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퇴골전자간골절은 노년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이로 인한 사망률이 약 17%에 달하는 중요한 질환이다. 나이가 들면 좌식생활로 인한 대퇴사두근 허약과 골다공증으로 넘어져서 골절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고관절 골절 중 대퇴골 전자부위의 골절인 대퇴골전자간골절은 노인들에게서 특히 많이 발생하며, 이는 뼈가 약해져 있어 일상생활 중 넘어지거나 부딪히며 쉽게 골절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고령으로 갈수록 발생률이 증가하여 80대의 경우 인구 1만 명당 100.7명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며, 사망률도 남성 36%, 여성 18%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대퇴골전자간골절은 노인에게 중요한 질환 중 하나이며, 예방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 관계 문헌의 개요
골격의 구조에 대해서는 인간의 뼈가 총 206개이며,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과, 뼈세포의 간질이 콜라겐, 점액다당질 및 지질로 구성되며 무기칼슘염이 축적되어 뼈를 단단하게 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뼈는 장골, 단골, 편평골, 불규칙뼈, 종자골 등 5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골격의 기능에 대해서는 신체의 형태를 제공하고 체중부하, 직립 자세를 취하며 근육과 힘줄의 작용으로 주위 조직을 지지한다는 점, 부착된 근육과 관절 구조물과 함께 자발적인 운동을 한다는 점, 뇌, 심장, 폐와 같은 주요 내부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한다는 점, 적골수에서 혈액세포를 생산하며 칼슘, 인과 같은 무기질을 저장하고 방출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관절의 종류와 운동범위에 대해서는 가동관절, 유합관절 등의 종류와 각 관절이 가능한 운동의 범위를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관절의 기능에 대해서는 관절 주변의 근육, 인대, 건이 관절을 안정시키고 활동을 도와주며 관절의 움직임이 민첩하고 숙련된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 가동관절의 활액강과 활액막, 관절연골 등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2. 골절의 구조와 기능
2.1. 골격의 구조
인간의 뼈는 총 206개이며,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뼈는 배아기의 4주 때부터 출생 후 약 20년까지 성장한다. 뼈세포의 간질은 콜라겐, 점액다당질(mucopolysaccha rides) 및 지질로 구성되며, 탄산과 인산 등의 무기칼슘염이 축적되어 뼈를 단단하게 한다.
뼈는 5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첫째, 장골(뼈,long bone)은 주로 사지를 이루며, 골간(뼈몸통, shaft)의 양 골단(뼈끝, epiphysis)에 2개의 둥근 융기(knobs)가 연결된다. 장골은 상완골(위팔뼈), 대퇴골 (넙다리뼈)과 같이 중력을 지탱하거나 근육의 지렛대 역할을 하는 사지의 골격(뼈대)을 이룬다.
둘째, 단골(짧은뼈, shortbone)은 손목과 발목을 구성하며, 운동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셋째, 편평골(납작뼈, flat bone)은 주요 기관을 보호하고 조혈세포를 포함한다. 견갑골(어깨뼈)과 흉골(복장뼈), 두개골 (머리뼈)을 구성하며, 뼈의 면이 넓어 근육이 쉽게 부착된다.
넷째, 불규칙뼈(irregular bone)는 각각 독특한 모양을 가지며 척추골, 안면골(얼굴뼈) 및 골반대(다리이음뼈, pelvic girdle), 내이의 이소골(귓속뼈) 등이다.
마지막으로, 종자골(sesamoid bone)은 관절주위 건(힘줄, tendon) 안에서 발달하는 작은 결절 모양의 뼈이며, 슬개골(무릎 뼈, patella)을 들 수 있다.
2.2. 골격의 기능
골격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의 형태를 제공하고 체중부하, 직립 자세를 취한다. 근육과 힘줄의 작용으로 주위 조직을 지지한다.
둘째, 부착된 근육과 관절 구조물과 함께 자발적인 운동을 한다.
셋째, 단단한 틀을 구성하여 뇌, 심장, 폐와 같은 주요 내부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한다.
넷째, 적골수에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액세포를 생산한다.
다섯째, 칼슘, 인과 같은 무기질을 저장하고 방출한다.
이처럼 골격은 신체의 형태와 자세를 유지하고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내부 장기를 보호하고 혈액세포 생산 및 무기질 대사 기능을 수행한다.
2.3. 관절의 종류와 운동범위
관절의 종류와 운동범위는 다음과 같다.
관절의 종류에는 가동관절(윤활관절), 유합관절(섬유관절)이 있다. 가동관절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활액강(윤활 공간, synovial cavity)이 있다. 활액강은 강한 탄력 섬유조직인 관절낭으로 둘러싸여 있고, 관절뼈의 골막에 단단히 부착되어 탈구를 방지한다. 활액강의 내면은 활액을 분비하는 활액막과 연결되며, 골단을 덮은 연골은 콜라겐섬유로 구성되어 관절의 쿠션 역할을 한다.
관절의 운동범위는 관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다. 어깨나 고관절과 같은 구형관절은 구와 소켓(ball-and-socket)의 형태를 띠며, 전후방향뿐 아니라 회전 등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경첩관절은 주관절처럼 굴곡과 신전운동만 가능하며, 무릎은 관절융기(condylar: 관절 끝에 두터워진 둥근 관절면)가 있는 관절로 구부리고 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간의 회전도 가능하다.
요약하면, 관절의 종류에는 가동관절(구형관절, 경첩관절, 융기관절 등)과 유합관절이 있으며, 관절의 형태에 따라 운동범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2.4. 관절의 기능
관절은 뼈와 연결되어 다양하게 움직인다. 관절 주변의 근육, 인대, 건(힘줄)은 관절을 안정시키고 활동을 도와주며 관절의 움직임이 민첩하고 숙련된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가동관절(윤활관절)은 가장 일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