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전 세계에 걸친 웰빙 열풍과 급속한 고령화 추세로 인한 안티에이징 열풍은 국내외 화장품 시장의 고속 성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 업체 데이터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국내 화장품ㆍ뷰티산업은 올해 성장률은 4%대에 이르고 65억 3900만달러의 시장규모를 형성하며 세계 11위의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생활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급격히 성장한 화장품ㆍ뷰티 산업에는 과연 어떤 비즈니스 모델들이 사용 되어 고객들을 유인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의문점이 생겼고 이에 화장품ㆍ뷰티 산업을 주제로 선정하였다.
2. 화장품 산업 분석
2.1. 화장품 시장 환경
글로벌 리서치 업체 데이터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국내 화장품·뷰티산업은 올해 성장률이 4%대에 이르고 65억 3900만달러의 시장규모를 형성하며 세계 11위의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에 걸친 웰빙 열풍과 급속한 고령화 추세로 인한 안티에이징 열풍은 국내외 화장품 시장의 고속 성장을 불러일으킨 주요 요인이다. 이처럼 생활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급격히 성장한 화장품·뷰티 산업에는 다양한 기업들이 제품과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들을 유인하고 있다."
2.2. 화장품 세분시장 분석
화장품 산업은 세부시장으로 크게 나뉘어져 있다. 피부 타입, 연령, 성별 등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 세분시장이 존재한다.
화장품 세분시장 중 가장 큰 시장은 기초화장품 시장이다. 기초화장품은 피부를 깨끗이 하고 유·수분 공급, 영양 공급 등으로 피부 관리를 돕는 제품들이다. 이는 기초적인 피부 관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들이기 때문에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한다.
또한 색조화장품 시장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 색조화장품은 외모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아이섀도, 립스틱, mascara 등의 제품들로 구성된다. 20대 여성들을 중심으로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 외에도 바디케어 시장, 영유아용 화장품 시장, 남성용 화장품 시장 등 다양한 세분화된 시장들이 존재한다. 바디케어 시장은 바디 로션, 샴푸, 바디워시 등의 제품으로 구성되며 최근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성장하고 있다. 영유아용 화장품 시장은 유아의 피부 보호와 건강을 위해 개발된 제품들로 구성되며 저출산 문제와 함께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남성용 화장품 시장도 과거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남성들의 외모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처럼 화장품 산업은 다양한 세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세분시장마다 고유한 특성과 니즈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세분시장을 면밀히 분석하여 각 시장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을 제공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3. 화장품 제품 전략 사례
3.1. 세분시장 집중화 전략 - 한스킨
한스킨은 기존 시장과 대결하지 않으면서 평소 고객이 요구하던 B.B크림이라는 제품군을 창출하였다. B.B크림의 경우 다른 기업들은 없었던 '효능과 시간 절약'이라는 현대인의 라이프사이클을 따르는 니즈에 해당하는 제품군을 창출한 것이다. 한스킨은 화장품 업계의 후발주자로서 자사의 강점인 기능적인 측면을 극대화한 B.B크림을 출시함으로써 국내 화장품시장에서의 블루오션을 개척하였다.
한스킨은 원조 B.B크림 제품을 갖고 있는 기업이다. 타 기업들이 시장에 침투했지만, 기존 B.B크림의 성질에는 빗나가거나 질이 떨어지는 제품을 내놓고 고객에게 판매하기도 한다. 한스킨은 자사의 B.B크림을 홍보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 이 점이 인식됨으로써 매출에 도움이 되고 있다.
또한 자연친화적 웰빙에 대한 고객의 요구와 잘 부합하며, 웰빙에 대한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가격이 높아도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선호하는 현재의 소비자 경향과도 한스킨의 고급화 전략이 맞아 떨어진다. 이를 통해 미샤, 더페이스샵 등 중저가브랜드와 차별된 모습을 부각시키고 다른 이미지로 소비자에게 접근한다.
한스킨은 인터넷 쇼핑몰 영업을 전담하는 별도부서를 신설하고, 마케팅과 상품기획을 기존과 별도로 운영하는 등 소비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면서 주력 유통라인으로 탈바꿈하였다. 젊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쇼핑몰의 특성에 맞는 제품개발과 상품 구성, 판촉물 제공, 즉각적인 1대 1 커뮤니케이션, 사용 후기(리뷰) 등의 차별화된 마케팅을 전개하면서 고객확보에 성공했다.
효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