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삶이힐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힐링의 역사적 비밀
1.1. 비밀의 서막
1.2. 힐링과 비밀
1.2.1. 선율을 느끼며
1.2.2. 한 잔의 소소함
1.2.3. 흥겹게 놀아보자
1.3. 힐링의 종막
2. 힐링보고서
2.1. 보고서의 목적
2.2. 보고서의 내용
2.2.1. 예술과 힐링의 사이
2.2.2. 즐거움을 담아
2.2.3. 한잔의 소소함
2.3. 보고서 결과
3. 치유적 기능을 중심으로 힐링 에세이 교육방안 연구
3.1. 들어가며
3.2. 본론
3.2.1. 수필의 교육적 가치
3.2.2. 힐링 에세이의 특징과 교육적 가치
3.3. 학습활동의 제언
3.4.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힐링의 역사적 비밀
1.1. 비밀의 서막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힐링이라는 단어는 우리 사회에서 몸과 마음의 치유하는 의미로서 하나의 유행이 되어가고 있다. '힐링캠프'라는 방송이나 어느 가수의 노래 제목인 '힐링이 필요해', 게임 '힐링온라인' 등의 예시는 모두 힐링이라는 하나의 유행을 따라 생겨났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요소이다. 힐링이라는 단어는, 몸과 마음의 치유라는 뜻과 비슷하게 사용된다면 커다란 문제없이 에코'힐링', '힐링'여행, '힐링'하우스 등과 같은 예시처럼 다른 단어들과 쉽게 결합한다. 그만큼 사회의 영향과 방송 등의 영향으로 힐링은 어디에서나 사람들의 입에 오르락내리락 하고 있다. 이러한 힐링이 유행처럼 번지는 것에 대해서 우리는 그만큼 우리 사회에 스트레스가 많이 생겼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1.2. 힐링과 비밀
1.2.1. 선율을 느끼며
다양성을 존중하는 현대사회, 그러한 사회적 특성만큼이나 오늘 날의 대표적인 힐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예술은 그 종류가 좀 더 세분화, 다양화 되었다. 그 중에서도 음악과 공연은 OST나 배경음악 등으로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서로간의 연관성도 상당히 깊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이나 TV, 영화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접근성과 대중성에 있어서 현대인들과 상당히 친밀한 힐링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은 사람들에게 힐링을 줄 수 있는 방법이다. 사람들은 영화를 관람하고, 음악을 듣고, 사회비판적 가사와 내용에 공감을 하고 응원한다. 이처럼 이러한 예술은 지금까지 다양한 기능으로 힐링을 대변하여 우리에게 다가왔다. 즉, 예술은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사회적 불만을 해소하거나 현실세계에서는 이룰 수없는 세상을 간접적이나마 이룰 수 있게 해줌으로 힐링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다.
1.2.2. 한 잔의 소소함
한 잔의 소소함은 우리 한국 사람들에게 큰 의미로 자리잡고 있다. 술은 단순히 알코올을 섭취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소통의 수단이 되며 삶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치유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특히 한국의 경우 현대 사회에서 술은 친구나 동료들과 함께 모여 소통하고 친밀감을 나누는 중요한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대학생들이 친구들과 모여 술을 마시며 고민을 나누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처럼, 회식에서 상사와 부하직원들이 함께 술을 마시며 유대감을 형성하는 등 술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인들의 술 문화는 단순히 알코올을 섭취하는 차원을 넘어서 삶의 활력과 스트레스 해소, 그리고 대인관계 형성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과거에도 술은 국가적 제사나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농사일로 고된 삶을 살아가던 백성들에게 술은 일상의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중요한 힐링의 방법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양반들이 술을 마시며 시를 짓고 노래를 부르며 여가를 보냈으며, 서민들도 주막에 모여 술을 마시며 즐거워했다. 이처럼 술은 우리 민족 고유의 문화 속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자리잡아 왔으며, 현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사회문화적 기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인들에게 술은 단순한 기호품이 아니라 삶의 활력소이자 스트레스 해소의 수단이며, 더 나아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술은 한국 문화에 깊이 뿌리박힌 것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소소한 방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1.2.3. 흥겹게 놀아보자
놀이는 사람들이 모여 즐겁게 노는 활동이며, 우리가 평소에 잊고 살았던 순수한 즐거움을 깨닫게 해준다. 놀이를 하면서 느끼는 행복감과 불안에서의 자유 등이 결합하여 즐거움을 불러일으키며, 이러한 즐거움이 일상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놀이는 힐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사회의 우리는 스포츠와 전자오락 등 많은 사람들이 모여 즐겁게 노는 방식의 놀이에 열광하고 관심을 가진다. 이러한 놀이를 통해 현실에서 쌓여가는 스트레스를 풀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도 사람들은 경쟁과 일, 전쟁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놀이를 즐겼다. 고구려 시대의 경우, 활쏘기, 사냥, 수박, 씨름 등의 놀이를 통해 일상의 잡념을 버리고 스트레스를 해소했다. 이는 당시 고구려인들이 처한 척박한 환경과 잦은 전쟁으로 인한 긴장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활쏘기나 사냥과 같은 놀이는 고된 군사적 훈련을 좀 더 즐겁고 재미있게 하기 위한 방법이었다고 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향읍공동체 놀이인 차전놀이가 유행했다. 차전놀이는 마을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체 놀이로, 고려시대 때부터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은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로 넘어오면서 놀이에도 신분 차이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왕실과 양반들은 주로 관람을 하는 격구와 같은 복잡한 놀이를 즐겼고, 백성들은 석전과 같이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든 간단한 놀이를 즐겼다. 이처럼 신분에 따라 향유하는 놀이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졌다.
이와 같이 과거부터 사람들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생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놀이를 즐겨왔다. 현대 사회에서도 이러한 전통은 이어져, 스...
참고 자료
김문겸, 이동일, 「한국인의 술문화와 술집의 변천」, 한국어와 문화 제3집, 2008
김세중, 『한국음악의 이해』, 예솔, 2003
김창국, 「고구려 고분벽화의 생활풍속도 연구: 놀이회화가 표현된 고분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2007
도유호 외, 주강현 해제, 『북한학자가 쓴 조선의 민속놀이』, 푸른숲, 1999
서연호, 『한국 공연예술의 원리와 역사』, 연극과 인간, 2011
서연호·김현철, 『한국연희의 원리와 방법』, 연극과 인간, 2006
손태룡, 『한국음악의 인식과 비평』, 중문출판사, 1995
안동문화연구소, 『하회탈과 하회탈춤의 미학』, 사계절, 1999
원경은, 임완혁, 『술과문화의 이야기 소울푸드』, 한울, 2010
이상희, 『술 : 한국의 술 문화』, 선, 2009
이태진, 「고려시대 향읍공동체의 제의적 놀이」, 한국사시민강좌 제 45집, 일조각, 2009
장혜영, 『술예술의 혼』, 어문학사, 2012
전미선,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6.
한흥섭, 『고려시대 음악사상』, 소명출판, 2009
홍기석, 「조선시대 왕들의 스포츠 = Sports of the Kings in Chosun Dynasty」, 국민대학교, 2006
조선왕조실록 태조, 정종, 태종, 세종, 성종실록
홍기석, 조선시대 왕들의 스포츠 = Sports of the Kings in Chosun Dynasty, 국민대학교, 2006.
이태진, 고려시대 향읍공동체의 제의적 놀이, 한국사시민강좌 제 45집, 일조각, 2009.
전미선,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6.
김창국, 고구려 고분벽화의 생활풍속도 연구: 놀이회화가 표현된 고분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2007.
도유호 외, 주강현 해제, 북한학자가 쓴 조선의 민속놀이, 푸른숲, 1999
돌싸움,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41&contents_id=7162.
김성혜, 삼국시대음악사연구, 민속원, 2009
손태룡, 한국음악의 인식과 비평, 중문출판사, 1995
김세중, 한국음악의 이해, 예솔, 2003
손태도, 광대 집단의 문화연구① 광대의 가창문화, 집문당, 2003
서연호, 한국 공연예술의 원리와 역사, 연극과 인간, 2011
심상교, 한국전통연희론, 집문당, 2007
김문겸, 이동일, 한국인의 술문화와 술집의 변천, 한국어와 문화 제3집, 2008
장혜영, 술예술의 혼,어문학사, 2012
원경은, 임완혁, 술과문화의 이야기 소울푸드, 한울, 2010
이상희, 술 : 한국의 술 문화, 선, 2009
백세희,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흔, 2018
오정훈. 「수필 교육을 위한 방법 연구」, 『현대교육연구』, 26권 0호,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145-165.
「'곰돌이 푸' '모든 순간이 너였다'··· 에세이류 올해 서점가 휩쓸어」,『서울경제』,2018.12.3., 검색일: 2021. 11. 21
「[2030 우울증①] “인간관계가 어려워요”…늘어나는 청년들의 불안」, 『데일리안』,2020.12.20., , 검색일: 2021.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