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건강사정
1.1. 개인력
김씨는 70세의 나이로 최근 주변시야가 흐려지고, 기침과 호흡곤란으로 숨 쉬기가 어려워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3일 전 계단에서 넘어져 손목에 통증을 호소하여 입원하게 되었다.
김씨는 과거에 매일 담배를 한 갑을 피우며, 공기 오염이 심각한 지역에서 근무하였다고 한다. 일년 전에 만성폐쇄성폐질환 진단을 받았으며, 평소에 기침을 많이 하고 움직일 때 숨이 차올라서 산책을 할 때에도 몇 분 만에 숨이 차서 앉아 쉬어야 한다고 호소하였다. 또한 잠을 잘 때는 몇 개의 베개를 등 밑에 대고 자야 호흡곤란이 완화되어 잠을 잘 수 있다고 말하였다.
김씨는 평소 보행장애가 있는 질환을 앓고 있으며, 3일 전 집으로 오는 길에 주변 시야가 흐려지면서 계단에서 낙상을 하여 손목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오늘까지도 지속적으로 약한 통증이 있어 아들에게 말하였다고 한다.
1.2. 현병력
5주차에 첫 임신 진단을 받은 대상자 S는 최근 구토와 체중감소를 호소하였다. S는 이상적인 체중 유지를 위해 바쁜 일정으로 식사를 건너뛰어 왔고, 이로 인해 구토와 미각 변화가 나타났다고 한다. 입원 당시 S는 창백하고 BMI가 18.6으로 저체중 수준이었으며, 혈색소 수치와 적혈구용적률이 낮게 측정되었다. 약 2주간 지속된 구토와 식욕부진으로 인해 1.4kg의 체중 감소가 있었다. 입원 후에도 계속되는 구토와 식욕부진 증상으로 인해 영양 불균형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1.3. 가족력
가족력은 당뇨병, 골관절염, 심혈관질환, 신경질환 등의 만성질환 유무와 투약상태에 대해 사정한다. 독감, 폐렴, 수두 등의 예방접종 여부도 확인한다. 특히 노인의 경우 가족력을 기록할 때 가계도를 그리지 않는다. 가족들의 병력을 통해 노인의 건강관리 및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1.4. 신체검진
1.4.1. 활력징후
활력징후는 신체의 기본적인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체온, 맥박, 호흡수, 혈압 등이 포함된다. 이는 대상자의 건강상태와 질병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체온은 정상적인 체온 조절 기능에 의해 유지되는데, 노인의 경우 기초대사율이 감소하고 말초혈관이 수축되어 체온이 약간 낮은 편이다. 보통 노인의 평균 체온은 섭씨 36.2도 정도이다. 고열이나 저체온 등의 이상 체온 징후는 감염이나 기저질환의 징후일 수 있다.
맥박수와 호흡수는 정상적인 범위 내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맥박은 분당 60~90회 정도이며, 호흡수는 분당 12~20회 정도이다. 맥박과 호흡수의 증가는 감염, 통증, 불안 등의 징후일 수 있다.
혈압의 경우, 정상 노인의 혈압은 성인과 유사하지만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이는 동맥경화로 인한 것으로, 고혈압이나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노인의 활력징후는 젊은 성인과 다소 차이가 있으며, 혈압, 체온, 맥박, 호흡수 등의 지표를 종합적으로 사정하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1.4.2. 피부, 체모 및 손발톱
피부, 체모 및 손발톱은 노화로 인해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된다. 피부는 점차 건조하고 얇아지며, 주름이 증가한다. 체모는 가늘어지고 희어지며 뻣뻣해진다. 남성은 콧구멍과 귓구멍의 털이 많아지고 두꺼워지며, 여성은 얼굴의 털이 뻣뻣해진다. 손발톱은 두꺼워지고 부서지기 쉬워진다.
피부의 정상적인 변화로는 일광흑색점, 지루성 각화증, 연성섬유종 등이 있다. 일광흑색점은 피부 깊숙이 색소가 침착되어 불규칙한 모양의 편평한 병변이 나타난다. 지루성 각화증은 착색되어 있으며 사마귀 모양의 솟은 병변으로 얼굴이나 몸통에 나타난다. 연성섬유종은 주로 목과 가슴 상부에 돋는 부드러운 돌기로 크기가 작고 색소침착이 있거나 없을 수 있다.
비정상적인 피부 소견으로는 태양노출로 인한 색소침착, 건조, 두꺼워짐 등이 나타난다. 또한 탈수나 영양결핍 상태를 나타내는 건조한 피부도 관찰될 수 있다.
체모는 노화로 인해 가늘고 희어지며 뻣뻣해진다. 남성과 여성 모두 몸, 서혜부, 액와의 체모가 줄어든다. 남성은 콧구멍과 귓구멍의 털이 많아지고 두꺼워지며, 여성은 얼굴의 털이 뻣뻣해진다.
손발톱은 두꺼워지고 부서지기 쉬워진다. 이는 노화로 인한 변화로, 정상적인 소견이다.
이처럼 노인의 피부, 체모, 손발톱은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며, 이는 정상적인 노화 과정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1.4.3. 두경부
두경부 검사에서는 노인의 특성으로 볼 수 있는 변화들을 관찰할 수 있다. 상안검이 쳐져서 안검하수가 생길 수 있으며, 각막윤부에 갈색 점이 생길 수 있다. 안구결막은 깨끗하고 밝은 분홍색을 띠며 건조해 보인다. 각막은 투명하고 맑으며 노안이 보일 수 있다. 이도 입구에는 뻣뻣한 털이 많이 있고, 고막은 하얗고 불투명하며 두꺼워진다. 보청기를 사용하는 대상자는 귀지로 인해 폐쇄되는 경향이 있다. 노인의 청력은 나이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청력소실이 있다.
입술 표면은 깊은 주름이 많으며, 노화로 인해 잇몸이 퇴축되고 뼈의 재생이 느려 치아가 길어 보이고 검게 되며 착색된다. 노인의 입술에 편평세포암의 발생위험이 높은데, 파이프 흡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