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 생명연장 찬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안락사와 존엄사의 개념
2.1. 안락사의 정의 및 종류
2.2. 존엄사의 정의
3. 안락사에 대한 찬반 논거
3.1. 찬성 논거
3.2. 반대 논거
4. 존엄사에 대한 찬반 논거
4.1. 찬성 논거
4.2. 반대 논거
5. 안락사와 존엄사의 법적 쟁점
5.1. 생명권과의 충돌
5.2. 현행법상 허용 여부
6. 안락사와 존엄사의 사회적 영향
6.1. 환자와 가족에 미치는 영향
6.2. 의료계에 미치는 영향
7. 해외 사례 및 시사점
8. 결론 및 제언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의 생명은 소중하다. 이 세상에 소중하지 않은 목숨은 없다. 생명이 소중한 만큼 인간은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누리고 싶어 한다. 그러나 질병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삶이 연장된다면 결코 가치 있는 삶의 과정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인간으로서 바랄 수 있는 최대의 행복은 주어진 생명의 시간만큼 보람 있게 살다가 수명이 다 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생을 마감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면서 의료기술과 의료시설의 발달로 인간의 생명을 물리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면서 안락사와 존엄사 논쟁은 시작되었다. 고통스러운 질병으로 인해 인생의 종말이 다가 왔을 때, 스스로 생을 마감 할 수 있는 권리를 존중해 주어야 한다는 주장에서부터 인간은 존엄성이 있기에 안락사가 이루어져서는 안된다는 주장까지 다양한 의견들이 분분하다.
2. 안락사와 존엄사의 개념
2.1. 안락사의 정의 및 종류
안락사의 정의 및 종류는 다음과 같다.
안락사(euthanasia)는 eu(좋은 또는 쉽게)라는 말과 thanatos(죽음)의 결합어로서 좋은 죽음, 수월한 죽음, 또는 편안한 죽음을 뜻한다. 즉, 회복될 수 없거나 불치병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하여 환자의 죽음을 유발시키거나 허용하는 관행이나 행위를 의미한다. 안락사는 시술방법에 따라 적극적 안락사와 소극적 안락사로 나눌 수 있고, 환자의 자의성에 따라 자의적 안락사, 비자의적 안락사, 반자의적 안락사로 분류할 수 있다.
적극적 안락사는 생명단축을 위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조치로, 환자를 고통에서 구하기 위해 환자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단축시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소극적 안락사는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치료를 중단하거나 제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환자의 생명을 단축시키는 것을 말한다.
자의적 안락사는 환자 본인이 자신의 죽음을 결정하고 선택하는 것이며, 비자의적 안락사는 환자가 의사결정 능력을 상실한 경우 가족이나 의사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는 안락사이다. 반자의적 안락사는 환자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는 안락사이다.
이처럼 안락사는 다양한 형태로 나뉘어 존재하며, 환자의 의사와 시술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고 볼 수 있다.
2.2. 존엄사의 정의
존엄사는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거나 치료를 중단함으로써 환자의 자연스러운 죽음을 허용하는 것이다. 즉, 회복 불가능한 상황에서 환자의 삶의 질이 극도로 저하되었을 때, 더 이상의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존엄사는 안락사와 달리 환자의 자의적인 의사가 없어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의사와 가족들이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고려하여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하는 것이 존엄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존엄성과 품위 있는 죽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안락사와 구분된다.""
3. 안락사에 대한 찬반 논거
3.1. 찬성 논거
안락사에 대한 찬성 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에 대한 개인의 선택도 자유권에 속한다. 헌법 제10조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대법원 또한 "사망단계에 들어선 환자의 의사결정을 존중하여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것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을 보호하는 헌법정신에 어긋나지 않는다."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환자가 스스로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은 인간의 존엄성과 관련된 기본적 권리로 인정된다. 회생 불가능한 질병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있어 편안한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는 중요한 자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둘째, 안락사는 환자 자신은 물론 가족이나 주변사람들의 고통을 해소할 수 있다. 환자들은 단순한 육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감정적 고통, 사회적 고통, 경제적 고통 등 다양한 고통을 겪고 있다. 극심한 고통 속에서 일상적 생활을 유지하기 힘든 환자에게 안락사는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자비로운 선택이 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장기기증을 허락한 경우 안락사를 통해 다른 많은 환자들을 구할 수도 있다. 특히 경제적 부담이 큰 환자 가족들에게 안락사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명치료에 드는 막대한 비용으로 인해 가계에 큰 부담을 주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안락사는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3.2. 반대 논거
반대 의견에서는 안락사가 생명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먼저 생명권이 헌법상 최초로 규정된 것은 1776년 미국의 버지니아 권리장전이었으나, 이후 세계인권선언, 일본국 헌법, 독일 기본법 등에서도 생명권을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헌법에는 생명권에 대한 명시적 규정은 없지만, 통설과 판례는 생명권을 헌법상의 권리로 ...
참고 자료
대한민국헌법, 헌법 제 10조 (1987).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법률 제15542호 (2018)
원준희 (1997), 생명윤리의 고민: 삶과 죽음의 문제, 생명의말씀사.
최철주. (2008). 해피 엔딩, 우리는 존엄하게 죽을 권리가 있다. n.p.: 궁리.
김은철, 김태일, 2013, "죽음에 관한 자기 결정권과 존엄사." 미국헌법연구, 24.1, 97-124.
박연옥 (2003),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심성윤, 박히준, 이준무, 이향숙 (2007) 통증평가도구에 관한 고찰, 대한경락경혈학회지, Vol.24, No.2, p77~97.
최지윤. (2009).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n.p.: 한국의료윤리학회지.
한미현 (2001), 입원환자의 비공식적 의료비용 부담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7(1), 5-14.
김길원 (2018년 9월 14일) 의식 없는 환자 치료 중단 '소극적 안락사' 국민 67% 찬성, 연합뉴스, 2018년 10월 23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342124
오이석, 2009년 5월 22일 “[대법원 존엄사 인정] 인간 존엄성·행복권 보장 헌법 10조에 ‘답’ 있었다”, 서울신문, 2018년 10월 23일 검색,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522003006
이승주(2018년 8월 20일), 자녀의 80% 부모 의료비 지원 부담 느껴…"보험 필요성 느끼지만 준비 미흡", 조선비즈, 2018년 10월 25일 검색,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0/2018082000731.html
이재윤 (2018년 9월 14일), ‘환자 치료중단 '소극적 안락사' 국민 67%가 찬성..."안락사 선택에 '가족 부담'이 제일 큰 영향", 경인일보, 2018년 10월 22일 검색,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80914010005056.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80914010005056
임재관 (2005년 10월 11일), 의료비 부담 10년 전 대비 109% 급증…국민 1인당 약 151만원 지출, 메디컬월드뉴스, 2018년 10월 25일 검색, http://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7735
전형주 (2018년 7월 26일), “아빠를 제발 죽여주세요”… ‘안락사 허용’ 울부 짖는 아들, 국민일보, 2018년 10월 23일 검색,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551106
조유경 (2016년 9월 7일) “매일 밤마다 끔찍한 고통, 패럴림픽 끝나면 안락사”, 동아일보, 2018년 10월 23일 검색,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20&aid=0003002409
“안락사를 둘러싼 9가지 쟁점”, 비온뒤, Huffingtonpost, 2018년 10월 23일 검색,
https://www.huffingtonpost.kr/aftertherain/story_b_14194906.html
약물정보(옵디보 - 니볼루맙(Nivolumab)) . (2018년10월24일). http://cancer.snuh.org/info/medi/view.do?seq_no=54.
항암화학요법,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018년10월23일) http://www.snuh.org/
표적 및 면역항암제의 최근 현황,(2018년10월24일), https://www.youtube.com/watch?v=Kmixlnk4he0&t=252s
유방암의 전신치료 소개 및 부작용 관리,(2018년10월24일), https://www.youtube.com/watch?v=5m4RCMwWvqc
구 영모 『생명의료윤리』, 동녘, 1999
『뉴시스』“ 병원 존엄사 '비약 상고' 결정…찬·반 엇갈린 반응” 2008-12-17 기사 참고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435439
문 국진, 『생명윤리와 안락사』(개정판), 여문각, 1999
메디컬투데이』회복가능성 없는 말기암 환자의 적극적 안락사" 66.7% 찬성 2010-04-20 참고
: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125145
『매일경제』“美 40개주ㆍ네덜란드ㆍ태국등 존엄사 허용” 2008-11-28 참고
: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8&no=725856
『sbs뉴스』“시민단체 "존엄사 허용하자"…입법청원 제출” 2009-01-12 참고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5&aid=0000150834
이 을상 『죽음과 윤리』,서울: 백산서당, 2006
『연합뉴스』“국민 93%, 인공호흡기제거 존엄사 찬성” 2009-01-17 참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769788
Korean Journal of Pediatrice Vol. 52, NO.8, 2009, 84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