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출 사회복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출청소년의 특징
3. 가출청소년을 만났을 때 예비사회복지사의 개입
3.1. 자료 수집 및 초기 사정
3.2. 상담
3.3. 목표 설정
3.4. 귀가 지도
3.5. 귀가 확인
3.6. 사후 관리
4. 가출패밀리에 대한 이해
5. 가출패밀리에 대한 청소년 쉼터와 사회복지사의 역할
5.1. 청소년 쉼터
5.2. 사회복지사의 개입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출이란 공동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가족의 일원으로서 부모나 감독자의 허가나 승인 없이 또는 부모나 감독자에게 반항코자 갑자기 집을 나가는 행위를 말한다. 흔히 집을 나간 청소년을 가리켜 '가출청소년'이란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경찰에 신고된 가출청소년이나 아동상담소에서 처리된 가출 청소년과 같은 좁은 개념에서부터 넓게는 부모나 보호자의 동의 없이 집을 떠나서 24시간 이상 집에 들어가지 않은 18세 미만의 청소년까지 포함하고 있다. 가출청소년을 규정할 때,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공통적인 기준은 첫째는 부모나 보호자의 허락 없이 가정의 보호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며, 둘째는 적어도 24시간 이상 집 이외의 장소에서 머무르는 것이며, 셋째는 청소년의 연령을 19세 미만으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청소년 보호법에서 청소년의 연령을 19세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청소년 복지 대상 중 가출청소년을 만났다면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어떻게 도움을 줄 것인지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해 보겠다.
2. 가출청소년의 특징
청소년기는 아동도 아니며 성인도 아닌 입장에서 갖가지 사회변동 및 사회자극에 대한 호기심과 탐색의 욕구가 충동하는 시기이다. 아직 미성숙된 그들의 정체감은 역할 혼미를 경험하게 되고 이것은 갖가지 심리적 갈등을 유발시킨다. 심리적 갈등은 때때로 기성세대에 대한 이유 없는 반항으로 나타날 수 있다. 가출 청소년이 겪는 갈등, 좌절 등의 중요한 원인의 한 가지는 그들이 나름대로의 사회적 유용성을 찾지 못하는데 있다. 그들은 사회적 소속감에 대한 강력한 욕구를 갖고 있어서 가정이나 사회에서 무엇인가 그들이 할 수 있는 역할을 찾고자 한다. 그렇게 해서 그들은 사회에 참여하고 사회에서 그들도 필요한 존재라는 것을 느끼고 싶어 하며 궁극적으로 그들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그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기적이고도 적극적인 방안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청소년은 신체적 성숙과 더불어 인지적 능력이 확대되어 추상적인 사고를 하게 되며 인지적인 발달로 현실에 대한 비판력이 증가하고 현실 상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급격한 신체적 변화로 자기도취적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3. 가출청소년을 만났을 때 예비사회복지사의 개입
3.1. 자료 수집 및 초기 사정
청소년 상담에 있어서의 자료수집 및 사정은 청소년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종합적으로 분석 및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식화되고 체계적인 특성은 다음 5개 분야에서 기술할 수 있다. 첫째, 내담자의 문제의 본질과 내담자 및 가족의 그 문제에서의 역할, 둘째, 내담자 및 가...
참고 자료
김향초(2001). 가출청소년의 이해와 개입방법. 나눔의 집.
권중권(2002). 가출청소년의 사회지지망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광희(2003).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문제해결능력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경호(2004). 청소년의 가출충동에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가출청소년의 이해와 상담 김향초 저 | 학지사 | 2009.01.20.
기사“청소년복지재단 역할 재정립필요”기자 윤종혁, 발행처 홍성신문, 발행일 2021.07.19.
기사 연중무휴‘울산 단기청소년쉼터’가출청소년 바람막이 역할‘톡톡 발행처 울산매일, 발행일 2012.11.29.
기사 경기도 청소년쉼터 내년 운영에 비상등, 기자 고성표, 발행처 중앙선데이, 발행일 2019.11.15.
기사 가출청소년 74% 가족갈등 원인... ‘집에 가고파’19.6%에 불과, 기자 구무서, 발행처 서울=뉴시스, 발행일 2019.05.29.