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바이오 산업의 정의와 분류
1.1. 바이오 산업의 정의
바이오 산업은 바이오를 근간으로 하는 산업이란 기본적인 틀을 가지고 있다. Bio(생물학) + Technology(기술; 산업)의 합성어로 생물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유용한 물질의 생산과의료, 품종개량 들에 활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따라서 바이오산업이란 이러한 바이오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가 필요로 하는 유용한 물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이다.
1.2. 바이오 산업 분야 분류
바이오 산업은 생물학(Bio)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생물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유용한 물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이다. 바이오 산업 분야는 크게 레드바이오, 그린바이오, 화이트바이오로 구분된다.
레드바이오는 의약바이오를 의미하며, 의약품, 의료기기, 생물학적 제제 등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레드바이오 기업으로는 제약사, 바이오 의약 기업, 바이오 의료기기 기업 등이 있다.
그린바이오는 농업바이오를 의미하며, 농업, 임업, 축산업 등에서의 생명공학 기술 활용을 포함한다. 품종 개량, 친환경 농자재 개발, 바이오 에너지 등의 분야가 해당된다. 대표적인 그린바이오 기업으로는 종묘 기업, 농약·비료 기업, 바이오 에너지 기업 등이 있다.
화이트바이오는 산업바이오를 의미하며, 산업 공정 및 제품 생산에 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하는 분야이다. 바이오 화학, 바이오 공정, 바이오 에너지, 바이오 소재 등이 해당된다. 대표적인 화이트바이오 기업으로는 화학기업, 정유기업, 바이오 소재 기업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바이오 산업을 8개 분야로 세분화하여 정의하고 있다. 바이오 의약, 바이오 화학, 바이오 식품, 바이오 환경, 바이오 전자, 바이오 공정 및 기기, 바이오 에너지 및 자원, 바이오 검정/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이 그것이다. 이처럼 바이오 산업은 다양한 하위 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분야마다 고유의 특성과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
2. 한미약품 주요 연혁 및 현황
2.1. 회사 연혁
한미약품은 1966년 서울특별시에서 창업주 이름을 딴 '임성기 약국'으로 시작하였다. 1973년 '한미약품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82년 좌약식 피임약 '노원'을 발매하였다. 1984년에는 계열사 한미정밀화학(주)을 설립하고, 팔탄 GMP공장을 신축하였다. 1986년 한미약품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KGMP 실시 적격업소 판정을 받았다. 1988년에는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 1993년 방이동 본사사옥을 완공하였고, 1997년에는 노바티스(Novartis)사에 마이크로에멀젼 제제기술을 6,300만 달러에 기술이전하였다. 2000년에는 항암제 파클리탁셀(상품명 탁솔)을 세계 최초로 경구용 약품으로 개발하였다. 2003년 회사 이름을 '한미약품공업주식회사'에서 '한미약품(주)'로 변경하였다. 2008년 한미약품이 개발한 주사용 항생제 세프트리악손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고, 2009년 팔탄공단이 EUGMP 실시 적격업소로 판정되었다. 2010년에는 한미홀딩스(주)를 설립하고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였다. 2012년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 제네릭 '팔팔'을 출시하였고, 2013년 평택공단이 EUGMP 실시 적격업소로 판정되었다. 2015년 발기부전 치료제 시알리스 제네릭 '구구'를, 2016년 비습관성 불면증 치료제 사일레노 제네릭 '독세'를 출시하였다.
2.2. 인력 및 자산 규모
한미약품의 인력 및 자산 규모는 다음과 같다. 한미약품은 2,274명의 임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1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9,166억원을 기록하였다. 한미약품은 주요 제품으로 경구용 항암제 파클리탁셀(상품명 탁솔), 주사용 항생제 세프트리악손, 발기부전 치료제 팔팔과 구구, 불면증 치료제 독세 등을 생산하고 있다. 이처럼 한미약품은 2,000명이 넘는 인력과 천억 단위의 매출을 기록하며 국내 제약 및 바이오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