로를 원할 수 있다. 부모와 자녀의 이런 입장 차이로 인해 가족 간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해 주어야 한다. 자녀의 진로와 적성을 먼저 고려하고 그에 맞는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단순히 자녀에게 좋은 성적과 직업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의 행복과 만족을 위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부모의 과도한 학구열도 자녀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자녀에게 과도한 기대와 요구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는 자녀에게 스트레스와 압박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자신의 욕구를 자제하고 자녀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부모와 자녀 간의 입장 차이를 인정하고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소통하는 것이 과도한 학구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해결방안이 될 것이다.
1.1.2.2. 부모의 과욕 자제
부모의 과욕 자제는 과도한 학구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방안이다. 부모는 자녀가 공부를 열심히 해 좋은 직업을 가지기를 간절히 바라지만, 이를 위해 자녀에게 과도한 학업 부담을 주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자녀에게 스트레스와 부담을 가중시켜 가족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