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혁신을 성공으로 이끄는 5가지 유형의 개인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각 유형의 혁신 주체들의 특성에 대해 비교하여 정리한 후, 성공적인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 각 주체들에게 필요한 역량, 조건, 환경 등에 대해 개인 의견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혁신 활동의 주요 실행 주체
2.1. 아이디어 생산자
2.2. 정보관리자와 경계확장자
2.3. 챔피언
2.4. 후원자
2.5. 프로젝트 관리자
3. 각 주체들에게 필요한 역량
3.1. 아이디어 생산자
3.2. 정보관리자와 경계확장자
3.3. 챔피언
3.4. 후원자
3.5. 프로젝트 관리자
4. 성공적 혁신을 위한 요소
5. 기업규모에 따른 혁신 성공요인 차이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경영혁신이란 조직에서 추구하는 목적을 위해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거나 계획하여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생산성을 높이거나 비용을 줄임으로써 수익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혁신의 근간은 변화이지만 단순히 변화만 하는 것은 효율성을 높일 수 없으므로 기술적 측면과 상업적 성공을 조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최근 경영혁신은 과학적 분석과 연구개발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혁신을 실천하고 끌어내는 것은 주체가 되는 개인의 역량이 중요하며, 그 유형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성공적인 혁신을 달성하기 위한 5가지 혁신 주체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각 주체에게 필요한 역량과 조건, 환경 등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2. 혁신 활동의 주요 실행 주체
2.1. 아이디어 생산자
아이디어 생산자는 혁신 아이디어의 창조를 통해 혁신 과정의 출발점이자 방아쇠 역할을 하는 주체이다. 이들은 새로움을 추구하며 창의적인 사고가 주된 특징이다. 비용이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새로운 절차나 접근방법, 문제 해결전략을 발견할 수 있는 재능과 지식을 소유하고 있다. 또한 자기 분야에 대한 깊은 지식과 더불어 타 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겸비한 T자형 인재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여러 기능의 통합, 기술과 응용의 결합, 고객 요구의 제품화 등을 수행하며 혁신의 원동력이 된다.
2.2. 정보관리자와 경계확장자
정보관리자는 편협되고 일정 지역에 한정될 수 있는 조직을 외부의 정보와 연결하여 자기 조직과 외부 조직 사이의 변환기 역할을 한다. 정보관리자는 다양한 지식을 저장하고 있으며, 조직원들이 올바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다.
경계확장자는 중간조직의 역할을 하며 조직과 외부의 이해관계를 돕는 경계관리자 역할을 한다. 또한, 기업 내 혁신추진팀의 내부 정보를 기업 전체에 확산시킨다.
정보관리자가 성공적으로 지식관리를 수행하려면 조직의 최상위부터 아래 부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정보 요구를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렇게 잘 관리되어 정리된 정보를 조직에 제공해야 한다.
경계확장자는 상호 적응을 요구하는 외부 조직과의 지속 가능한 수평적 유대감을 만드는 역량이 필수적이다. 경영 과정에 있는 복잡성과 불확실성 속에서 경영혁신이 일어나려면 외부 조직과의 지속 가능한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
2.3. 챔피언
챔피언은 기업가나 복음 전도사와 같은 역할을 하며, 아이디어 생산자가 창조해낸 아이디어를 가지고 혁신을 위해 모든 것을 수행하는 주체이다. 챔피언은 혁신 내용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명확한 비전을 가지며, 조직원들을 고무시키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특히 챔피언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은 T자형 인재가 되는 것이다. 즉, 자신의 분야에 대한 깊은 전문성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겸비해야 한다. 이를 통해 혁신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조직원들을 고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최초의 인터넷 쇼핑몰 시장을 개척한 인터파크의 창업자인 이기형 회장의 경우, '인터넷 쇼핑몰'이라는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기 위해 신사업 개발 시스템과 평가 프로세스 구축에 힘을 쏟았다. 초기에는 비효율적이었지만, 점차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별도 조직을 운영하고 예산을 편성하는 등 기업 내부의 혁신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설계하여 기업의 혁신을 이뤄냈다. 이처럼 챔피언은 기술적 전문성과 더불어 전략적 사고 역량을 겸비하여 혁신을 성공으로 이끄는 핵심 주체라고 할 수 있다.
2.4. 후원자
후원자는 기업에 필요한 자원을 지원해주고, 혁신 활동의 정치적 적들을 견제하는 ...
참고 자료
이상식, 김복구.(2003).경쟁전략 및 경영혁신과 경영성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대한경영학회지,(36),321-343.
[인사이트 뉴스] 신박한 아이디어 생산자들이 사용하는 ‘사고력 습관’ - 이하영 기자, 2017.10.31.
https://www.insight.co.kr/news/125047
[동아일보] 가격 널뛰는 테슬라, 팬덤 효과? 가격 갑질? - 변종국 기자, 2022.01.10.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110/111175718/1
신한FSB 리뷰 - 특집 “ 지속성장 기업의 5대 성공조건”
http://img.shinhan.com/cib/ko/data/FSB_0701_05.pdf
해커스 원격 평생교육원 “경영혁신”
https://blog.naver.com/lucifer246/221522379105
https://blog.naver.com/naturecommunity/222635545692
혁신성장의 길: 생산성 제고를 위한 구조전환과 제도개혁, 서중해
지식경영을 위한 정보 관리자의 역할변화
김국희 기술정보서비스팀 기술원
이윤철 기술정보서비스팀 책임기술원 팀장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6/article_no/3374/ac/magazine
https://www.ciokorea.com/news/29390(차세대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필요한 8가지 능력)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66953 ([CEO 인사이드] TV 시대의 CEO, 아이아코가)
https://www.mk.co.kr/news/home/view/2005/03/86121/([Cover Story] PM 성공사례 - 삼성S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